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시
지명
지력
지성
지능
지식
지목
d라이브러리
"
지적
"(으)로 총 2,672건 검색되었습니다.
'교사 목소리 담긴 정책이 아쉽다'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받는다. 그럼 현장에서 과학을 가르치고 있는 교사로서 느끼고 있는 문제점 몇가지를
지적
해 보겠다.먼저 6차교육과정의 특징으로 과학과목의 시간수가 다소 줄어들었고 학생들의 다양한 요구를 수렴하기 위해 8가지 계열로 과목을 세분했다는 것을 들 수 있다. 이런 변화는 획일적인 과학교육의 ... ...
과학용어의 비과학적 사용 삼가야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방문해 "내 이론이 이처럼 빠르게 확산될 것으로 예상하지 못했다. 그러나 이른바 퍼
지적
용 가전제품은 퍼지이론의 극히 일부만을 활용한 것"이라고 밝혔다. 어쩌면 퍼지와 인공지능은 침소봉대의 상혼이 낳은 이 시대의 기형아일지도 모른다 ... ...
80억달러 규모 초전도 가속기계획에 일본 참여할까?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타분야 연구자들을 자극하지 않기 위해 묵묵히 앉아있었다.이들은 와인버그교수가
지적
한 바와 같이 SSC가 인류가 건설할 최후의 가속기가 될 가능성이 크다는 사실에 동의하고 있었다. '이 테라볼트 (1${0}^{12}$V)급 프로젝트에 일본이 빠질 수는 없지 않는가'라는 생각이 그들의 머리속을 맴돌았다. ... ...
(1) 거세지는 외풍, 뒷걸음질치는 정책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상황의 변화에 따라 정책의 기조가 바뀌기 일쑤여서 정책의 융통성(?)이 너무 크다는
지적
이다.현재 대표적인 연구개발사업인 특정연구개발사업의 경우 6공들어 거의 매년 기본방향과 체제가 바뀌다시피하고 있다.6공 초기 정부 기업 공동연구중심에서 한때 대형과제위주의 국책연구과제 중심으로 ... ...
특집3 뒤늦은 출발, 선진국과 10년 격차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국산화했다고 떠들지만 그 속을 들여다보면 핵심부품 어느 하나 우리 것이 없다는
지적
이다. 최근 기업들이 소재분야에 관심을 갖고 투자를 시작하고 있지만 선진국에 비해 10년 정도 뒤진 소재기술을 일정 수준으로 올리기 위해서는 아직도 부족하다는 것이 그의 생각이다.신소재개발은 막대한 ... ...
그래픽워드 프로세서 첫 시도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모드이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속도가 떨어진다는 점과 메모리를 많이 차지한다는 단점도
지적
할 수 있다.그래픽 모드를 기반으로 하는 사임당은 AT이상의 시스템에서 운영되며, 3.5MB의 메모리를 차지한다. 그리스어 히브리어 추가사임당의 대표적인 기능이라 할 수 있는 다단편집은 국내에서 처음 ... ...
현대 과학의 4대 불가사의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이론값과 실제값이 맞지 않자 또하나의 행성을 가정했다. 톰보우는 1930년 2월18일 이론이
지적
했던 곳에서 불과 7°떨어진 곳에서 작은 점 하나를 발견하고 플루토(Pluto)라 이름지었다.명왕성 발견 이후 60여년이 지난 지금까지 새로운 행성은 발견되지 않았다. 제10행성에 대해서는 최근 여러가지 설이 ... ...
해수온도 변화가 남극 오존구멍의 원인?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남극 성층권 오존층에 발생한 오존구멍은 화학반응만으로 모든 원인을 설명할 수 없다." 염소화합물을 비롯한 화학물질이 오존층 파괴의 주범이라는 통설에 반기를 ... 참가하고 있는 마크 쇼밸은 공감을 표시한다. 컴힐의 가설이 증명되지는 않았지만 흥미있는
지적
임에 틀림없다 ... ...
91년 국내 화제의 발명품 총집합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클러치페달을 밟지 않고 기어봉의 버튼을 누르기만 하면 클러치가 작동된다.WIPO(세계
지적
재산권기구)총장상은 '스테인리스강의 산화착색방법'을 발명한 안운선씨(61세)에게 돌아갔다.이 방법은 스테인리스강의 표면에 있는 일부 금속원소를 산화시켜 산소흡착층(吸着層)을 용해시킨 다음 크롬(Cr ... ...
특집1 알루미늄보다 가볍고 철보다 강한 '꿈의 소재'를 찾아서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대충대충 생산한 신소재 1t은 별개일 수 밖에 없다"고 KIST 최주박사는 말한다.최박사의
지적
대로 하나의 그럴듯한 신소재가 개발되면 산업계의 이전되기 전까지 여러 단계의 타당성 실험을 거치게 된다. 대개 10년 이상이 걸려야 비로소 확실하게 빛을 보게 되는 것이다.최근 거의 모든 신소재는 ... ...
이전
196
197
198
199
200
201
202
203
2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