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제곱"(으)로 총 746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콤달콤 연구소 그림으로 보는 수학] ‘넓이’가 더 큰 수영장을 찾아라!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4호
- 정사각형이 몇 개 들어갔는지 세 보면 돼요. 한 변의 길이가 1m인 정사각형의 넓이는 1m2(제곱미터)로 나타내요. 1m2는 넓이를 재는 단위가 되지요. 수콤 수영장은 1m2 정사각형 12개가 들어가네요. 수콤 수영장의 넓이는 12m2라는 걸 알 수 있어요. 크기가 큰 직사각형의 넓이를 구할 때 1m ... ...
- [옥스포드대 수학 박사의 수학 로그] 4화. 수학자의 연구 여행기, 41년 역사의 군론학회 GSA수학동아 l2022년 12호
- 히그먼이 처음 제시한 추측으로, 임의의 소수 p와 자연수 n에 대해 원소의 개수가 p의 거듭제곱(pn)꼴인 p군의 분포를 예상한 추측입니다. 62년이 지난 지금도 여전히 풀리지 않은 군론의 오래된 난제예요. 저는 마이클 본-리 옥스퍼드대 명예교수님과 함께 n이 8일 때, 즉 원소의 개수가 p8인 p군들 ... ...
- [별별 우주기네스] 가장 거대한 행성을 찾아라!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2호
- 물체의 고유한 양을 말해요. 어떤 물체의 무게를 결정하지요. 목성의 질량은 1898.19x10의 24제곱kg(킬로그램)으로, 지구보다 무려 317.83배나 무거워요. [우주기네스2] 우주에서 가장 큰 ‘HD 100546b’ 이번엔 우주에서 가장 큰 행성을 알아볼까요? 우주에서 가장 큰 행성을 찾는 건 매우 복잡하답니다. ... ...
- 블랙홀 씨, 우리 밥 한번 먹죠과학동아 l2022년 12호
- 평균적인 크기의 블랙홀이 호킹 복사에 의해 소멸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은 약 10의 66제곱 년일 것으 로 예상된다. 그리스 로마 신화에는 테살리아의 왕인 에리 시크톤 이야기가 나온다. 에리시크톤은 데메테르 여신의 저주를 받아 아무리 먹어도 채울 수 없는 영원한 식욕을 갖게 된다. 자신의 ... ...
- [힉스 10년] 1000만 힉스의 외침 “표준모형이 옳다”과학동아 l2022년 12호
- 만들어지는 입자들 중 힉스 입자는 극히 드물고, 만들어졌다 할지라도 겨우 10 마이너스 22제곱 초 만에 붕괴해 다른 입자로 변한다. 그러니 연구팀은 힉스 입자가 아니라 힉스 입자의 흔적을 찾는다. 김 교수는 “힉스 입자를 발견하는 건 빅데이터를 체로 걸러 흔적을 찾는 과정에 가깝다”며 “201 ... ...
- [특집] 극한환경 속 해저 모듈 첨단소재 옷 입고 버틴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1호
- 해저 모듈은 수심 30m에 건설되는데, 이때의 수압은 대기압●의 4배에 달해요. 이는 1m2(제곱미터)당 무려 약 40t(톤)의 무게가 누르는 힘이에요.이렇게 강한 외부 압력을 견디기 위해선 돔 구조가 적합합니다. 돔 구조는 둥근 곡선 모양 덕분에 압력이 한 곳에 집중되는 현상을 막고 압력을 고르게 ... ...
- [핫이슈] 중학교 선생님, 자연수 세제곱 합 공식의 말이 필요 없는 증명 발견했다고?수학동아 l2022년 11호
- 위해 끊임없이 고민하는 편이에요. ‘자연수 세제곱의 합 공식’보다 앞서 ‘자연수 제곱의 합 공식’에 관한 말이 필요 없는 증명을 발견했답니다. 제가 고민한 수학 내용들은 제 블로그 ‘2S진 수학’에서 확인할 수 있어요! 2S진은 제 또 다른 이름이랍니다! Q 수학을 주제로 다양하게 생각하는 걸 ... ...
- [특집] 꿀벌을 지켜 줘, 농도 괴물!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0호
- 퍼 세제곱미터’라고 읽어요. 1㎍은 1g(그램)의 100만분의 1만큼의 무게예요. 세제곱미터는 한 변의 길이가 1m인 정육면체의 부피를 나타내는 단위지요. ppm★ 이산화탄소, 산소 등과 같은 기체의 농도를 측정할 때 주로 쓰는 단위예요. 파트 퍼 밀리언(Part Per Million)의 줄임말로, ‘피피엠’이라고 ... ...
- [특집] 2400년 난제의 비밀, 펠의 방정식수학동아 l2022년 10호
- 난 수학의 신. 똘똘한 인간에게 수학 문제를 내고 수학을 발전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지. 하여 언제나 인간 세계를 관심있게 바라보고 있도다.요즘 내가 주의 깊게 보고 있는 인간은 수학자 아르키메데스!과연 그가 ‘펠의 방정식’을 발전시킬 수 있을지 몹시 궁금하구나. ▼ 이어지는 기사를 보 ... ...
- [특집] 브라마굽타부터 페르마까지! 펠의 방정식을 푼 이유는?수학동아 l2022년 10호
- 방정식은 기원전 400년경부터 연구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고대 인도인과 그리스인은 제곱근의 유리수 근삿값을 구하기 위해 펠의 방정식을 풀었어요. 지금이야 가 1.414인 무리수라는 것을 모두 알고 있지만, 당시에는 무리수의 존재를 몰랐어요. 특히 그리스 수학과 철학을 발전시키는 데 공헌한 ... ...
이전123456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