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벌레
곤충
대충
chung
d라이브러리
"
충
"(으)로 총 220건 검색되었습니다.
금성 목성 토성 어떻게 관측하나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지구를 사이에 두고 태양의 정반대에 있는 경우가 생기는데, 이것을
충
(衝)이라고 한다.
충
에 있을 때의 외행성은 해가 질 무렵 동쪽에서 뜨고 밤중에 남중한다.그러나 외행성의 시운동은 태양의 반대편에 나타나가도 하며 모두 서쪽에서 동쪽으로 가다가 한때는 되돌아서 동쪽에서 서쪽으로 가고, ... ...
금세기 최대의 유성우 페르세우스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1백35년만에 지구를 방문한 스위프트-터털 혜성이 남기고 간 화려한 별똥들의 축제를 감상한 후 여름의 대삼각형에 숨겨진 아름다운 성운들을 찾아보자.한낮의 찌는듯한 더위로 유명한 8 ... 성간물질인 셈. 즉 유성의 속도가 지구공전 속도보다 느리더라도 모든 유성이 지구와
충
돌한다 ... ...
물병자리 델타 유성군의 장관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중의 하나이고, 고리를 가진 행성들 중 유일하게 실체를 확인할 수 있는 토성은 8월 20일
충
을 전후로 하여 최고의 관측 호기가 될 것이다. 화려한 성운 성단의 보고인 전갈 궁수자리가 남중하면서 염소자리를 뒤이어 떠오르는 밝은 1등성이 바로 토성이다. 토성의 고리는 심지어 50mm 쌍안경만을 ... ...
보름달이 사라지는 개기월식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4일은 음력 4월15일로 보름달이 뜨는 날이다. 만약 달을 행성으로 간주한다면
충
이 되는 날이다. 즉 태양 지구 달이 우주공간상에서 일직선상으로 늘어서는 날이다. 달의 움직임은 상당히 빠르므로 정확히 일직선상이 되는 시각은 개기식이 진행중일 22시경이 될 것이다.이날 서울지방의 일몰시각은 ... ...
3천개의 은하로 이루어진 처녀자리 초은하단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인식하게 되고, 1분 이상의 크기를 가질 때 표면적이 있는 것처럼 보게 된다. 예로 목성이
충
일 때 그 크기가 45초 정도 되고 금성이 가장 접근했을 때 약 55초 정도다. 이는 1분보다 작기 때문에 점으로 밖에 안보이지만, 달은 31분이나 되기 때문에 표면적이 있는 것으로 보이는 것이다. 물론 망원경을 ... ...
사자자리 은하트리오 산책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거리가 멀기 때문에 지구운동에 따른 시직경의 차이가 크지 않다. 8월이 되어야
충
이 되어 초저녁에 관측이 용이하겠지만 지금도 별 차이 없는 크기로 아름답게 새벽하늘을 수놓고 있으므로 훌륭한 관측이 가능하다.성식월령 10.3의 달이 게자리 알파성을 가리는 성식이 이달 2일 22시경 일어난다. 이 ... ...
목성의 줄무늬와 대적반에 초점을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수성의 최대이각은 28°이고 금성은 48°이다. 외행성의 이각은 최대 1백80°이며 이는 곧
충
을 의미한다.■구/행성의 이각이 90°일 때를 말하며 내행성은 구를 이룰 수 없다. 역시 태양의 동 서 어느 쪽에 있는가에 따라 동구와 서구로 나뉜다.행성의 시운동행성들도 다른 별들처럼 일주운동을 하지만, ... ...
저무는 토성과 떠오르는 샛별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질문을 받을 정도로 주목을 받았다. 1월 8일 화성이 지구와 태양과 일직선상에 놓이는
충
이 된다. 이번 접근은 88년보다 못하지만 -1.5등급까지 밝아지고, 대기가 깨끗한 겨울이라는 이점이 있어 훌륭한 관측이 가능하다. 8월경에는 보름달이 이 근처를 지나가게 돼 관측에 어려움이 있을지 모르므로 ... ...
2. 미래의 반도체 어떻게 달라지나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얇은 단결정의 막(膜)으로 만들어 적층하는 것이다. 즉 2μ 두께의 박막을 1㎜까지 적
충
하면 5백배에 가까운 집적도를 구현할 수 있다. 즉 1GD램 기억소자를 수직 집적하여 5백GD램의 초고집적 기억회로를 제작할 수 있으며, 이로부터 가로 세로 높이 각기 2X2X1㎝ 크기를 갖는 칩에 1백년치의 신문기사를 ... ...
(2) 공룡은 왜 사라졌나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그것이 이미 진행중이던 절멸과 정에 박차를 가해 끝장냈을 뿐인가? 혹은 대량 절멸과
충
돌사건은 아무 인과 관계가 없으면서 우연히 동시에 일어났을 뿐인가? 아직 풀리지 않는 의문이 많다.공룡의 절멸은 갑작스럽고 대규모인 것 같이 보이지만 실제로는 점차적이었고 소수 종류의 절멸이었다. ... ...
이전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