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위논문
논제
시문
석사논문
석사
박사 학위 논문
글
d라이브러리
"
논문
"(으)로 총 3,673건 검색되었습니다.
건설환경공학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건설환경공학부는 주로 국가 프로젝트 연구를 담당하며 이를 바탕으로 석·박사 학위
논문
을 쓴다. 대학원 졸업 후에는 학계는 물론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이나 한국환경정책연구원과 같은 국책연구소에 진출할 수 있다.7 취업을 선택하면요?건설환경공학도의 진출분야는 매우 다양하다. 학사학위 ... ...
Part1. 우주 극한 현상의 지존, 감마선폭발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확실한 정보를 얻지 못했다.‘네이처’에는 이 현상을 서로 다른 관점에서 해석하는
논문
두 편이 나란히 실렸는데 둘의 입장차이가 너무 커서 어리둥절할 정도다. 스페인 안달루시아 천체물리학 연구소 크리스티나 퇴네 박사가 주축이 된 국제 공동연구팀(서울대 임명신 교수팀도 포함됨)은 덜 ... ...
6000년 전 배달국의 천문대장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각각 7개로 나눠져 총 28개(동양 별자리 28수와 동일한 수)로 구성돼 있으며, 박 위원이
논문
지도를 하고 있는 천재 소년 송유근 군의 이름을 뒤바꾼 인물(근유)이 등장한다. 범악국과의 전쟁에서 희생되는 배달국 사람이 천안함 사건 희생자 수 46명과 같다.그는 “4년간 아이디어를 구상한 뒤 집필한 ... ...
Part 4. 미래 100억 지구의 적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더 클 것이다.3 줄어드는 출산율 위협 요인10년 전인 2001년 8월, ‘네이처’에는 흥미로운
논문
이 실렸다. 오스트리아 국제응용시스템분석연구소의 볼프강 루츠 교수팀이 발표한 인구 예측 결과였다.루츠 교수는 세계를 13개 지역으로 나눈 뒤 유엔과 미국인구통계국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해 미래 ... ...
“외국 학생들이 유학 오는 대학으로 발전할 것”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논문
중 국내에서 가장 많이 인용된
논문
도 포스텍 김기문 교수의 2000년 ‘네이처’
논문
으로 총 1656회 인용된 바 있다. 단순한 양적 성장보다 질적 성장을 추구, 대한민국 기초과학 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했다.개교 당시 재미과학자 귀국 장려로 60여명의 해외 석학들이 국내로 복귀한 ... ...
비전을 솔직하게 쓰고 말하라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성질이 많이 달라진다”며 “인터넷에서 금속과 관련된
논문
도 찾고 KAIST 교수님이 쓰신
논문
도 읽어 봤다”고 말하는 현종 군은 그 중 KAIST 권혁상 교수의 ‘스테인리스강의 이해(한국철강신문)’를 인상 깊게 읽었단다. 이 책을 통해서 금속의 쓰임부터 조합하는 원료의 비율에 따라 금속의 성질이 ... ...
Part 2. 시간 1000명에서 70억으로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영국 런던대 인류학과 제인 장 교수팀이 2007년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에 발표한
논문
에 따르면, 중국의 경우 13~14세기 몽골군의 침략 때인구가 원래의 거의 절반인 5500만 명으로 줄었다. 한편 전쟁 뒤에는 갑작스럽고 일시적인 인구 증가 현상(베이비붐)도 따라온다. 미국의 경우 2차 세계대전 뒤인 ... ...
근육로봇의 탄생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로봇의 움직임을 더 효과적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저는 로봇공학자지만 생물학
논문
을 많이 읽죠.”[조규진 서울대 항공공학부 교수팀이 개발한 ‘벼룩로봇’의 모습][로봇은 형상기억합금 스프링을 이용해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제자리에서 제 몸의 30배가 넘는 높이를 뛸 수 있다]파리 안에 답이 ... ...
세상에서 가장 둥근 게 뭐지?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구를 만들어낸 인간이 자연보다 앞선 듯 했다. 하지만 2011년 5월 과학지 ‘네이처’에
논문
한편이 발표되면서 상황은 역전된다. 주인공은 우주에 떠 있는 천체가 아니라 아주아주 작은 전자였다. 전자는 이제까지 관측한 그 어떤 것보다 훨씬 더 완벽한 구 모양이었던 것이다.어느 정도냐 하면 ... ...
“남 배려하는 따뜻한 학생 뽑겠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교육기관이라는 겁니다. 이게 요즘 뒤바뀐 것 같아요. 교육은 등한시되곤 합니다. 교육이
논문
쓰는 것보다 더 중요합니다.일부에서는 서울대 공대생의 자퇴 비율이 높다고 지적합니다. 이 문제는 학교와 사회가 함께 풀어야 합니다. 자퇴생의 대부분은 법학이나 의학을 전공하려고 합니다. 그쪽이 ... ...
이전
201
202
203
204
205
206
207
208
2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