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양"(으)로 총 8,094건 검색되었습니다.
- 다~ 드루와! 다트의 세계로!수학동아 l2017년 12호
- 낮은 사람이 높은 점수를 노리는 건 좋은 전략이 아니라는 사실! 여러분도 다트를 던져서 모양을 관찰한 뒤 가장 높은 점수를 얻을 수 있는 영역을 노려보세요! 조광희 국가대표 프로 다트 선수 인터뷰다트, 희망을 던지다 2017 다트 월드컵에 국가대표로 뽑힌 조광희 선수를 수학동아가 ... ...
- Part 2. [변신 2단계] 더 작게! 더 간편하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큰 수박에 비해 우성 ●형질을 갖는 특성을 이용하는 거예요.●형질 : 생물체가 가지는 모양이나 성질을 일컫는 말.수박은 같은 형질을 결정하는 유전정보를 늘 한 쌍씩 가지는데, 이때 한 쌍에 속한 두 개의 유전정보가 서로 다를 수도 있어요. 그 중 수박의 실제 모습으로 나타나는 유전 정보가 ... ...
- Part 2. AI, 인공신경망으로 뇌 뛰어넘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생길 정도로 얼굴을 찌푸리자 “화남(angry)”이라는 메시지가 뜬다. 입을 시옷(ㅅ)자 모양으로 만들었더니 금세 “슬픔(sad)”으로 바뀌었다. 윤 책임연구원은 “딥미러는 스스로 학습하는 AI인 만큼 어떤 단계를 거쳐 답변을 내놓는지 개발자인 연구팀조차 자세하게 알기 어렵다”고 말했다. ... ...
- [Culture] 지옥구더기의 분류학적 위치에 대하여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잘 사는 애들이죠. 몸에 무슨 끈적이는 걸 둘러서 극한 환경에 적응할 수 있게 진화한 모양이더라고요.” 기생충 이야기가 나오면 으레 그렇듯이, 정 박사는 자기 전공 이야기를 멈출 줄 몰랐다. 이 녀석도 인터뷰를 한 번 나가봐야 한다는 나쁜 마음이 스멀스멀 올라왔다. 아마 나보다 더 인기를 ... ...
- 이 상자의 주인은 나야! 도트 앤 박스수학동아 l2017년 12호
- ‘끈과 동전’ 게임이 있어요. 격자에서 만들 수 있는 상자 수만큼 동전을 사각형 격자 모양으로 늘어놓고 끈으로 이웃한 동전을 이은 뒤, 변에 있는 동전은 밧줄을 1개 또는 2개 추가해 모든 동전에 연결된 밧줄이 4개가 되도록 합니다. 이제 상대와 번갈아 가며 가위로 끈을 하나씩 끊습니다. 동전과 ... ...
- Part 1. 플라스틱 소라게가 나타났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연약한 배 부분이 천적이나 외부 환경에 모두 노출되니까요.소라게는 사실 집의 종류나 모양을 크게 따지는 편은 아니에요. 몸을 밀어넣어 자신을 보호할 수만 있다면 고둥껍데기는 물론 조개껍데기, 산호, 관갯지렁이 관, 썩은 나무, 구멍 난 돌 등을 집 삼아 살지요.그런데 해양오염으로 인해 ... ...
- 사진 속에 비밀을 감춰라! 스테가노그래피수학동아 l2017년 11호
- 수 있는지부터 테스트해볼 거예요. 방법은 간단합니다. 아래 타일 뭉치에 있는 정사각형 모양의 16개 타일 중 2개만 나머지와 색이 다릅니다. 눈을 크게 뜨고 여섯 개의 타일 뭉치에서 색이 다른 타일을 두 개씩 골라보세요. 타일 뭉치 위에 적힌 ‘색 유사도’는 두 타일이 다른 타일과 색이 얼마나 ...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구슬 옥(玉=王)’에 ‘놀라서 볼 경(睘)’이 더해져 만들어진 한자예요. 옷에 달린 고리 모양의 옥 장식을 뜻한답니다. 이 옥(玉) 장식은 사람이 눈여겨볼 정도로 중요한 장식품이기 때문에 ‘놀라서 볼 경(睘)’이 쓰인 거예요 ... ...
- Part 4. 아쿠아 맨의 삼지창 초속 100m 초공동 어뢰로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물을 흘려보내 초공동 현상을 발생시킨다. 연구팀은 수조를 이용해 유속, 캐비테이터 모양 등 조건에 따라 초공동 현상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연구하고 있다. 이는 거대한 해양 운송체나 새로운 수중 무기를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될 전망이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저스티스리그 ... ...
- Part 1. [물리학상] 100년 만에 중력파 존재 확인과학동아 l2017년 11호
- 건전한 조직 문화와 연구개발 문화를 갖게 된 데는 배리시 단장의 공이 컸다. ‘ㄴ’자 모양인 라이고는 중앙에서 발사한 레이저가 90도를 이루는 두 팔 끝까지 갔다가 반사돼 다시 돌아오도록 설계됐다. 이렇게 돌아온 두 개의 레이저 빔을 합성하면 간섭 현상이 생긴다. 이를 이용해 두 팔의 길이가 ... ...
이전20120220320420520620720820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