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간
놈
인류
녀석
인물
휴먼
개인
뉴스
"
사람
"(으)로 총 22,313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
사람
에겐 신토불이 장수 유산균 ‘LF9988’
2014.09.12
내성을 전이할 수 있는 유전자가 발견되면서 안전성 논란이 일었다. 유산균의 내성이
사람
에게 전이되면 위험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럽연합(EU)은 전이 가능성이 있는 유산균의 유통을 금지하는 방침을 발표했다. 다행히 LF9988에서는 내성 전이 문제가 발견되지 않았다. 연구진이 개발한 한국형 ... ...
뇌 100% 쓰면 영화처럼 초능력자 될까
2014.09.12
영화 ‘루시’에서 여주인공 루시는 합성 마약의 힘으로 뇌를 100% 활용하며 다양한 ‘초능력’을 선보인다. - UPI코리아 제공 제공 예기치 못 ... 영화 ‘닌자터틀’에 등장하는 주인공 거북은 실험용 약물로 돌연변이가 일어나
사람
과 동일한 수준의 지능과 체구를 얻었다. - CJ E&M 제공 ... ...
“당신이 마신 물-와인에도 방사능… 과도한 공포심 버려야”
2014.09.11
1만5000여 명이 사망했다. 이 가운데 후쿠시마 원전 폭발과 방사능 누출로 사망한
사람
은 100여 명에 불과하다. 핵 사고로 수천 명이 사망했다고 하는데, 과장된 수치다. 방사능 수치를 따져 보면 더욱 확실하다. 미국의 덴버 지역은 방사성 라돈 가스 때문에 자연방사선 농도가 높다. 덴버 지역의 연간 ... ...
한번 충전해서 서울-부산 왕복하는 전기차 없을까
2014.09.10
첨단기술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주유기에서 기름 대신 ‘배터리액’ 교체
사람
들이 전기자동차를 적극적으로 구매하지 않는 이유는 먼 거리를 가지 못하고, 충전하는데도 많은 시간이 걸리기 때문이다. 현대자동차가 판매하고 있는 국산 전기차 ‘레이 EV’를 예로 들어보자. 이 자동차를 ... ...
“과학으로 소통하는 세상 꿈꿔요”
2014.09.10
이 계획은 접어야 했다. 이때 황 교수가 생각해 낸 것이 바로 과학 블로그다. 모든
사람
이 마음껏 볼 수 있고 서로 소통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 “미래 과학자 꿈꾸는 학생에게 많은 도움 됐으면” ‘과학과 인문학의 탱고’라는 책 제목은 어떻게 나온 걸까. 황 교수는 “그냥 ‘만남’이라고 ... ...
명절만 지나면 왜 이리 아픈 데가 많지?
동아사이언스
l
2014.09.10
무의식중에 건이나 인대에 손상을 입을 수 있는 만큼, 평소 운동량이 부족한
사람
이라면 부드럽게 근육과 관절을 풀어주는 ‘정적스트레칭’을 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카이로송의원 송준한 원장은 “특별히 병리학적인 소견을 띠고 있지 않더라도 명절에 무리하게 몸을 움직이면 관절과 디스크, ... ...
한가위 보름달은 수학으로 뜬다!
수학동아
l
2014.09.06
있다. 음력 8월 15일인 추석은 가장 밝고 둥근 보름달을 볼 수 있는 날로, 오래전부터
사람
들은 추석에 보름달을 보며 소원을 빌곤 했다. 이런 달의 모양을 수학적으로 보면 어떨까? 먼저 가장 밝고 둥근 보름달은 평면도형인 ‘원’을 연상할 수 있다. 그리고 상현달(또는 하현달)은 원을 반으로 ... ...
'더도말고 덜도말고' 추석처럼 폭식하다가는
동아사이언스
l
2014.09.06
없다”며 “렙틴 호르몬은 식사 후 10분이 지나야 분비되는 만큼 폭식의 버릇이 있는
사람
일수록 평소에 식사를 천천히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
과학의 향기, 예술의 향기를 만나다
2014.09.05
선택했기 때문이다. 김 센터장도 자연스럽게 이들에게서 영감을 얻었다. 그는 “
사람
이 몰입을 하게 되면 뇌파의 대칭성이 높아지고 사물을 보고 약 0.3초 뒤 그 기억과 관련된 뇌파가 발생한다”며 “실험 기준만 잘 만든다면 감동의 크기를 숫자로 나타내는 일도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 ...
포기하지 않는
사람
의 뇌는 다르다
2014.09.05
hobvias sudoneighm 제공 시험에 낙방하거나 하던 일이 실패하면 도전을 계속할지 아니면 포기할지 선택의 기로에 놓이게 된다. 최근 미국 연구진은 뇌에서 일어나는 특정한 반응이 다시 도전하게 만든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마우리시오 델가도 미국 럿거스대 심리학과 교수팀은 시련이 닥쳤을 때 ... ...
이전
2069
2070
2071
2072
2073
2074
2075
2076
20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