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시
지명
지력
지성
지능
지식
지목
d라이브러리
"
지적
"(으)로 총 2,672건 검색되었습니다.
프로그래밍언어의 행진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자금줄인 국방부였다. 왕년의 스타인 호퍼여사가 국방부를 방문해 문제의 심각성을
지적
했다. 아닌게 아니라 국방부 역시 언어의 혼란성에 깊은 우려를 나타냈다.국방부 주최의 긴급위원회가 소집됐다. 새로운 사무용 언어의 표준화 작업에 모든 회사들이 찬성했다. 그러나 그 속셈은 표준안이 어느 ... ...
지피지기(知彼知己)가 필요한 때 고속전철 국산화 얼마나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전기국 건설국에 조차 전문기술인의 밀도가 약하다는 것을 관련자들은 공통적으로
지적
한다. 이러한 추세로 본다면 내년 2월에 확대 개편될 고속전철 건설공단(현재 입법 예고 중)도 크게 기대할 수 없다는 것이 중론이다. 전문기술 평가단 구성 시급이러한 인적구성으로는 3국의 입찰제의서 내용을 ... ...
2. 새로운 뇌관으로 떠오른 우발적인 핵전쟁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미래의 선택'에서 핵전쟁과 석유자원 고갈이 세계를 종말로 이끄는 원인이 될 수 있다고
지적
한 바 있다. 20세기에 꽃을 피운 석유문명은 인류에게 더없이 편리함과 윤택함을 주었지만 한정된 석유자원은 21세기 중반 이전에 고갈될 것이 분명하다.다행히도 인류는 새로운 에너지원인 ... ...
학부과정은 폭넓은 기초지식 쌓는 장(場)이 돼야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좁힌 꼴이 됐다.대학마다 비슷한 학과들이 즐비한 원인으로 교수정원제도의 문제점을
지적
하는 사람들도 있다. 국립대학의 경우 학과당 교수 정원이 10명을 넘지 못해 교수를 더 초빙하려고 학과를 신설하는 경우도 더러 있었다고 한다. 사립대학에서도 '학과신설'이란 명분이 있기 전에는 재단에서 ... ...
5 「통신사각지대」 사라진다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위력은 가히 혁명적이라고 할만하다. 정부가 우리의 경제 여건상 다소 무리라는 일각의
지적
을 접어두고 자체위성 보유를 지상과제로 추진하는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는 것이다.그렇다면 우리가 통신 방송용 자체 위성을 보유하게 됨으로써 파생되는 실생활의 변화는 과연 어떤 것이 있을까. 우리 ... ...
왼손잡이「로키」의 비밀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서로 균형을 이루게 되면 (왼손잡이)신경조직에 무리를 일으키고 큰 부담을 줄 수 있다고
지적
했다. 그는 또 편두통, 난독증(難讀症), 수면장애, 면역체계의 이상에서 오는 크론병, 늦은 성적(性的) 발달 등이 모두 이같은 뇌의 구조와 관련있다고 주장했다.뿐만 아니라 알레르기 류머티즘 등 면역성 ... ...
천랑성의 색깔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그렇지만 천랑성은 흰색이었고 그런 견지에서 이별에 어떤 변화는 없었다고 분명하게
지적
하는 중국서적들도 있다.이는 별들의 색깔이 변하지 않았다는 것이 아니다. 사실 이떤 별들은 변하곤 한다. 가령 어떤 적색거성들은 고동치듯이 떨면서 보통 때에 비해 어떨 땐 더 커지고 더 붉어진다. 이러한 ... ...
(2) 연타율 높고 왼손 부담 크다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있는 송현씨는 지난 69년 최초로 한글표준자판이 제정될 때부터 표준자판의 문제점을
지적
하고 3벌식으로 자판이 표준화돼야 한다고 주장해 온 인물.국내에 북한의 타자기 자판이 처음 소개된 것은 불과 3년전의 일이다.한글문화원의 공병우박사가 미국을 방문했을 때 한 교포로부터 북한의 천리마 ... ...
(5) 소프트웨어 「한글화」의 허실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하는 것이 국내 소프트웨어산업 발전에 기여하는 바가 더욱 클 것이라는
지적
도 있다. 이
지적
은 외국 유명 소프트웨어의 한글화에만 힘을 기울이게 되면 국내 소프트웨어산업의 발전보다는 오히려 계속적인 '소프트웨어의 종속화'가 심화된다는 것이다. 한글화된 소프트웨어는 자칫하면 '양복입고 ... ...
잘못 쓰이고 있는 과학기술용어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이미 사용하지 않는 용어인데 책이나 언론 등에서 사용하고 있는 것도 문제로
지적
할 수 있다. 이 뿐 아니라 '고분자물질'이란 용어에서 처럼 분명한 의미 차이가 있는 두 용어 'macromolecule'과 'polymer'를 모두 '고분자물질'로 번역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경우 개념 정립에 큰 혼란을 가져온다. 또한 ... ...
이전
198
199
200
201
202
203
204
205
2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