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솜씨
테크닉
재주
기량
서술
숙련
수완
뉴스
"
기술
"(으)로 총 25,856건 검색되었습니다.
'박테리아 조준 미사일 칵테일'…항생제 안 듣는 '슈퍼박테리아' 새 사냥법
동아사이언스
l
2024.11.28
파지 이름은 일반적으로 발견한 연구자나 연구소 이니셜을 붙이지만 한국 과학
기술
의 역량을 알릴 목적으로 KOR을 붙였다. 김 연구원은 ”향후 파지 칵테일이 세계적으로 활용될 때 한국 과학계의 기여를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했다“고 말했다. ● 박테리아 진화하면 파지도 진화...내성 ... ...
[사이언스게시판] ETRI, 한국어 생성형 언어모델 공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11.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한국어 기반 30억개 파라미터급 신경망 기반 소형 생성 언어모델(SLM) '이글(Eagle)'을 개발해 오픈소스 플랫폼인 '허깅페이스'에 공개했다. ... 28일 밝혔다. Inria는 프랑스의 과학 및 경제발전을 위해 1967년 설립된 디지털 사이언스 및
기술
분야 국가 연구기관이다 ... ...
[과기원NOW] KAIST, 바이오 경로 이미지 분석 AI
기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11.28
레이저 핵융합 연구에서 중요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대구경북과학
기술
원(DGIST)은 이효상 뇌과학과 교수 연구팀이 최세영 서울대 치의학대학원 교수 연구팀과 공동 연구를 통해 '성상교세포'가 뇌의 측면 격막에서 스트레스 반응을 조절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 ...
'열의 순환' 이용해 폐플라스틱 대규모 처리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1.28
열의 순환을 통해 많은 양의 폐플라스틱을 처리하고 열분해유를 생산할 수 있는 공정을 개발한 에기연 연구진. 왼쪽부터 김대욱 에기연 ... 가능한 열분해 핵심
기술
로 우리나라 폐플라스틱 열분해 목표 달성에 매우 적합한
기술
”이라고 밝혔다. -ttps://doi.org/10.1016/j.cej.2024.15625 ... ...
동아사이언스 '대한민국디지털경영혁신대상' 콘텐츠플랫폼 부문 우수상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24.11.28
전반의 인사이트와 가치를 창출하는 우수한 기업과 기관을 발굴해 시상하는 행사다. 과학
기술
정보통신부가 주최하고 한국빅데이터학회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이 주관했다. 콘텐츠플랫폼 부문 우수상을 받은 '과학동아AiR'는 과학동아, 수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어린이수학동아 등 38년간 ... ...
수도권 내린 '무거운' 눈에 피해 '눈덩이'…29일 눈 또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1.28
확인할 수 있다. 다만 먼 미래일수록 예측 불확실성이 커지는 날씨예보의 특성과 과학
기술
의 한계를 감안해 5일째 예보에 포함된 강수량·신적설·풍속 정보는 정량적인 값을 대신해 정성적인 정보로 제공된다. 시간당 2㎜가 아닌 약한 비 등으로 제시된다는 말이다 ... ...
실명 유발'황반병성', 주사 대신 점안 치료 물질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11.28
신호전달 단백질에만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펩타이드를 빠르게 탐색할 수 있는
기술
을 활용해 톨유사수용체의 신호전달 단백질 간의 상호작용을 억제하는 후보 펩타이드를 발굴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진은 후보 펩타이드를 건성 황반변성이 유도된 쥐의 눈에 점안 투여하며 치료 효과를 ... ...
핵융합 반응 초기 폭주하는 전자 원리 밝혀
동아사이언스
l
2024.11.28
상용화를 위해 폭주 전자의 형성 원리를 규명하고 발생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는
기술
이 필요한 이유다. 서울대 연구팀은 '독일 막스 플랑크 연구소'과 국제핵융합실험로(ITER) 국제기구와 공동연구를 통해 폭주전자의 원인을 설명할 수 있는 '동역학 이론'을 일반화해 폭주 전자의 새로운 발생 ... ...
위험한 질주 즐기던 운전자, 부모님 태우면 정속주행하는 이유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1.28
잘 반영하는 사람일수록 뇌의 특정 부위 간 연결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울산과학
기술
원(UNIST)은 정동일 바이오메디컬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타인의 존재가 개인의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뇌과학적으로 분석했다고 28일 밝혔다. 사람들은 관찰자가 위험을 기피하거나 선호하는 성향에 ... ...
[과기원NOW] DGIST, 수소연료전지 상용화 앞당길 질소 도핑 촉매
기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11.27
이어 2년 연속 지역사회공헌 인정기관으로 이름을 올렸다. 특히 리더십센터의 과학·
기술
·공학·수학(스팀·STEM) 프로그램은 중·고등학생에게 첨단 과학 교육을 제공하고 지역사회 과학 창의력 증진과 국가 차원의 미래 인재 양성에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됐다 ... ...
이전
201
202
203
204
205
206
207
208
2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