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신규
신임
신
d라이브러리
"
새로운
"(으)로 총 10,542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4. 태양계 밖 - 외계행성의 비밀을 풀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1호
될 수 있을 것이란 기대를 받고 있어요. 2018년 11월, 지구와 6광년 떨어진 곳에서
새로운
슈퍼지구가 발견됐어요. ‘바너드별 b’라는 이름이 붙은 이 행성은 지금까지 발견된 슈퍼지구 중 지구와 가장 가까운 행성이랍니다. 질량은 지구의 3.2배 무거우며 중심별인 바너드 항성을 233일 주기로 ... ...
[과학뉴스] 우주 역사 137억 년간 별빛 총량은?
과학동아
l
2019년 01호
약 100억 년 전에 별 생성량이 최대치를 기록했으며, 현재 우리 은하에서만 매년 약 7개의
새로운
별이 생성되고 있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아젤로 교수는 “별빛의 총량을 계산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별과 우주의 진화 과정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doi:10.1126/science.aat8 ... ...
[과학뉴스] 거울을 터치스크린으로 만들어 유튜브 영상 본다
과학동아
l
2019년 01호
소요됐다. 신 교수는 “이 기술은 마이크를 3~4개 설치하는 것만으로 터치스크린이 되는
새로운
터치 인터페이스 기술”이라고 설명했다. 이 기술은 2018년 11월 4~7일 중국 선전에서 열린 모바일 및 센싱 분야의 국제학회인 ‘미국컴퓨터협회 센시스’에서 발표돼 ‘베스트 페이퍼 러너업 어워드’를 ... ...
Part 5. 전문가에게 물었다 제2의 달 탐사 경쟁, 한국은?
과학동아
l
2019년 01호
함께 하고 싶다는 뜻을 내비쳤다. 그는 “기술 수준을 높일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새로운
시장을 확장하는 방법에 대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안양 백영고 이정수 양 “문제는 배신하지 않아요”
과학동아
l
2019년 01호
양은 “모르는 개념이 있을 때는 관련된 문제를 풀면서 기존에 알고 있던 개념을 토대로
새로운
개념을 추론했다”며 “문제를 풀면서 개념을 익히면 머릿속에 더 오래 남았다”고 밝혔다. 매년 수능 만점자의 정석과도 같은 답변인 ‘교과서만 봤다’는 이 양에게도 적용된다. 다만 그는 기본기를 ... ...
[동아리탐방] 동아리계 VIP를 꿈꾼다! 포항제철고 Math V.I.P
수학동아
l
2019년 01호
받자 본격적으로 체험전에 참가하기 시작했다. 학생들과 여러 수학 체험전을 돌아다니며
새로운
수학 교구에 관한 아이디어를 얻고 직접 만들었다. 그 결과 2016, 2017년에도 같은 대회에서 대상을 받았고 2018년에는 이동호 교사와 학생들이 직접 개발한 ‘수학 방탈출 게임’을 선보여 4년 연속 대상을 ... ...
[이달의 PICK] 백악기 한반도에 ‘참새 공룡’ 살았다
과학동아
l
2019년 01호
덕분에 발자국 화석을 손상 없이 안전하게 발굴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고민하게 됐고, ‘
새로운
발자국 화석 발굴 방법’을 개발해 2015년 특허도 출원했다. 발굴하고자 하는 화석 전체를 별도의 해체 작업 없이 하나의 판으로 안전하게 발굴하는 방법으로, 단단한 암반에 화석이 보존된 경우가 많은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내 몸의 설계도 읽는 유전체 해독 기술
과학동아
l
2019년 01호
있습니다. 가령 미국의 퍼시픽바이오, 영국 옥스퍼드나노포어테크놀로지가 개발한
새로운
유전체 해독 기술로는 염기 수천 개를 순식간에 읽어냅니다. Q 유전체 지도는 어디에 활용할까? 유전체 지도를 활용하면 개인에게 딱 맞는 개인 맞춤의학이 가능해집니다. 가장 잘 알려진 사례는 ... ...
[수학뉴스] 천정희 교수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수상
수학동아
l
2019년 01호
시작된 상황입니다. 천 교수는 “수학이론을 암호분석에 더 적극적으로 접목해 수학의
새로운
연구방향을 정립하고 우리나라가 암호분석 분야에서 강국이 되도록 기여하고 싶다”고 밝혔습니다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완벽한 파티 만드는 램지 수
수학동아
l
2019년 01호
파티를 즐길 수 있을까요? 일명 ‘파티 문제’라고 불리는 ‘램지 수’ 연구에서
새로운
결과가 나왔습니다. 여러분은 램지 수에 대한 업적으로 아시아 최초로 ‘풀커슨상’을 수상한 고등과학원 김정한 교수를 아시나요? 풀커슨상이란 미국수학회와 수학적 프로그래밍학회에서 3년에 한 번 ... ...
이전
197
198
199
200
201
202
203
204
2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