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면
외부
바깥
얼굴
낯
밖
d라이브러리
"
표면
"(으)로 총 4,278건 검색되었습니다.
“뾰로롱~!”
표면
장력 줄이는 X선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쪼이면 물 분자에서 전자가 떨어져 나가면서 물 분자 사이의 수소결합이 영향을 받아
표면
장력이 줄어든다는 거죠. 실제로 동그란 물방울에 X선을 1시간 정도 쏘이자, 물방울이 서서히 퍼져 1000분의 1㎜ 두께의 물막이 되었다고 해요 ... ...
귀차니스트족을 위한 패션 2.0 시대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3차원 아바타를 만들기 위해서는 인체를 입체적으로 스캔해야한다. 이때 스캐너는 인체
표면
을 작은 격자로 잘게 나눠 이를 수학적인 정보(메시 데이터)로 나타내는데, 이 데이터를 실제로 사용할만한 수준으로 간단하게 만들어야 한다. 애니메이션에서야 이 데이터를 모두 사용해 수주에서 길게는 ... ...
포자에 꼬리 달거나 돌기 있는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알 형태를 유지하는 어리알버섯은 포자에 꼬리가 있어 바람을 잘 탈 수 있거나 포자
표면
에 돌기가 있어 사람이나 동물에 잘 들러붙을 수 있다. 초기에 알 형태이다가 윗부분이 터져 나와 말뚝 모양을 이루는 말뚝버섯은 포자를 만든 뒤 2시간 안에 대가 밖으로 솟아오른다. 포자 덩어리는 대 ... ...
나노벽으로 나노건축물 만든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대략 600℃의 고온에서 산소분자와 반응시켜 금속산화물(산화아연) 결정을 기판
표면
에 만드는 방법이다. 이때 기판을 어떻게 조작하느냐에 따라 나노막대가 만들어지기도 하고 나노튜브가 나오기도 한다.“여기 빨갛게 달궈진 부분에 기판이 놓여 있습니다. 관을 통해 온 기체가 여기서 산소와 ... ...
소금이 제설제로 쓰이는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수분을 잘 흡수해
표면
이 끈적거린다. 때문에 잘 떨어지지 않는 미세먼지가 염화나트륨
표면
에 엉겨 붙는다. 먼지가 엉겨 붙은 염화나트륨을 청소기로 빨아들이면 카펫이 깨끗해진다. 염화나트륨을 이용하면 카펫뿐 아니라 먼지가 많이 묻은 인형도 간편하게 청소할 수 있다. 비닐봉지에 ... ...
지구 멸망 시나리오 3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남겼다.대규모 충돌의 증거는 이제 도처에서 확인되고 있다. 풍화작용이 활발한 지구
표면
에서도 다양한 규모의 충돌구들이 사라지지 않은 채 발견되고 있으며 이들 중 일부는 원생대, 고생대, 중생대, 그리고 신생대로 나눠지는 생명체들의 극적인 멸종과 출현에 직접적으로 관련된 것으로 ... ...
[지구과학]탄소 순환 고리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질소와 산소, 이산화탄소 모두에 대해 투과성이 좋아 대기에 거의 흡수되지 않고 지
표면
까지 도달한다. 그러나 장파인 지구 복사에너지는 질소나 산소에 대해서는 투과성이 좋으나 이산화탄소에 대해서는 투과성이 좋지 못해 선택적으로 흡수된다. 즉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는 지구 복사에너지를 ... ...
[천문우주]달먼지 콘크리트로 달기지 건설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NASA)은 2020년 달에 우주인을 다시 보낼 계획인데, 4명이 달
표면
에서 1주일을 지내는 게 목표다. 물론 NASA는 궁극적으로 사람이 달에 장기간 체류할 수 있는 기지를 건설하려고 한다.지구에서 가져간 재료로 달기지를 지으려면 비용이 많이 든다. 일부에서는 1kg의 재료를 달로 가져갈 때 5만 달러(약 650 ... ...
[재료과학]게코도마뱀 발바닥보다 접착력 큰 탄소나노튜브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있을 때는 미끄러지지 않지만 걸음을 옮길 때는 쉽게 떨어지는 비밀을 찾았다. 발바닥
표면
에 촘촘히 박혀 있는 미세 털의 끝부분이 구부러져 있기 때문이다.즉 벽면과 닿는 부분은 털의 맨 끝이 아니라 구부러진 부분이다. 따라서 벽면과 수평으로 작용하는 힘(중력)에는 저항력이 있지만 수직 방향 ... ...
표면
장력이 지배하는 세상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크기가 입 쪽에서 목구멍 쪽으로 그 반대편에 비해 더 크게 작용했기 때문이다. 동일한
표면
장력을 갖는 상황에서 이런 차이는 접촉각이 달라 발생한다. 입 쪽의 물이 목구멍 쪽의 물보다 오목하게 만들어져 목구멍을 향하는 접촉각이 입 쪽을 향하는 접촉각보다 작아지므로 입 쪽의 물이 목구멍 ... ...
이전
203
204
205
206
207
208
209
210
2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