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세계
월드
글로벌
글로발
지구
스페셜
"
지구촌
"(으)로 총 134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생명의 기원 찾는 데 걸림돌 '인 문제' 해결됐나
2025.03.05
인산염이 생명의 기원 실험 조거닌 100밀리몰농도 수준까지 농축될 수 있다. 물론
지구촌
곳곳에 폐쇄 호수가 있지만 거의 모두 인산염 농도가 높지 않다. 앞서 언급했듯이 인산염 이온은 칼슘 이온과 만나 침전물(인회석)을 만들기 때문이다. 그런데 탄산염이 풍부한 소다 호수에서는 칼슘 이온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美 트럼프 시대, 길잃은 전세계 공중보건
2025.02.05
다른 나라들도 따라가게 되고(나만 손해 볼 수는 없으므로) 그 결과 기후변화 등
지구촌
위기는 심화될 것이다. 역사를 뒤돌아보면 인류의 이런 어리석음이 새로운 일도 아니라는 게 그나마 위안일까.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023년 '이상 고온' 미스터리 열쇠는 '알베도'
2024.12.11
1℃나 높아진 상태에서 과연 가능할까 회의적인 시각이 많았고 아니나 다를까 그 뒤에도
지구촌
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줄어들기는커녕 오히려 늘었고 지구 온도 상승세도 이어졌다. 그러다 2023년 충격적인 일이 벌어졌다. 전년보다 평균 온도가 0.17℃나 높아지며 산업화 이전 대비 1.48℃ 상승하며 COP21 ... ...
[표지로 읽는 과학] 불안정성 커지는
지구촌
먹거리
동아사이언스
l
2024.12.01
사이언스 제공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는 이번 주 표지로 모리타니의 누아디브 항구에 정박한 수많은 어선들의 모습을 실었다. 모리타니에서 두 번째로 큰 수출품인 문어를 잡기 위한 어부들의 배가 대부분이다. 최근 모리타니 정부는 포획되는 문어량이 급증하면서 매년 2개월 동안 어업을 중단한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저개발국 온실가스 배출량 상승세의 의미
2024.11.27
힘들 것으로 보인다. 그나마 파국을 막으려면 개도국의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는 데
지구촌
의 역량을 집중해야 할 것이다. '첫술에 배부르랴'는 옛말도 있듯이 비록 불충분한 면이 있더라도 이번 COP29 합의를 계기로 말뿐이 아닌 실천이 따랐으면 하는 바람이다. ※ 필자소개 ... ...
[이덕환의 과학세상] 英 석탄 퇴출, 섣불리 흉내 낼 일 아냐
2024.11.06
처리하는 일도 만만치 않다. 그렇다고 석탄을 무작정 포기하기는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지구촌
전체가 영국처럼 석탄을 대체할 수 있는 경제력과 에너지 자원을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우리의 경우가 그렇다. 영국이 장에 간다고 충분한 준비 없이 무작정 따라나섰다가는 낭패를 당하기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도깨비 장마 시달리는 기상청, '맹목적 비난' 멈춰야
2024.07.31
나들이 계획과 장사를 망쳐버린 국지성 도깨비 폭우가 기상청을 괴롭히고 있다. 더욱이
지구촌
의 기후가 빠르게 변하고 있다. 인류의 생존을 위협하고 생태계를 위태롭게 만들 정도로 빠르고 심각한 변화다. 우리나라도 예외가 아니다. 4계절이 뚜렷한 '온대' 기후가 막을 내리고 후텁지근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신생아가 세상을 흑백으로 보는 이유
2024.06.12
지금쯤 불편한 증상이 더 커졌거나 어쩌면 실명 상태가 됐을지도 모른다. 그런데
지구촌
에서 실명인 사람 4000만 명의 절반 이상이 백내장 때문이다. 많은 지역에서 여전히 백내장은 고칠 수 없는 질병으로 결국 실명으로 이어진 결과다. 이 가운데 치료가 안 되는 유형도 있겠지만 대다수는 수술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무지성' 과식 메커니즘 찾았다
2024.05.02
가산점을 얻어 선정된 게 아닐까. ● 맛있는 정제 음식이 주범? 2차 세계대전 이후
지구촌
의 부와 권력을 독점하면서 풍요로워진 미국은 비만이 보건 문제가 되기 시작했고 그 원인을 밝혀 해결책을 제시했다. 바로 지방 섭취를 줄이는 것이다. 지방은 칼로리 밀도가 높고 무엇보다도 체지방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일본서 사망자 나온 붉은누룩의 비밀
2024.04.03
위험이 큰 지역의 간암 발생률은 선진국의 16~32배에 이른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그 결과
지구촌
전체 간암의 5~28%가 아플라톡신이 원인으로 추정된다. 특히 날이 더워지고 습해지면 음식물이 곰팡이에 오염될 가능성도 커지므로 주의해야 한다. 곰팡이에 오염된 음식은 곰팡내가 섞여 냄새가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