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실제"(으)로 총 6,115건 검색되었습니다.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 산책 공간의 대수수학동아 l2014년 10호
- 생각해 보라. 그러면 0점만 가지고는 부족하다는 것을 금방 알게 된다. 그런데 2B, 1/2B 등 실제 수와 B 사이의 곱은 정의할 수 있다(그림❸).그렇지만 0점만 가지고는 A를 수로 생각할 수 없는 것이 문제다. 그러니까 곱셈을 정의할 때는 0만 가지고는 부족하고, 1을 정해야 한다. 그러면 단위를 하나 ... ...
- [knowledge] 우주는 무한대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노예인 것은 우주의 섭리야. 입 닥치고 공부나 해!”라고 답하는 거랑 비슷하다. 실제 ‘입 닥치고 계산(Shut up and calculate)’이나 하라는 것은 교과서에도 등장하는 양자역학의 주요한 해석(?) 중 하나다.양자측정이 야기하는 역설에 대해서는 이 코너에서 이미 몇 번 다룬 바 있다. ‘슈뢰딩거 ... ...
- [화보] 열매의 아찔한 유혹수학동아 l2014년 10호
- 색인지 가상의 색인지’입니다. 엄밀히 말하자면, 사진에서 보이는 색상은 열매의 실제 색은 아닙니다. 하지만 완전히 가상의 색도 아니죠. 본래의 색을 바탕으로 열매의 구조와 기능적인 특징을 부각시키기 위해 색을 수정했기 때문입니다. 열매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가장 기억에 남는 순간은 ... ...
- 5th 마틴 가드너의 퍼즐 캠프수학동아 l2014년 10호
- 최대로 나올 수 있는 삼각형의 개수는 65개다. 2005년 10월, 일본의 토시타카 스즈키는 실제로 65개의 삼각형을 모두 찾아내고 그리는 데 처음으로 성공해 화제가 되기도 했다. 또한 이 표에서는 10개의 직선으로 그릴 수 있는 삼각형의 최대 개수가 26개로 나온다. 그러나 현재까지 25개의 삼각형을 ... ...
- [만화뉴스] 지렁이의 전진, 수학으로 설명하다수학동아 l2014년 10호
- 정확도를 입증했다. 다양한 질량의 가상 지렁이를 만들어, 여러 가지 서로 다른 조건에서 실제 지렁이처럼 움직이는지 확인한 것이다.연구팀은 이 모델을 로봇공학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파올레티 교수는 “우리는 부드러운 몸체가 스스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메커니즘을 제안한 ... ...
- [체험] 서울대 컴퓨터공학과 운동연구실 생명체의 움직임을 재현한다!수학동아 l2014년 10호
- 컴퓨터 그래픽 분야는 물론, 응용 분야인 의학, 영화, 예술계에서도 활약이 커지고 있다. 실제로 이제희 교수 연구팀은 분당 서울대학교 병원 의료진과 공동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정형외과에서 진행하는 수술을 시뮬레이션해서, 수술 후 경과를 미리 알아보는 데 활용하기 위해서다.한편 ... ...
- [life & tech] 우리 조상은 언제부터 흰 쌀밥을 먹게 됐을까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종은 동북아시아 지역에 널리 재배되는 종으로 낱알이 짧고 굶다. 우리나라에서 실제 재배된, 자포니카 종의 아종이나 변종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다. 장재기 국립식량과학원 답작과 박사는 “구한말과 일제강점기에 수집한 재래종으로 우리 조상들이 키웠던 벼를 추측하고 있을 뿐”이라고 말했다 ... ...
- [박경미 교수의 수학캠핑] 선행학습의 감옥에 갇힌 학생들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내린 선택 하에서 자신의 선택이 최적이기 때문에 더 이상 선택을 바꾸지 않는다.내쉬가 실제로는 어디에서 영감을 받았는지 모르지만, 영화 속에서 내쉬는 금발 미녀를 둘러싼 남학생들의 심리적 역학관계에서 섬광 같은 아이디어를 얻는다. 어느 날 그는 네 명의 친구와 바에 앉아 있는데, 금발 ... ...
- [hot science] 로봇에게 윤리를 가르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따라 다른 의도를 가지고 행동할 수 있다.이런 ‘다중행위자 플랫폼’을 사용하면 실제 사회와 같은 복잡한 네트워크 속에서 윤리적 판단을 내릴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자와 의사, 간호사, 보험회사 직원 등 다양한 사람이 환자의 개인 정보에 접속할 때 누구에게 어떤 권리를 주는 것이 바람직한지 ... ...
- [life & tech] 과학자와 예술가의 만남 2014 아티언스 오픈랩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외로운 여정이라는 점에서 동료이자 친구였다.이제 시작일 뿐시간적, 지리적 제약으로 실제 같이 작업할 수 있는 시간이 그리 길지 않았다는 점을 모두 아쉬워했다. 또한 ‘하는 사람만 계속하는’ ‘바쁜 사람만 바쁜’ 구조에 대한 지적도 있었다.그렇지만 변화도 엿보였다. 홍석환 ... ...
이전20120220320420520620720820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