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명"(으)로 총 9,637건 검색되었습니다.
- 단위계 ‘프랑스 혁명’ 국제도량형총회 르포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새롭게 정의된 단위들은 향후 첨단 정밀 측정 분야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그간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은 단위 재정의에 필요한 과학적 근거를 만드는 데 기여해 각국 대표들의 의사 결정을 도왔다. 기계적 일률과 전기적 일률이 같다는 원리를 이용해 플랑크 상수를 정확하게 구할 ... ...
- 젖소, 돼지, 양, 연어…AI는 동물 얼굴도 인식할까?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돼지나 닭 등 다른 가축에 확대하는 것이 앞으로의 계획”이라고 말했습니다. 13억 명의 얼굴을 3초 내에 인식한다는 무시무시한(?) 안면 인식 기술 선진국인 중국에서는 이미 돼지에게 얼굴 인식 시스템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중국의 알리바바 그룹은 올해 2월 연간 1000만 마리의 돼지를 기르는 ... ...
- Intro. 산타학교 졸업여행 매스트립수학동아 l2018년 12호
- 학생들에게 알립니다. 올해 졸업 여행의 주제는 ‘수학’입니다. 먼저 예비 산타들은 4명씩 조를 지어한 배를 탄 ‘크루’를 만들어 주세요. 여러분 스스로 여행지 선택부터 동선까지 수학을 주제로 계획해야 합니다. 졸업 여행 미션을 수행해야 비로소 산타클로스가 될 수 있으니 모두 끝까지 ... ...
- 세계에서 통한 수학 게임 앱, 토도수학수학동아 l2018년 12호
- 발표한다. 현재까지 상황은 긍정적이다. 아프리카 탄자니아의 140여 개 마을에서 약 800명의 아이들을 대상으로 시험 운영하고 있는데, 3개월 동안 운영한 뒤 중간 평가를 한 결과 학교에서 수업을 들은 아이들은 언어와 수학 실력이 전보다 각각 10% 정도 높아진 반면 학교를 다니지 않고 ... ...
- 신과람 교사가 직접 들려주는 내년 과학 활동 미리 계획하기과학동아 l2018년 12호
- 한국발명진흥회 홈페이지(www.kipa.org)에 발명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찾아볼 수 있으니, 발명에 관심이 있는 학생들은 한 번쯤 홈페이지를 방문해보기를 권합니다. 한국과학교육단체총연합회에서 주관하는 과학 동아리 활동 발표대회도 눈여겨보면 좋습니다. 학년 초에 활동 계획서를 통해 대회 ... ...
- [통합사회 요점 정리 12] 자원과 지속가능한 발전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안다.” 이 글은 19세기 말 아메리카 땅을 팔라는 백인의 요구에 대해 인디언 추장 36명이 답한 연설문 중 일부다. 그들은 말한다. 인간은 자연을 소유한 존재가 아니며, 그저 스쳐 지나가는 하나의 존재일 뿐이라고. 인간은 자연을 소유할 권리도, 자원을 허투루 사용할 권리도 없다. 아직 태어나지 ... ...
- [팩트체크 5] DMZ, 평화지대로 거듭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환경운동가들과 환경학자들의 모임을 열었어요. 독일 국경 근처에서 열린 이 모임엔 400명 정도가 모였지요. 이때 모인 사람들이 처음으로 동독과 서독의 경계지역을 그린 벨트로 만들어야 한다는 주장에 뜻을 모았답니다. 이게 생태공원 조성의 시작이 됐죠. 이후 분트는 2001년부터 독일 ... ...
- [통합과학 교과서] 아이템을 모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담겨 있는 구조예요. 원시적인 생명체와 닮았지만, 혼자서는 자라지 못하고 다른 생명체에 들어가야만 증식할 수 있죠. 몸속으로 들어온 바이러스는 우리 몸의 세포에 자신들의 유전자를 집어넣어요. 그 유전자들이 세포 속에서 자신과 똑같은 모습의 바이러스를 복제하면서 바이러스의 수를 늘리는 ... ...
- 허리 고치는 수술 로봇 ‘닥터 허준’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있어, 내시경이 가늘수록 좋다. 닥터 허준의 카테터는 지름 3mm 안에 카메라와 광섬유 조명뿐만 아니라 내시경 내부로 다른 장비를 투입할 수 있는 통로도 갖추고 있다. 통로를 통해 레이저나 포셉 등 여러 수술 기구를 투입할 수 있다. 이외에도 닥터 허준에는 혁신적인 기술이 여럿 도입됐다. 가장 ... ...
- [Career] DGIST 뉴바이올로지전공 - 암세포 하나씩 분석 생물정보학의 메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전공하면서 복수전공으로 컴퓨터공학을 선택했고, 부전공으로 생물학까지 이수했다. 생명공학기술(BT)과 정보기술(IT)을 융합한 생물정보학 연구에 최적화된 셈이다. 김 교수는 “크리스퍼(CRISPR-Cas9)로 대표되는 유전체 교정 기술을 함께 이용하면 단일 세포 수준에서 유전형과 표현형의 연결고리도 ... ...
이전2042052062072082092102112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