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논문"(으)로 총 3,673건 검색되었습니다.
- 1973년 허버트 보이어 교수의 제한효소를 이용한 재조합DNA 실험과학동아 l2012년 01호
- 아무 문제 없이 복제됐던 것이다. 연구 결과는 1974년 5월 ‘PNAS’에 실렸다. 이 논문이 시사하는 바는 너무나 명확했기 때문에 ‘뉴욕타임스’를 비롯한 언론들은 연구결과를 대서특필했다. 즉 개구리의 DNA가 들어가도 문제가 없다면 사람의 DNA(유전자)가 들어가도 문제가 없다는 뜻이다.많은 ... ...
- 공부도, 취미도 척척! 미래의 과학자를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19호
- 관심이 많았어요. 고등학교 때는 동백씨 기름의 효능에 대해 연구를 했고, 그때 쓴 논문으로 상도 받았지요. 여전히 생명과학은 제가 가장 관심있는 분야예요. 하지만 카이스트에서 공부하면서 물리나 컴퓨터 같은 다른 분야에도 흥미가 생겼답니다. 앞으로 여러 과학을 합쳐서 연구하는융합과학에 ... ...
- 무지개 실종사건 사라진 무지개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14호
- 보이던 무지개가 대기오염 농도를 높이자 점점희미해진 거야. 노가야, 박상미 누나는 이 논문으로 국제과학전람회에서 최우수상을 받았단다. *㎍ : 마이크로 그램, 백만분의 1g을 나타내는 단위.잠깐! 난 무지개가 아니지롱~!무지개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무지개가 아닌 무리, 채운, 광환이라는 ... ...
- 과학으로 보글보글, 요리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13호
- 떨어뜨린 논문 한 편을 발견했어. 하버드 대학교 영장류학자인 리처드 랭햄 교수의 논문이었지. 거기엔 이렇게 적혀 있었어. ‘인류가 이렇게 진화할 수 있었던 건 바로 요리 때문이다…!’❶ 뇌 크기의 증가*고 호모사피엔스는 현생인류의 뇌용량인 1200cc보다 조금 작은 1150cc 크기의 뇌를 가지고 ... ...
- 서커스 최고 스타, 저글링에 도전하다!수학동아 l2011년 12호
- 최고!)’X note 저글링을 사랑한 수학자헝가리의 수학자 피터 프랭클은 약 200여 편의 수학 논문을 발표한 세계적인 수학자다. 그런 그를 유명하게 만든 건 수학 연구가 아니라 저글링 공연이다. 현재 그는 80여 개국을 돌며 수학 강연 뒤 저글링 공연을 한다. 수학에 지친 학생들에게 활기를 불어넣어 ... ...
- 1998년 윌리엄 마틴 교수의 진핵생물 기원의 수소가설 제안과학동아 l2011년 12호
- 들어있었다. 역시 이들 옆에 붙어 공생하는 원핵생물도 존재했다.마틴과 뮐러는 논문 말미에서 “산소가 없는 조건에서 진핵생물은 우리가 알고 있는 것보다 원시적인 형태로 존재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이번 동물 3종의 발견으로 이들의 주장 가운데 하나는 빗나갔지만 수소가설 자체는 여전히 ... ...
- 부모와 대화 많이 할수록 수학실력 오른다수학동아 l2011년 12호
- 레빈 교수는 조기교육보다 부모와의 잦은 대화가 자녀의 학습능력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 논문을‘발달과학’최신호에 발표했다.공간지각능력은 공간관계나 위치를 감각적으로 파악하는 능력이다. 보통 생후 3개월부터 발달하기 시작하고, 수학이나 과학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
- Part 1. 명상의 뇌과학과학동아 l2011년 12호
- 심리치료가의 40% 이상이 이 명상법을 쓰고 있다”고 말했다. 미국에서는 매년 명상 관련 논문 1200여 편이 심리학이나 의학 학술지에 발표되고 있다.명상에 따른 뇌파의 변화명상을 하면 뇌에 변화가 일어난다. 뇌의 활동은 기본적으로 전기적 활동이다. 뇌에 자극이 오면 뇌속에 있는 신경세포들은 ... ...
- 강정수·이연희 교수 ‘올해의 여성과학기술자상’과학동아 l2011년 12호
- 물질에 쬔 뒤 전자의 성질을 분석하는 연구를 주로 했다. 과학기술논문인용색인(SCI)급 논문만 140편이 넘는다. 이 중 7편은 물리학 분야에서 최고의 권위를 자랑하는 ‘피지컬 리뷰 레터스’에도 실렸다.진흥 부문 수상자인 이 교수는 국가 생명자원 인프라를 구축하고 우리나라의 연구소재은행이 ... ...
- 애벌레 몸속엔 부동액이 있다과학동아 l2011년 12호
- 됐기를 기대한다. 재미가 있었는지, 유익했는지 궁금하지만 12월호를 마감하면서 좋은 논문의 마지막 탈고를 끝낸 기분이다. 그동안 읽어주신 과학동아 독자께 고맙다는 말씀을 드린다 ... ...
이전2022032042052062072082092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