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농민
농사꾼
농삿군
농삿꾼
경작자
농군
농꾼
d라이브러리
"
농부
"(으)로 총 230건 검색되었습니다.
1. 공룡시대의 주역들
과학동아
l
1996년 08호
1백kg. 트라이아스기 말(2억2천8백만년 전). 아르헨티나의 안데스산맥에 사는 헤레라라는
농부
가 발견했다. 먹이는 파충류.코엘로피시스(Coelophysis)몸길이 3m, 몸무게 27kg. 트라이아스기 말(2억2천5백만년 전). 어른 코엘로피시스의 흉곽 속에서 어린 개체의 화석이 발견된 것으로 미루어 동족을 ... ...
3. 공룡시대 5대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6년 08호
아르헨티나 안데스산맥에서 처음 발견됐다. 발견자는 빅토리노 헤레라라는
농부
다. 또 알베르토사우루스는 백악기에 살던 두발로 걷는 육식공룡으로 캐나다 앨버타지역에서 발견됐다.이처럼 한국 사람의 이름이나 한반도의 지역 이름을 붙인 공룡이 언젠가 나올지 모른다. 왜냐하면 많은 학자들이 ... ...
대책없는 광우병
과학동아
l
1996년 05호
음식을 먹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10명의 환자중 많은 수가 소를 기르는
농부
인데 그들이 기르는 소떼에는 예외없이 광우병에 걸린 소가 있었다. 현재 과학자들은 소가 배설한 전염물질이 공기중에 날려 코를 통해 뇌로 들어갔을 것이라는 추측까지 하고 있다.그런데 광우병과 ... ...
최초의 농사꾼 잎꾼개미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쌓는다그러나 이렇듯 무자비한 약탈자들이 땅 속으로 들어가면 더할 수 없이 양순한
농부
가 된다. 고도로 조직화된 버섯농장에서 각기 자기 부서를 지키며 맡은 임무를 성실하게 수행한다. 지상의 파괴가 지하에서는 에덴 동산으로 부활하는 셈이다.생태계 전체를 볼 때 잎꾼개미들의 파괴는 ... ...
시민에게 땅을, 도시텃밭을 일구자
과학동아
l
1995년 12호
정도 거리에 있는 10평 정도의 텃밭을 가구마다 딸려 분양하기도 했다.3만 명이 넘는 서울
농부
각 가정에서는 한두 평의 자투리땅을 이용, 손바닥 정원에 갖가지 채소나 화훼를 기르는 경우가 많아졌다. 종암동에 사는 L씨는 1984년부터 시멘트 옥상을 농원으로 개조해 여러가지 과실수와 채소를 ... ...
페스트, 왜 지상에서 사라졌나
과학동아
l
1995년 07호
지나면 토끼를 박멸시킬 수 있다는 희망으로 바이러스 살포를 지속했다.그러나 이러한
농부
의 희망은 일부 제한된 지역에서만 성공한 것처럼 보였을 뿐 오스트레일리아 대륙 전체를 대상으로 봤을 때 예기치 못한 결과가 서서히 나타나기 시작했다. 바이러스의 병독성이 약해진 것이다. 바이러스에 ... ...
개미와 균류, 신비의 공생관계
과학동아
l
1995년 02호
경우 그 결과는 비참했다. 그들은 순식간에 과수원 전체를 엉망으로 만들었다.북미의
농부
들은 외지에서 식물을 들여올 때 이같은 걱정을 하지 않는다. 어틴개미가 북쪽으로는 롱아일랜드까지 서식하고 있기는 하지만 여기 사는 것은 덜 야심적인 종류이기 때문이다. 그들은 균류에게 곤충의 ... ...
현대과학이 밝혀낸 5천년전 알프스 '얼음인간'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왜 산꼭대기에 있었는지 설명할 도리는 없다.그가 무엇을 하던 사람이었는지도 모른다.
농부
였을까? 사냥꾼이었을까? 아니면 장사꾼이나 탐광(探鑛)꾼이었을까? 마을에서 쫓겨난 사람이었을지도 모르고 양치기였을 가능성도 있다. 비록 그의 직업은 알 수 없지만 과학자들은 속옷에서부터 앙말 ... ...
(2) 2050년 바닷물 넘쳐 한반도 면적 준다
과학동아
l
1994년 07호
수목한계선이 오늘의 그것보다 훨씬 북쪽으로 치우쳐 있었으며 스칸디나비아 반도의
농부
들은 이 기간동안 북위 65도 지역까지 곡물을 재배할 수 있어 풍요로움을 맛볼 수 있었다. 과거 기후변화에 대한 이러한 기록들은 끊임없는 온실기체의 증가에 따른 온난화가 미래의 생태계에 심각한 변화를 ... ...
나쁜것, 좋은것, 혹은 양쪽 모두?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1876년 필라델이피아 1백주년 기념행사에서 이 식물이 처음 소개되었고 플로리다주의
농부
였던 플리스에 의해 널리 퍼졌다.가축들은 칡을 좋아하고 영양도 풍부하다. 미관상 보기도 좋고 그늘을 제공하기도 한다. 또, 질소를 고정할 뿐만 아니라 흙이 유실되지 않도록 한 곳에 잡아놓는 데도 좋다. ... ...
이전
15
16
17
18
19
20
21
22
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