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생각"(으)로 총 14,498건 검색되었습니다.
- [퍼즐라이프] 무엇이 다를까? 칠교와 도형분할 역설수학동아 l2020년 11호
- 오른쪽 칠교판 역설 퍼즐). 각각의 모양을 만들어보면서 모양 차이가 생기는 이유를 생각해보세요. 칠교판 역설과 비슷한 것으로, 19세기에 활동한 유희 수학자 샘 로이드가 고안한 ‘샘 로이드의 역설적 분할’이 있습니다. 아래 그림처럼 정사각형을 분할한 4개의 조각을 배치만 다르게 했을 ... ...
- 도전! 노벨물리학상 ‘펜로즈 특이점 정리’ 이해하기과학동아 l2020년 11호
- 개념을 정의하자. 지구 위의 어두운 실험실 안, 양면에서 빛을 내는 구 모양의 전등을 생각하자. 구형 전등을 잠깐 반짝이면 (그리고 빛의 운동을 볼 수 있다면) 전등을 이루는 구면의 안쪽과 바깥쪽으로 뻗어나가는 두 종류의 구형 빛 파면이 생길 것이다. 이때 안쪽의 파면은 순간 그 넓이가 ... ...
- 지구 떠난 지 8개월 천리안 2B호가 보낸 영상 편지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우리나라 바다는 어떤 모습일까. 3만6000km 목표궤도 찾아가는 긴장의 일주일“너무 생각한 대로 돼서 놀랐습니다.”이 말을 들은 기자는 더 놀랐다. 우주 분야 연구라면 으레 ‘예상하지 못한 상황이 발생해서 당황했지만 해결했다’는 스토리가 나와야 했는데 말이다. 위성 발사 전 아무리 우주의 ... ...
- SF 상상하면 실현된다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시간이 흘러 SF 속 과학기술은 현실이 돼 우리의 모습을 바꿔놨다. 그러자 다시 사람들은 생각했다.‘지금 SF에 그려지는 미래는 얼마나 빨리 현실이 될까’.‘아니, 이미 현실이 아닐까’.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Science Future │ 현실에 나타난 SF 과학기술Science Festival │ 토론, 영화관람, 게임, ... ...
- [나는 과학동아 키즈]플라스틱 먹는 박테리아 찾아 스타트업(start-up)!과학동아 l2020년 11호
- 당시 나의 최대 고민 중 하나는 전공을 선택하는 문제였다. 리플라 프로젝트를 사업화할 생각이었기 때문에 어떤 전공을 선택해야 사업에 도움이 될지 고민이 많았다. 창업인재 전형으로 입학해서 부전공은 벤처경영학과로 고정돼 있었으나, 주전공은 자유롭게 고를 수 있었고 하고 싶은 게 너무 ... ...
- 심우주, 아득히 먼 곳을 향하여!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용기 속에 보관해야 해요. 반수소 원자들을 반리튬 원자로 감싼 채로 보관하면 될 거라 생각합니다. 물론 반물질을 충분한 양으로 모으는 연구가 먼저 진행되어야 하겠지만요. 반물질을 1g 이상은 모아야 하는데, 지금은 원자 하나 하나를 겨우 만드는 정도거든요. Q.아직 현실이 되려면 한참 ... ...
- [쇼킹 사이언스] 물속에선 내가 왕! 스피노사우루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1호
- VS 티라노사우루스, 승자는?’ 공룡을 좋아하는 친구들이라면 한 번쯤 생각해 봤을 질문일 거예요. 영화 를 봤다면 스피노사우루스가 티라노사우루스를 단번에 제압하는 장면이 강렬한 인상을 남겼을 테지요. 스피노사우루스는 등에 부챗살 같은 돛이 특징인 거대한 수각류공룡이고, ... ...
- 과학난제3. 불로장생의 삶, 가능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일으키는 세포의 활동을 정지시킨다면, 암세포를 정상세포처럼 되돌릴 수 있을 거라고 생각했죠. 세포들은 서로 긴밀하게 연결되어 상호작용을 하고 있어요. 이때 암세포와 정상세포가 어떻게 상호작용 하는지 밝혀내면 암세포의 활동만을 막을 수 있죠. 이는 암세포의 활동만을 근본적으로 막는 ... ...
- [이달의 과학사] ‘ 빛 공해 금지법’을 최초로 도입한 나라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1호
- 하지만 체코의 천문학자들은 빛 공해를 막을 수 있는 가장 강력한 수단은 법의 규제라고 생각하고, 의회를 통해 열심히 청원 활동을 벌였어요. 그 덕분에 2002년 6월 1일, 체코는 빛 공해를 막는 법을 도입한 최초의 국가가 되었답니다. 바깥에서 사용하는 불빛은 필요한 방향으로만 비치고 하늘로 ... ...
- 필즈상과 노벨상 수상 비법 공개 질문이 위대한 발견 낳는다!수학동아 l2020년 11호
- ‘특이점 정리’라고 불렀죠. 1965년에 발표된 이 연구는 그동안 이론적인 존재일 거라 생각했던 블랙홀의 존재 가능성에 무게를 실어줬습니다. 동아사이언스 × KAIST 과학영재교육원세상을 바꿀 문제에 도전하라! 궁극의 질문 프로젝트 필즈상과 노벨상 수상자처럼 훌륭한 연구의 출발점이 될 ... ...
이전20120220320420520620720820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