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농민
농사꾼
농삿군
농삿꾼
경작자
농군
농꾼
d라이브러리
"
농부
"(으)로 총 230건 검색되었습니다.
(1) 효능 입증안된 것이 대부분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보자. 아마도 햇빛에 민감한 도시 사람은 노출된지 10분 안에 홍반을 일으키겠지만
농부
나 어부라면 1시간 정도 지나야 피부에 홍반이 나타날 것이다. 이처럼 햇빛에 대한 반응은 개인마다 큰 차이를 보이는데 여기서 홍반은 자외선의 과다노출에 따른 것이다.따라서 햇빛에 민감한 사람이 해변이나 ... ...
Genes In Action 활동하는 유전자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오래전부터 생식세포의 돌연변이 성향을 이용해 왔다. 1791년 매사추세츠주의 어느
농부
는 괴상한 모습의 어린 양으로부터 다리가 짧아 들판주변의 돌담을 뛰어넘을 수 없는 양을 탄생시켰다.초파리 덕분에 염색체 하나에 들어있는 유전자의 수를 셀수 있게 됐고(초파리의 경우 최소한 1만개) 각 ... ...
실물과 꼭 닮은 인조과일 개발한 홍성모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넘었다는 홍씨지만 그를 처음 보았을 때 기자는 얼핏 오랜시간의 노동으로 뼈가 굵은
농부
를 연상했다. 충남 예산의 가난한 농가에서 5남1녀의 셋째아들로 태어난 그는 '아이스케이크 장수와 중국집 배달원 노릇을 해가며' 겨우 고향의 삽교국민학교를 마칠 수 있었다. 배우고 싶은 마음은 ... ...
뭘 먹느냐가 성격을 결정한다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감사하는 마음을 갖고 기도 하면(그 기도가 하느님을 향한 것이든, 농사 짓는데 수고한
농부
에 대한 것이든) 사람의 몸에 세가지의 분비물이 생겨 소화를 돕고 입맛을 돋군다는 미국의 의사 존 자웻의 연구결과다.그는 기도를 하면 일종의 백신(vaccine)이 생성돼 분비된다고 주장한다. 아직 화학적으로 ... ...
오키펀오키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30%가 습지환경이다. 비교적 건조한 지형에서는 대단위로 소나무가 재배되고 있다. 이곳
농부
들은 대체로 식목에서 벌목까지 모든 나무관리를 목재회사에 위탁하고 있다.이탄층의 하부에는 간석지나 얕은 바다에서 발견되는 뻘과 같은 미세한 퇴적물로 구성된 10m 내외의 지층이 나타난다. 이 지층은 ... ...
뱀 대신 컴퓨터로 지진 예측한다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체제를 만들고 있다. "말하자면 우리는, 이제 뱀 대신 매킨토시나 IBM을 살피는 '전자
농부
'가 된 셈이다." 크랜스위크씨의 말이다.이 계획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먼저 자기집, 마당에 진동감지센서를 묻는다. 이 센서는 케이블로 컴퓨터에 연결되는데 대형트럭이 달리면서 내는 '문화적 소음'외에 ... ...
20세기 마지막 거대토목공사 기술적 난관 극복한 영(英)·불(佛)해저터널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37㎞밖에 안되는 도버해협에 해저 터널을 뚫어 건너간다는 꿈은 1751년 프랑스의 한
농부
로부터 시작됐다. 1802년 나폴레옹이 이 계획을 승인했고, 1830년 프랑스의 한 기술자는 설계도면을 작성했다. 그후 1세기도 더 지난 1975년 실제 공사가 착수됐으나 완성되지 못하고 실패로 끝났다.지난해 10월 30일 ... ...
음식으로 공해를 씻어낸다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아주 맛있는 나물을 접하게 된다. 그는 이 나물의 이름을 한
농부
에게 물어 보았는데
농부
는 어쩌면 그것도 모르냐면서 불문가지(不問可知)나물이라고 대답해 주었다. 대궐에 돌아온 숙종은 매일 불문가지나물 타령을 했는데 영문을 모르는 신하들은 참 난감해질 수 밖에 없었다. 그후 그 나물이 ... ...
줄어드는 삼각주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가까운 강가로 이동했다.천수농경을 벗어나고자 강가를 찾음은 너무도 당연한 것이기에
농부
들이 그렇게 이동하는데 많은 시간을 소요하지 않았을 것 같지만, 실제로 논에 물을 대고 홍수에도 대비할 수 있도록 제방을 쌓고 고랑을 파기 전에는 강의 효과는 전혀 볼 수 없다. 그러려면 상호협동하는 ... ...
피라미·지렁이·이끼가 사라지고 있다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영화로도 만들어져 우리나라에서 많은 인기를 끌었다. 그 소설의 주인공인 순박한
농부
(요한 모리츠)에게 유태인 교수는 이렇게 말한다."잠수함의 선원들은 공기중의 산소량을 측정하기 위해 토끼를 기르고 있는데 이미 토끼가 숨을 할딱거리기 시작했다. 사람보다 토끼의 몸이 작으니까 토끼가 ... ...
이전
17
18
19
20
21
22
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