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새로운"(으)로 총 10,54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WATER, TEA, SODA, MILK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약 100여 가지를 조합하고 테스트했다. 현재는 올 봄 출시를 목표로 2~3개 후보를 두고 새로운 우유를 최종 테스트 중이다. 우유라고 다 같은 우유가 아니었어 바나나맛 우유, 딸기 우유, 초코 우유처럼 흰 우유가 아닌 우유는 ‘가공우유’에 해당된다. 원유(흰 우유)를 원료로 하고 다른 식품이나 ... ...
- [SPACE] 21세기 우주경쟁 스타트과학동아 l2019년 02호
- 길을 뒤따라 온 셈이었다. 하지만 창어 4호의 성공으로 중국은 미국이 하지 못한 새로운 성과를 거두며 진정한 의미에서 미국과 대등한 우주 경쟁을 할 수 있게 됐다. 중국의 우주 기술은 급작스럽게 성장한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 중국은 오랜 기간 우주 기술을 차곡차곡 쌓아왔다. 부침도 있었다. 1 ... ...
- [INTERVIEW] 사람이 좋은 수학자, 천정희 서울대학교 수리과학부 교수수학동아 l2019년 02호
- 모르는 사람도 이해할 수 있게 설명할 수 있어요. 암호론에 관심을 갖게 된 이유도 새로운 암호 체계를 만들거나 암호 관련 문제를 풀면 세상에 많은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에요. 아마 무인도에 갇혀 연구를 해야 한다면, 또 그 연구 내용을 누구에게도 알릴 수 없다면 연구가 무척 재미없을 거예요 ... ...
- [수셰프 피터팍의 맛있는 수학] 떡국 한 입, 타원 한 입수학동아 l2019년 02호
- 행성의 움직임을 설명할 수 없다는 결론에 이르렀습니다. 우주의 비밀을 풀려면 새로운 태양계 모형이 필요했죠. 고민 끝에 케플러는 이 문제를 해결할 열쇠가 타원이라는 사실을 알아냅니다. 두 점에서의 거리의 합이 일정한 점들의 집합, 즉 타원으로 궤도를 계산하자 태양과 행성의 거리가 ... ...
- [이달의 PICK] 새해 계획 성공하려면? 뇌가 조종하는 도파민 경로의 비밀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소멸보다 더 어려운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그래서 규칙적으로 운동을 하는 것처럼 새로운 습관을 몸에 새기기 위해서는 부단한 노력이 필요하다. 뇌 가소성은 성인보다 청소년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뇌가 계속 발달하고 있는 청소년의 경우 도파민 경로의 생성과 소멸이 성인보다 더 쉽기 ... ...
- Part 4. 美 민간 기업과 손잡고 2026년 달 정거장 만든다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얼마 전 화성에 착륙한 인사이트의 후배로 2020년 발사 예정이다. 이처럼 계속해서 새로운 화성 탐사선을 준비하는 이유가 뭘까. 2011년 JPL이 올려 보낸 화성 탐사 로버 ‘큐리오시티’ 팀 소속으로 화성 탐사에 참여했던 전 우주환경그룹장은 “사람을 화성에 보내기 위해서는 그곳을 과학적으로 ... ...
- ‘메이드 인 코리아’ 75t급 액체로켓엔진 대한민국을 들어 올렸다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연소 불안정이라는 커다란 숙제를 짊어진 채, 이번에는 3단 엔진 연소 시험설비라는 새로운 과제를 맞아야 했다. 한국형발사체(누리호) 사업 1단계의 성공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3단에 들어갈 7t급 엔진의 연소시험인데, 이에 대한 설비를 구축하는 것이다. 이 일은 지금도 필자의 머릿속에 가장 ... ...
- [나의 미국 유학 일기] ‘다양함’ 가득한 스탠퍼드대에 끌리다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안부를 전해왔다. 국제화학올림피아드에서의 열흘은 내가 더 다채로운 경험을 하고, 새로운 사람들을 만나고 싶도록 만들었다. 덕분에 미국으로 유학을 가고 싶다는 마음을 굳히게 됐다. 올림피아드에 다녀온 이후, 본격적으로 원서 작성을 시작했다. 미국의 대학 입시는 우리나라의 수시전형과 ... ...
- [서울대 공대|재료공학부] 현대판 연금술사 키운다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이론으로만 접해서는 학생들이 실제 재료공학이 무엇을 하는 학문인지 잘 모를 것 같아 새로운 시도를 했다”고 말했다. 바로 2018년 여름 서울대 미대와 공동 기획한 금속공예 실습수업이다. 이 프로그램은 창의융합교육이라는 이름으로 미대에서 10주간 진행됐고, 결과물도 전시했다. 주 학부장은 ... ...
- Part 1. 그림으로 보는 리만 가설수학동아 l2019년 01호
- 있기 때문이지요. 가우스의 제자인 베른하르트 리만은 스승이 이루지 못한 꿈을 이뤄줄 새로운 방법을 1859년 ‘특정 수보다 작은 소수의 개수에 관하여’라는 논문을 통해 발표했습니다. 이 논문에서 리만은 가우스가 만든 공식 Li(x)와, 실제 개수 사이에 나타나는 오차를 줄여 줄 방법을 ... ...
이전19619719819920020120220320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