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한국"(으)로 총 9,740건 검색되었습니다.
- [3·1운동 100주년] 대한의 모든 존재에게 한글 이름을 허하라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이라는 곤충학 논문을 발표했다. 해방 이후에는 국립과학박물관장을 지냈다. 그는 한국 최초로 ‘곤충기’를 발간한 인물이다. 책 자체는 해방 이후인 1948년 발간됐지만, 내용은 1930년대부터 자신이 신문, 잡지, 라디오, 강연 등을 통해 대중에게 전달했던 곤충에 관한 말과 글을 한 데 엮었다. ... ...
- 수압, 감수하시겠습니까... 해저 36m 수중 데이터센터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위해서다. 2013년 강원도 춘천에 건설한 네이버 데이터센터 ‘각’도 마찬가지다. 춘천은 한국에서 평균 기온이 가장 낮은 지역 중 하나로, 네이버는 산에서 내려오는 차가운 바람이 내부의 열을 식히도록 데이터센터를 설계했다고 설명했다.하지만 이런 친환경 데이터센터에는 치명적인 단점이 ... ...
- [이소연이 만난 우주인] 영화 ‘그래비티’의 모티브가 된 인물, 케이디 콜먼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어떤 것인지 한 순간에 알게 될 거라고.” 정말 설득력 있는 대답이었다(머리카락 문제는 한국에 있는 동생이 머리망을 구해줘 의외로 쉽게 해결됐다).케이디는 그도 한 때 긴 머리 때문에 핀잔을 들은 적이 있다며, 그래서 머리를 묶으려 했던 적이 있다고 회상했다. 하지만 함께 비행했던 최초의 ... ...
- 쇼 미더 매스! 수학과 랩의 만남수학동아 l2019년 03호
- 랩도 곧 선보일 예정! 혹시 수학 랩을 만들 생각은 없을까? 사실 사이언스웩은 이미 한국과학창의재단에 수학 랩을 만들어 보겠다고 제안했다. 화학(널 향한 주기율표), 물리(작용반작용), 지구과학(우주휴가) 랩을 만들어서 생물과 수학이 남았는데, 사이언스 나이트라이브의 ‘매스 댄스’의 ... ...
- [화보] 신비한 생명이 가득! 2018 야생 사진전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3호
- 함께 전시되어 있답니다. 올해는 여러분이 직접 이 사진전에 참여해 보는 건 어떨까요? 한국에만 있는 동물과 식물, 아름다운 풍경을 전세계에 알릴 수 있는 기회가 될지도 몰라요 ... ...
- [3·1운동 100주년] 일제강점기 조선 과학자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9년 03호
- 과학자 박화영의 죽음을 아는가. 박화영은 도쿄제국대학을 졸업하고 일본 이화학연구소(RIKEN) 연구원으로 활동하던, 장래가 촉망되던 젊은 조 ... 주요 저서로는 ‘한국 근대 과학기술인력의 출현’ ‘황우석 신화와 대한민국 과학’ ‘한국 과학기술혁명의 구조’ 등이 있다. rootkgb@jbnu.ac ... ...
- 한국 인공태양 완공 10년, 1억 도로 타올랐다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최대 규모 장치는 프랑스 남부 카다라슈에 건설 중인 ‘국제핵융합실험로(ITER)’다. 한국과 유럽연합(EU), 미국, 일본, 러시아, 중국, 인도 등 7개국이 참여해 구축하고 있는 ITER는 2025년 12월 완공될 예정이다. 2025년 이후에는 중수소-삼중수소를 이용한 초전도 핵융합 반응을 통해 핵융합 에너지 ... ...
- '약밍아웃' 통해 본 스테로이드 부작용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정설이다. 도핑 검사 비용을 절약하고, 대회의 수준을 높인다는 이유에서다. 손정현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도핑컨트롤센터 선임연구원은 “스테로이드뿐만 아니라 흥분제(스티뮬런트), 성장호르몬, 인슐린, 약물 복용 사실을 숨기기 위한 이뇨제까지 약 500가지 금지 약물을 모두 잡아낼 수 있는 ... ...
- 화면만 터치, 디스플레이 지문인식과학동아 l2019년 03호
- 태아를 관찰하거나 비파괴 검사 등 의료와 산업 현장에서 두루 사용되고 있다. 박춘수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안전측정센터 책임 연구원은 “의료용은 5~20MHz(메가헤르츠)까지, 산업체에서는 500kHz~10MHz 대역의 초음파를 쓴다”며 “차량용 후방 센서도 40~50kHz의 초음파를 많이 쓰며, 최근에는 각종 ... ...
- [인포그래픽] 까끌까끌한 고양이 혓바닥의 비밀과학동아 l2019년 03호
- 한국은 여전히 개를 더 많이 키우고 있지만, 반려동물로 고양이의 인기가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국내 1인 가구가 늘면서 집에 홀로 남겨지면 외로움을 타는 개보다 고독을 즐기는 고양이가 반려동물로 적합한 것도 한 이유일 것이다. 고양이는 혼자서도 잘 논다. 그리고 깨어있는 시간의 많은 ... ...
이전20120220320420520620720820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