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제곱"(으)로 총 746건 검색되었습니다.
-
- 수학은 평화지킴이수학동아 l2024년 04호
- 승리한다. 한편 x > y와 a < b일 경우나 x < y와 a > b일 경우 b/a의 비율이 y/x의 비율 제곱보다 큰지 작은지에 따라 승리하는 쪽이 결정된다. 란체스터 법칙이 잘 맞아떨어진 사례도 있지만, 실제 전쟁에는 변수가 많아 이 법칙으로 설명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렇다고 해서 란체스터 ... ...
-
- 초고에너지 우주선, 그 입자엔 왜 신의 이름이 붙었나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소식을 2023년 11월 23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doi: 10.1126/science.abo5095 700제곱킬로미터 ‘거미줄’ 펼쳐 귀한 손님 잡아라!우주선이 가질 수 있는 에너지는 106eV(전자볼트는 전자 하나가 1V의 전위를 거슬러 올라갈 때 드는 에너지)부터 1020eV까지 다양하다. 그중 가장 높은 에너지를 가진 ...
-
- [특별기획] Part1. 가벼운 블랙홀일까, 무거운 중성자별일까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제3법칙이 사용된다. ‘행성의 공전 주기의 제곱은 그 행성의 타원 궤도 긴 반지름의 세제곱에 비례한다’는 제3법칙은 원래 태양계 내 행성들의 운동을 설명하기 위해 도입됐지만, 두 별의 공전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 공식에 따르면 쌍성의 궤도 주기, 궤도의 이심률, 궤도의 경사라는 정보로 ... ...
-
- [과학사 극장] 뉴턴은 사과를 보고 만유인력의 법칙을 떠올렸다?과학동아 l2024년 03호
- 것이다. 예를 들어, 뉴턴의 동료 로버트 훅은 법칙 발표 전 뉴턴에게 두 천체가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는 힘으로 서로를 당길 것이라는 아이디어를 편지로 전한 바 있다. 뉴턴의 하녀들이 은식기가 변색되지 않도록 막기 위해 알코올에 담갔던 것도 뉴턴이 망원경의 부품을 보관하는 데 도움을 줬다 ... ...
-
- 리그 순위 좌우하는 승률 계산법수학동아 l2024년 03호
- 이름에서 짐작하겠지만 식의 생김새가 직각삼각형의 빗변 제곱은 다른 두 변의 제곱 합과 같다는 피타고라스의 정리와 닮아 피타고리안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제임스는 득점이 많고, 실점이 적은 팀이 순위가 높다는 단순한 사실에 착안해 이 식을 만들었다. 현재는 피타고리안 승률의 ... ...
-
- 리만 가설의 단초 제공한 오일러수학동아 l2024년 02호
- 리만 가설의 핵심인 ‘제타 함수’다. 제타 함수는 오일러 곱셈공식에서 N에 실수와 허수(제곱하면 음수가 되는 수) 등 다양한 수를 대입할 수 있는 식이다. 여기에서는 N을 s로 표기한다. 복잡하지만 여기서는 딱 한 가지만 알아두자. 오일러의 소수 연구가 수학계 최대 난제인 리만 가설로 ... ...
-
- 수학자 이름 새긴 소수수학동아 l2024년 02호
- 보인 방식으로 피타고라스 소수가 무한하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다. 이처럼 어떤 제곱수의 합의 형태로 만들어지는 소수는 현재까지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앞의 두 수의 합이 바로 뒤가 되는 피보나치 수 피보나치 수열의 항 중 소수를 가리키는 ‘피보나치 소수’도 있다. 피보나치 수열은 1과 ... ...
-
- 세상에서 가장 큰 소수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얼마나 큰지 감도 안 오는 이 숫자는 현재까지 발견한 소수 중 가장 큰 소수다. 무려 2486만 2048자리에 달하는 어마어마한 크기로, 읽는 데만 ... 점이다. 메르센 소수는 17세기 프랑스 수학자 마랭 메르센의 이름을 딴 소수로, 2의 거듭제곱에서 1을 뺀 모양의 소수다. 왜 모두 메르센 소수일까 ... ...
-
- 앞으로 읽어도 뒤로 읽어도 똑같다 회문 소수수학동아 l2024년 02호
- 103 + 1과 같이 10의 홀수 제곱에 1을 더한 값은 항상 11의 배수다. 또 102 - 1과 같이 10의 짝수 제곱에서 1을 뺀 값도 항상 11의 배수다. 이 때문에 밑줄 친 부분은 모두 11의 배수다. 따라서 ABCD가 11의 배수가 되려면 홀수 자릿수인 A와 C의 합과 짝수 자릿수인 B와 D의 합의 차가 0 또는 11의 배 ...
-
- RSA 암호의 미래는?수학동아 l2024년 02호
- 타원곡선을 이용한 공개키 암호시스템인 ‘타원곡선암호(ECC)’가 있다. 큰 수를 거듭제곱 꼴로 나타내는 것이 어렵다는 걸 이용하는데 1985년 미국 수학자 닐 코블리츠와 빅터 밀러가 거의 동시에 독립적으로 개발했다. RSA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수를 키로 사용하면서도 안전성이 높아 교통카드처럼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