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간
놈
인류
녀석
인물
휴먼
개인
뉴스
"
사람
"(으)로 총 22,308건 검색되었습니다.
[채널A] 뇌수술 받으며 바이올린 연주…어떻게 가능할까
채널A
l
2014.09.15
있어 점차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국내에도 2000년 처음 도입돼 현재까지 1000명에 가까운
사람
이 이 수술을 받았습니다. 채널A 뉴스 이영혜입니다. (모바일에서 영상 보기 : http://news.ichannela.com/society/3/03/20140914/66396716/2 ... ...
냄비 속 만두는 왜 뱅뱅 돌까?
2014.09.14
따라가보자. 자연과
사람
제공 ●팔색조의 육아 비밀 (박진석, 장성래 著, 자연과
사람
刊) 초등학교 때부터 새를 관찰해 온 고등학생 조류 전문가 박진석 군과 생태사진 전문가인 장성래 작가가 함께 작업한 ‘팔색조 육아기’가 나왔다. 천연기념물 204호이자 멸종위기 2급으로 지정된 ... ...
긴팔원숭이 팔은 왜 길어졌나
2014.09.14
도입하면 아프리카처럼 경제적, 지리적 이유로 의료 서비스를 받지 못하는 지역에 사는
사람
들도 혜택을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무선 기기를 이용해 먼 곳에서도 의사와 만날 수 있고, 의사를 직접 만날 때 보다 비용이 덜 든다는 것이다. ... ...
이순신 장군의 승리 비법에 수학이?
수학동아
l
2014.09.13
멀리 바다에서 섬을 바라보면서 거리를 계산하는 방법이지요. 여기서 측정을 담당했던
사람
이 바로 도훈도라고 부르는 수학자였어요.” 이광연 교수는 당시 도훈도들이 직각삼각형의 닮음과 비례의 원리를 가지고 먼 거리도 정확하게 알아냈다고 설명했다. 이렇게 계산된 거리는 당파전술에 ... ...
[동아쟁론] 과학교육 홀대 논란
동아일보
l
2014.09.12
설득력이 없다. 학생들에게 과학적 기초소양을 반드시 길러주어야 한다는 것을 반대하는
사람
은 없다. 문제는, 모든 학생을 위한 ‘기초소양’의 범위와 수준을 어느 정도로 규정해야 할 것인가이다. 지난번 교육과정 개정에서 일부 과학계 인사가 ‘최소한의 과학적 소양’이라며 제시한 내용에는 ... ...
한국
사람
에겐 신토불이 장수 유산균 ‘LF9988’
2014.09.12
내성을 전이할 수 있는 유전자가 발견되면서 안전성 논란이 일었다. 유산균의 내성이
사람
에게 전이되면 위험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럽연합(EU)은 전이 가능성이 있는 유산균의 유통을 금지하는 방침을 발표했다. 다행히 LF9988에서는 내성 전이 문제가 발견되지 않았다. 연구진이 개발한 한국형 ... ...
뇌 100% 쓰면 영화처럼 초능력자 될까
2014.09.12
영화 ‘루시’에서 여주인공 루시는 합성 마약의 힘으로 뇌를 100% 활용하며 다양한 ‘초능력’을 선보인다. - UPI코리아 제공 제공 예기치 못 ... 영화 ‘닌자터틀’에 등장하는 주인공 거북은 실험용 약물로 돌연변이가 일어나
사람
과 동일한 수준의 지능과 체구를 얻었다. - CJ E&M 제공 ... ...
“당신이 마신 물-와인에도 방사능… 과도한 공포심 버려야”
2014.09.11
1만5000여 명이 사망했다. 이 가운데 후쿠시마 원전 폭발과 방사능 누출로 사망한
사람
은 100여 명에 불과하다. 핵 사고로 수천 명이 사망했다고 하는데, 과장된 수치다. 방사능 수치를 따져 보면 더욱 확실하다. 미국의 덴버 지역은 방사성 라돈 가스 때문에 자연방사선 농도가 높다. 덴버 지역의 연간 ... ...
한번 충전해서 서울-부산 왕복하는 전기차 없을까
2014.09.10
첨단기술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주유기에서 기름 대신 ‘배터리액’ 교체
사람
들이 전기자동차를 적극적으로 구매하지 않는 이유는 먼 거리를 가지 못하고, 충전하는데도 많은 시간이 걸리기 때문이다. 현대자동차가 판매하고 있는 국산 전기차 ‘레이 EV’를 예로 들어보자. 이 자동차를 ... ...
“과학으로 소통하는 세상 꿈꿔요”
2014.09.10
이 계획은 접어야 했다. 이때 황 교수가 생각해 낸 것이 바로 과학 블로그다. 모든
사람
이 마음껏 볼 수 있고 서로 소통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 “미래 과학자 꿈꾸는 학생에게 많은 도움 됐으면” ‘과학과 인문학의 탱고’라는 책 제목은 어떻게 나온 걸까. 황 교수는 “그냥 ‘만남’이라고 ... ...
이전
2068
2069
2070
2071
2072
2073
2074
2075
20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