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실
실상
진실
실질
현실
실태
실천
d라이브러리
"
실제
"(으)로 총 6,115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블랙홀 속 수학여행
수학동아
l
2014년 12호
주위를 빙빙 도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당시 미심쩍은 이론이였던 아인슈타인의 주장은
실제
태양을 스쳐 지나가는 빛이 휘어지는 것이 관측되면서 사실로 증명됐다. 블랙홀이 빛나는 이유블랙홀은 어떻게 생길까? 큰 질량을 가진 별이 생명을 다하고 죽음을 맞이하는 순간, 스스로의 중력에 의해 ... ...
[수학뉴스] 에볼라, 의료진 확보가 시급하다
수학동아
l
2014년 11호
막을 수 있는지 등을 분석한 것이다. 또한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사례까지 고려해
실제
에볼라 환자는 드러난 규모의 약 2.5배로 간주했다.그 결과, 현재처럼 백신이 개발되기 전까지 환자를 격리시키기만 하는 수준으로는 에볼라를 진압할 수 없었다. 단 1개월만에도 환자가 2만 명이나 더 생겼다. ... ...
[시사] 물질의 수 체계
수학동아
l
2014년 11호
d차원 공간기하의 그라스만 대수는 일반적으로 R2d에 주어진 연산체계로 해설할 수 있다.
실제
세상에서 가장 중요한 경우는 물론 4차원 시공간의 그라스만 대수인데, 그때는 기본 직육면체도 많아지고 4차원 평행도형이생기기 때문에 기본원소가 다음과 같이 무려 16개가 된다. 그래서 4차원 ... ...
얼굴 읽어 주는 수학
수학동아
l
2014년 11호
부분을 분석해 3D 그래픽으로 재구성한다. 이를 정면을 바라보는 각도로 변환한 후, 다시
실제
사진으로 만들어 낸다. 촬영된 각도에 상관없이 얼굴을 인식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재가공된 사진을 기존의 사진과 비교하면서 가장 비슷한 사진을 찾아낸다. 페이스북에서는 향후 이 ‘딥 페이스’를 ... ...
PART 4. 화학상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새로운 길을 열어젖힌 연구자들이다. 머너는 이론적 토대를 마련했고, 베치그가
실제
현미경 개발에 성공했다. 먼저 베치그부터 살펴보자. 베치그는 1990년대 초에 이미 슈퍼스타 과학자였다. 벨연구소에서 초분해능 현미경의 조상뻘인 근접장 현미경(빛이 퍼지기 전에 표면 근처에서 신호를 포착해 ... ...
PART 1. Y염색체 1000만 년 뒤 사라질까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Y 염색체는 사라질 수도 있지 않을까. Y 염색체에 담겨있는 유전자 개수도 78개다. 그나마
실제
로 활동하는 유전자는 20여개에 불과하다. Y염색체가 사라지기 더 좋은 환경이다. ‘Y 살아남는다’는 연구도 나왔지만 이처럼 그동안 많이 나왔던 연구는 ‘Y몰락설’을 지지하는 게 많았다. 그러나 ... ...
[knowledge] 생명의 양자도약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전자는 여기저기 마구잡이로 부딪히며 이동하고 당연히 에너지를 잃게 된다. 하지만
실제
에너지 효율은 예상보다 훨씬 높다. 왜 그럴까? 플래밍 교수는 여기에 양자 중첩이 작동한다고 제안한다. 전자가 모든 경로를 동시에 훑어보고 최단경로를 찾아 고속도로를 탄 것처럼 이동한다는 것이다. ... ...
[knowledge] 우주멀미는 괴로워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그림은 찌그러져 있는 모양이다! 연구에 따르면 무중력 상태에서는 시각의 왜곡 때문에
실제
보다 물건들의 거리가 가까워 보이게 되므로 3차원 지각 능력이 떨어진다. ‘대한민국’ 글씨를 평소처럼 써서 지구로 전송하는 실험도 있었는데, 이 역시 지구에서 평소 쓰던 글씨체보다 작은 글씨가 ... ...
명예기자와 기자단이 만나 제주에서 우주로~!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운석부터 우주비행사들의 식량, 지금 화성에서 활동 중인 탐사선 ‘큐리오시티’의
실제
크기 모형까지 우주에 관련된 다양한 콘텐츠를 직접 만지고 볼 수 있답니다. 입체 영상이 360도로 펼쳐지는 5D 상영관 ‘폴라리스’도 놓칠 수 없을 거예요~.인류가 우주로 진출한 지는 아직 100년이 채 지나지 ... ...
[hot science] 개코보다 코끼리코!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사람 구분하는 아프리카코끼리 영국 리처드 바이른 교수팀이 케냐 국립공원에서 실험한
실제
사진. 마사이족 고유의 옷(A)과 캄바족이 입었던 옷(B)을 주고 행동을 관찰했다. 그 결과 코끼리는 마사이족이 입었던 고유의 옷 냄새를 맡았을 때 폭력적인 반응을 보이거나 도망쳤다(오른쪽 위) ... ...
이전
199
200
201
202
203
204
205
206
2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