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위
인조
가공
가상
시뮬레이션
모조
사이버
d라이브러리
"
인공
"(으)로 총 4,791건 검색되었습니다.
"SCV good to go, Sir"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비싸다. 운송료 때문이다. 상업화가 되지 않았으니 비용을 산정하긴 어렵지만, 개인
인공
위성 개발자 송호준 작가는 무게 1kg짜리 초소형 큐브위성 하나를 지구 궤도에 올려놓는데 1억 원이 넘는 돈을 냈다. 현재로선 달에서 암석 한 덩어리를 캐 오는 비용이 수억 원이 넘는다는 의미다. 더구나 애써서 ... ...
트랜스포머 사라진 시대
수학동아
l
2014년 07호
회피한 것을 예로 들었다.인터뷰
인공
지능 유진을 만나다수학동아에서는 현재 논란의 주
인공
인 유진과 인터뷰를 직접 시도했다. 개발자 측에 특별히 협조를 얻어 유진을 개인적으로 접속해 인터뷰를 진행했다. 유진은 높은 관심으로 인해 공식 사이트가 다운된 상태로 6월 17일 현재 복구 중에 있다 ... ...
너희들은 수학으로 포위됐다
수학동아
l
2014년 07호
많지 않다. 바로 아일랜드의 수학자 윌리엄 해밀턴이 1843년에 만든 ‘사원수’가 그 주
인공
이다.보통 a+bi라고 표현하는 복소수는 “제곱해서 -1이 되는 수는 없을까?”라는 질문에서 탄생한 수 체계로, 실수를 포함하는 더 큰 수 체계라고 할 수 있다. 이때 i가 바로 제곱해서 -1이 되는 복소수를 ... ...
아바타 기술에 수학이 있다!
수학동아
l
2014년 07호
지난 2012년 미국 브라운대 연구진들은 전혀 몸을 움직일 수 없는 환자들이 생각만으로
인공
팔을 움직이는 기술을 개발해 선보였다. 연구팀은 뇌에 ‘브레인게이츠’라는 센서 칩을 이식해, 환자가 팔을 움직이는 상상을 하면 이때 발생하는 생체 신호를 컴퓨터로 전송하도록 만들었다. 그러면 ... ...
두유노우 마우스?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컴퓨터로 단백질 구조를 분석할 수 있고, 사람 세포를
인공
적으로 배양해서
인공
피부나
인공
각막을 만들어 동물 대신 실험하는 방법도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아직 어떤 방법도 동물 실험만큼 효과가 검증되지 않았어요. 동물 실험은 앞으로도 계속된다는 뜻이지요. 과학이 더 발전해 동물 ... ...
우주에서 고래 감시하는
인공
위성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6호
70억이나 되는 사람들이 살고 있어서 한 명씩 감시하는 건 쉽지 않을 거예요. 그리고
인공
위성은 우주에서 촬영하기 때문에 일거수일투족을 살피긴 어렵답니다. 지구 정복은 그만두고 나랑 빨리 헤엄치기 내기나 한 판 할래요? 준비 땅~ ... ...
PART 2 - 과학으로 본 월드컵 하이라이트!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연습을 하고 있는데, 여기서 가장 능숙하게 로봇을 조종하는 1등 파 일럿이 시축의 주
인공
이 될 것이다.정 연구원은 “시축이라고는 하지만 실제로 보면 느리 게 걸어와서 살짝 공을 건드리는 정도”라고 말했다. 하 지만 세계인이 지켜보는 축제의 개막식에서 하반신 마 비 장애인이 스스로 ... ...
도심형 무인기 드론이 뜬다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잔디밭에 앉아 딸기를 주문한 원리는 이렇다. 앱을 켜 주문을 하면 스마트폰에 내장된
인공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을 통해 정확한 장소를 전송한다. 주문을 받은 컴퓨터 시스템은 GPS 신호를 교내 지도와 비교한다. 배달할 위치가 도로 주변에 있다면 무인자동차만 보내고, 차량으로 접근이 불가능한 ... ...
배터리가 필요 없는 무선 심장박동기 등장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안 좋아
인공
심장박동기를 달고 있는 환자는 수 년에 한 번씩 재수술을 통해 배터리를 교환해야 한다. 이런 환자에게 희소식이 생겼다. 미국 스탠퍼드대 아다 푼 교수 연구팀은 사람 몸 속에서 무선으로 충전되는 심장박동기를 발명해 그 결과를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5월 19일자에 발표했다.무선 ... ...
진짜 투명망토가 나왔다?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말해, 음(-)의 굴절률을 갖는 물질은 존재하지 않는다. 그래서 과학자들은 이런 물체를
인공
적으로 개발했다. 이런 식으로 자연에 없는 물질을 ‘메타물질’이라고 한다. ‘메타’는 희랍어로 ‘범위나 한계를 넘어서다’라는 뜻이다. 메타물질 중에 빛을 심하게 꺾어 음의 굴절률을 만드는 것이 ... ...
이전
204
205
206
207
208
209
210
211
2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