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한국"(으)로 총 9,740건 검색되었습니다.
- 김빛내리|인간이 풀지 못한 세포의 비밀 프런티어 과학자가 밝힌다과학동아 l2019년 04호
- 것 같습니다.” “저도 했으니 당신도 할 수 있습니다”김 교수는 “후배 과학자들에게 한국 과학자가 세계적으로 더 큰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걸 보여주고 싶다”며 “나도 했으니 다른 사람도 충분히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학문적인 성취로 보나 사회적 지위로 보나 ‘넘사벽’인 그의 말이 ... ...
- 신용현|국회의원이 된 과학자, 과학 현장의 목소리를 높이다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상승작용이 일어나면서 점점 보는 눈이 넓어지고 네트워크가 쌓이더군요.”신 의원은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원장직을 내려놓고 2016년 당시 국민의당 비례대표 1번으로 국회에 입성했다. 전혀 계획에 없던 일이었지만, 19대 국회에서 활약했던 과학자 출신 의원들이 대부분 공천을 받지 못하는 상황을 ... ...
-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 폴리매스 프로젝트수학동아 l2019년 04호
- 통계적 추론은 반드시 확률에 기반한 수학적 원리를 바탕으로 이뤄집니다. 예를 들어 한국 사람의 키와 나이 데이터를 이용해 나이가 1살 많으면 키는 얼마나 큰지 알아내기 위해 데이터의 분포와 가장 비슷한 비례 관계, 즉 선형 모형을 찾는 ‘최소제곱법’을 이용하죠. 현대 사회를 흔히 ... ...
- 하현준 대한화학회장 인터뷰 "원소 118개 영상 공개해 화학의 가치 알릴 것"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주기율표의 해(IYPT·International Year of Periodic Table)’로 정했다. 하현준 대한화학회장(한국외대 화학과 교수)은 “주기율표는 세상의 근간이 되는 원소를 정리했다는 점에서 화학의 원천을 담아낸 업적”이라고 평가했다. 올해는 국제순수·응용화학연합(IUPAC) 설립 100주년이기도 하다. IUPAC은 전 세계 . ...
- 나만의 주기율표 만들기 대회과학동아 l2019년 04호
- 탄생 150주년을 맞아 대한화학회와 한국화학연구원이 과학동아와 함께 ‘나만의 주기율표 만들기 대회’를 개최합니다. 사각 칸에 일렬로 채워진 주기율표의 디자인이 너무 밋밋했나요? 원소 기호만 잔뜩 들어 있어 보기에 너무 답답했나요? 주기율표는 왜 항상 표로만 나타내는지 궁금했나요? 이런 ... ...
- [이소연이 만난 우주인] 우주김치와 태권도를 사랑한 개럿 레이즈먼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이동으로 입맛도 없고 맛도 잘 느낄 수 없는데, 러시아나 미국 우주식에 비해 강한 맛의 한국 우주식이 얼마나 맛있는지!” 스페이스X에서 민간 우주산업에 도전2010년 두 번째 우주비행을 마치고, 2011년 개럿은 NASA 우주인에서 은퇴했다. 그리고 이후 7년간 민간 우주기업 스페이스X에서 수석공학자로 ... ...
- [중국유학일기] 中대학의 MT, 반 모임에서 '베프' 만들기과학동아 l2019년 04호
- 한다면 어느 정도 정기적으로 활동하는 동아리를 추천한다. 태권도 동아리의 경우 한국 유학생도 많고 모임도 정기적으로 진행해 학교생활 적응에 도움이 된다 ... ...
- 고정환|'발사체 독립'의 꿈, 대한민국에 희망을 주다과학동아 l2019년 04호
- 결과를 설명하던 그다웠다. 무(無)에서 유(有)를 창조한 리더십지난해 11월 28일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연구팀은 누리호의 1단과 2단에 들어가는 75t(톤) 액체엔진의 성능을 검증하는 시험발사체를 성공적으로 발사했다. 누리호는 600~800㎞ 지구 저궤도에 1.5t급 실용위성을 쏘아 올릴 수 있는 3단형 ... ...
- 플레이볼. 공인구 변화가 나비효과 만들까?수학동아 l2019년 04호
- 계속되고 있다. 원인은 다양한데, 공인구 반발력 문제가 대표적인 문제로 대두됐다. 이에 한국야구위원회는 올 시즌 타고투저 현상을 줄이기 위해 공인구의 반발계수를 낮추고 실밥의 폭을 늘리고 높이는 줄였다. 이 변화는 과연 타자와 투수에게 어떤 영향을 줄까? 스타 선수 영입은 기대할 수 ... ...
- 이상엽|국제학술지, 경제, 중국...글로벌 파워를 뿜어내다과학동아 l2019년 04호
- 2시간밖에 되지 않는 날도 있지만, 적어도 그가 편집에 관여하고 있는 국제학술지에서는 한국 과학자들을 위한 목소리를 낼 수 있기에 그는 보람을 느낀다고 했다. 그리고 바로 이 점이 과학자 400명으로부터 ‘파워피플’로 지지를 받은 이유가 아닐까 조심스럽게 추측했다. 논문은 기본, ... ...
이전20020120220320420520620720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