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간
당대
시대
그때
그당시
연대
세상
스페셜
"
당시
"(으)로 총 2,087건 검색되었습니다.
동일본 대지진의 위력, 우주에서도 감지
채널A
l
2013.04.25
[앵커멘트] 동일본 대지진이 일어난 지 벌써 2년이 지났습니다.
당시
대지진이 얼마나 강력했는지, 그 여파가 지구 상공에 떠 있는 인공위성에서도 감지됐다고 합니다. 보도에 이현경 과학전문기잡니다. [리포트] 2011년 3월 11일. 일본 도호쿠 해안에 규모 9.1의 강진이 발생합니다. 그로부터 30분 뒤. ... ...
광합성의 양자생물학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현상이 관찰됐던 것. 참고로 엔겔 교수는 2007년 플레밍 교수팀의 박사후연구원으로
당시
논문의 제1저자였다. 실제 광합성계보다 훨씬 간단한 분자에서 양자 결맞음이 일어난다는 게 확인됨에 따라 앞으로 인공광합성 연구는 ‘양자도약(quantum jump)’를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매큐언의 소소설 속 ... ...
암흑물질, 아기 우주 나이 알려주나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일어나고 약 38만 년이 지난 초기 우주(아기 우주)에서 존재했던 빛(광자)의 잔해다.
당시
우주의 온도가 떨어져 약 2700도에 이르면서 플라스마 상태로 존재하던 양성자와 전자, 광자 가운데 양성자와 전자가 수소 원자를 만들며 안정화되고 빛은 자유를 얻었다. 그 뒤 우주가 팽창하면서 이 빛은 ... ...
천재의 머리에만 있던 장치가 세상에 빛을 보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전자총 실험은 사실 실제로 수행된 게 아니다. 이 글의 맨 앞에 인용한 그의 말처럼
당시
에는 이런 장치를 만들 수가 없었기 때문이다. 즉 책에 묘사된 건 양자역학의 법칙을 따르는 전자는 이런 현상을 보일 수밖에 없다는 파인만의 ‘사고실험(thought experiment)’이다. ●나노기술로 장치 만들어 ... ...
약도 재활용한다고? 괜찮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비정상 단백질의 작용을 방해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고 임상을 시작했다. 2007년
당시
공식 등록 환자의 75%인 25명에 대해 2년에 걸쳐 투약한 결과 심혈관계와 근골격계의 노화를 늦춘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물론 실패한 약물만 재활용되는 건 아니다. ‘네이처 의학’ 2월 10일자 온라인판에는 ... ...
엄마도 모르는 모유의 진실, 알고보니 ‘헉’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주를 이룬다. 2010년 12월 23/30일자 아웃룩은 ‘영양유전체학(nutrigenomics)’이 주제였는데
당시
스폰서는 스위스의 세계적인 식품회사 네슬레였다. 22쪽에 걸쳐 10꼭지의 글이 실렸는데 그 중 하나가 모유에 대한 최신 연구결과였다. 분유를 만드는 식품회사가 모유가 왜 좋은지 입증한 연구를 ... ...
러시아 유성체 폭발 위력이 히로시마 원폭의 30배?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폭발한 결과라고 추정했다. 이때 에너지는 히로시마 폭탄 185개에 해당하는 위력이다.
당시
폭발지점 주변 공기의 온도는 무려 2만4700까지 올라갔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 사건으로 시베리아 퉁구스카 일대는 말 그대로 초토화가 됐는데 폭발이 일어난 바로 아래 지점(그라운드 제로(ground zero)라고 ... ...
E=mc² 아인슈타인만의 것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영향으로 질량이 m만큼 늘어난다는 것. 이런 상황에서 하젠욀은 생각의 지평을 넓혀
당시
널리 연구되고 있던 흑체복사(blackbody radiation) 역시 질량에 상응하는가를 알아보기로 했다. 흑체란 복사선을 완전 흡수하는 물체인데, 흑체도 온도에 따라 복사를 내고 그 파장분포를 해석하는 과정에서 1900년 ... ...
칼 우즈, 생물학의 뿌리를 뒤흔든 아웃사이더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수 있게 각 항목을 위치시키는 것”이라고 글을 시작하며 한 줌 밖에 안 되는 고세균(
당시
까지 175종)을 1만여 종인 세균과 3000만 종이 넘는 진핵생물과 대등한 위치에 두는 건 말도 안 된다고 주장했다. 진화의 개념을 도입하더라도 결국 진화란 “표현형의 사건”으로 “유전자가 아니라 표현형이 ... ...
DNA 정보 저장 왜 3진수로 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것도 없지만 그럼에도 이 발견을 아주 자랑스러워했다고 한다. 라이프니츠는 20대 때
당시
로는 놀라운 수준의 기계식 계산기를 발명하기도 했다. 덧셈과 뺄셈은 물론 곱셈과 나눗셈도 가능했다는 이 계산기 덕분에 그는 1673년 불과 27살에 영국 런던왕립학회 회원으로 뽑혔다. 라이프니츠의 ... ...
이전
202
203
204
205
206
207
208
2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