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명"(으)로 총 9,637건 검색되었습니다.
- [뉴스 포커스]수확의 계절, 수학하고 놀자! 제4회 광양수학축전수학동아 l2018년 12호
- 학부모가 한자리에 모여 다양한 체험 활동을 통해 수학을 즐기는 행사로, 올해는 약 2000명이 참가해 ‘멩거스펀지 열쇠고리’, ‘펜토미노로 조각 완성하기’, ‘라틴방진으로 컵받침 만들기’ 등 총 49개 프로그램을 체험했어요. 가장 인기를 끈 프로그램 중 하나인 ‘사이클로이드 ... ...
- 코딩으로 수학 배우고 R&E까지 폴수학학교수학동아 l2018년 12호
- 괴산군의 한적한 곳에 자리 잡고 있는 대안학교로, 초등학생부터 고등학생까지 약 70명의 학생들이 기숙사 생활을 한다. 국어와 영어, 과학과 역사 등 모든 과목을 배우지만 수학에 가장 큰 비중을 두고 있다. 특히 2014년 개교 때부터 코딩을 가르쳤고, 올해부터는 필수 과목으로 도입해 수학을 ... ...
- [영재교육원 탐방 10] 미래형 교육과정으로 미래 인재 기른다!수학동아 l2018년 12호
- 네 곳으로 나눠 운영한다. 본관의 경우 중학교 2, 3학년을 대상으로 수학반과 과학반을 20명씩 14개 학급으로 운영한다. 수학반과 과학반의 수는 7개씩으로 똑같다. 비록 중점적으로 배우는 내용은 다르지만, 수학과 과학반 학생들이 다양한 분야를 체험할 수 있는 융합형 캠프 프로그램도 운영된다. ... ...
- 우수영 서울시립대 입학처장 - “서류 비중 높여 면접 부담 줄였다”과학동아 l2018년 12호
- 2018학년도에 비해 모집인원이 축소됐다. 올해 서울시립대는 정시모집으로 613명을 선발한다. 이는 작년보다 59명(8.78%) 감소한 수치다. 여기에는 이유가 있다. 올해부터 실기전형을 치르는 음악학과와 산업디자인학과 정원 일부(총 23명)를 수시모집으로 전환했기 때문이다. 이공계 지원자의 경우 ... ...
- [서울대 공대|화학생물공학부] 기초 화학산업부터 첨단 나노연구까지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분야를 정해 대학원에 진학하는 경우도 많다. 김 학부장은 “대학원 정원이 150명으로, 88명인 학부생보다 많다”고 말했다. 인재상 관심 분야에 열정 있어야 김 학부장은 화학생물공학부에서 원하는 인재상으로 가장 먼저 열정을 가진 사람을 꼽았다. 김 학부장은 “부모 손에 이끌려오는 ... ...
- [팩트체크 3] 남북한은 면역력도 다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그 주인공이지요. 의료계에서는 남북의 의료 격차가 통일 이후 문제가 될 수 있다고 설명해요. 우리 몸이 서로 다른 종류의 침입자를 겪으며 살고 있기 때문에 면역 체계에도 차이가 있을 거라는 말이지요. 따라서 1953년 휴전으로 분단된 이후 65년간 교류가 없던 남북 사람들이 갑자기 교류를 ... ...
- [화보] ‘울트라 테크놀로지스트’가 만든 똑똑한 환상과학동아 l2018년 12호
- 계산해 새로운 물결을 만들어낸다. 관람객이 어떤 행동을 하는지에 따라, 관람객이 몇 명인지에 따라 작품은 시시각각 달라진다. 작품이 설치된 일본 도쿄의 디지털아트뮤지엄에는 총 520대의 컴퓨터와 470개의 프로젝터가 사용됐다. 이 작품처럼 공간 전체를 프로젝션 맵핑하는 형태를 ‘박스 ... ...
- 크리스마스에 솔로인 당신 ‘AI 연인’은 어떠세요과학동아 l2018년 12호
- 감정을 생존이라는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보상 학습으로 인식하기도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는 이어 “이렇게 되면 더 이상 감정은 감상적인 무언가가 아니라 AI에게도 딥러닝과 강화학습으로 인식할 수 있는 개념이 된다”고 말했습니다. AI가 인식한 감정은 로봇의 표정으로 구현해 다시 ... ...
- 우리는 돌고래 추적자들입니다과학동아 l2018년 12호
- 행동생태를 연구하는 두 대학원생이 의기투합해 시작했고, 현재는 대학원생 3명이 소속돼있다. MARC는 다른 연구소에 비해 실험실이 아닌 현장에서 움직이는 비율이 높은 편이다. 1년 중 9개월, 비가 오거나 풍랑주의보가 뜨는 날이 아니면 하루 10시간 이상 바다에서 돌고래를 찾고 관찰한다. 장비는 ... ...
- 영장류자원지원센터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원숭이 590마리를 연구하고 관리하는 인력은 박사급 연구자 4명, 사육사 4명 등 총 8명뿐이다. 영장류 연구 선진국들이 영장류의 행동을 연구할 때 영장류와 연구자의 수를 1대 1로 유지하는 것과는 매우 대조적이다. 인력 부족 시엔 만일의 사고에 대응이 어려울 수 있다. 기자가 방문한 다음 날인 6일 ... ...
이전2062072082092102112122132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