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구"(으)로 총 8,834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굿바이! 소행성 탐사선 ‘돈(Dawn)’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세레스와 베스타를 방문한 탐사체는 돈이 유일하다. 돈은 지구와 연락이 끊긴 뒤에도 수십 년간 세레스 궤도를 돌 전망이다. NASA는 세레스에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을 고려해 돈을 추락시키지 않기로 했다고 밝혔다. 캐롤 레이먼드 NASA 제트추진연구소(JPL) 책임연구원은 ... ...
- 최초의 ‘행성 사냥꾼’ 케플러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있는 외계행성을 탐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테스는 올해 8월 처음으로 관측 이미지를 지구로 전송했고, 9월에는 외계행성 2개를 발견했다. 이외에도 NASA는 2021년 ‘제임스웹 우주망원경(JWST)’을 발사하고, 2020년대 중반에는 ‘광각 적외선 우주망원경(WFIRST)’ 등을 발사해 외계행성 탐색을 지속할 ... ...
- Part 1. 성분부터 구조까지 전격 비교 깃털 vs. 털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위 절반가량이 깃털로 채워진다. 배가 고파서 깃털을 먹는 것은 아니다. 박진영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박사과정 연구원은 “귀뿔논병아리는 다른 새에 비해 물고기를 많이 먹는데, 뼈나 가시가 소장까지 이동해 상처를 입힐 수 있다”며 “깃털로 위와 소장 사이 통로의 면적을 넓혀 뼈와 가시가 ... ...
- Part 4. 생체모방의 대명사, 깃털과학동아 l2018년 12호
- 기술이다. 어쩌면 이에 대한 해답은 송골매로부터 얻을 수 있을지 모른다. 송골매는 지구상 가장 빠른 동물 중 하나다. 무려 시속 320여km로 비행할 수 있다. 또한 송골매는 먹이를 포착하면 빠르게 하강해 먹이를 다시 낚아채곤 곧바로 다시 솟구쳐 오른다. 어떻게 이런 비행이 가능할까. 과학자들은 ... ...
- 허리 고치는 수술 로봇 ‘닥터 허준’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다른 동물들과 달리 한 가지 역할을 더 해야 한다. 바로 중력에 맞서는 것이다. 인간은 지구에서 유일하게 두 발로 서서 직립보행하는 동물이기 때문에, 누워있는 시간을 빼면 앉아 있든 서 있든 디스크에 계속 압박이 가해진다. 그래서 인간의 척추는 굉장히 고달프다, 시간이 지나면서 척추와 ... ...
- [과학뉴스] 강력한 레이저를 내뿜는 개미 성운 포착!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친숙한 곤충의 모습이 보이나요? 이 성운은 개미를 닮아서 ‘개미 성운’이라고 불려요. 지구에서 8000광년 떨어져 있는 개미 성운은 ‘행성상 성운’이에요. 행성상 성운은 태양과 비슷한 질량을 가진 별의 마지막 단계에서 나타나요. 별이 연료인 수소를 다 쓰고 나면, 점점 수축하면서 중심핵만 ... ...
- [통합과학 교과서] 아이템을 모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진핵 세포는 어떻게 진화했을까? [통합과학 개념 이해하기] 세포끼리 공생을 한다? 지구가 만들어지고 처음으로 나타난 생명체는 ‘원핵생물’이에요. 원핵생물은 핵을 포함해 세포 내부에 막으로 둘러싸인 기관이 없는 생물이에요. 우리가 아는 세균이 여기에 속하죠. 핵막이 없어 DNA가 세포 ... ...
- [프리미엄 리포트] 천리안 2A호가 뜬다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발사장에서 추가 시험을 진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아리안 5ECA가 천리안 2A호를 지구 저궤도에 무사히 올려놓으면 천리안 2A호는 약 20일에 걸쳐 날아가 상공 3만6000km 정지궤도에 안착하게 된다. 그리고 6개월 간 시험운영을 거쳐 정상 서비스를 시작한다. 양 책임연구원은 “3면이 바다로 ... ...
- 2019학년도 ‘불수능’ 과학동아에서 정답 찾기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문제처럼 확률과 통계 개념을 사용해야 하는 문제가 많이 출제됐다. ● 지구과학 지구과학은 2018학년도 수능보다 어려웠다. 1등급 컷이 45점, 2등급 컷이 42점이다. 특히 4단원 ‘다가오는 우주’에서 응용력이 필요한 어려운 문제들이 출제됐다 ... ...
- 서보현 대구과학고 입학관리부장 - “우수하면 다음 단계 생략하고 우선 선발”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은상, ‘도시대항 국제 수학 토너먼트’ 금상, ‘전국과학전람회’ 물리·화학·지구과학 부문 특상, ‘캔위성 경연대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 등 다양한 대회에서 수상자를 배출했다. 서 부장은 “입학을 위한 공부보다는 자신의 역량 향상과 자아실현을 위해 공부하고 탐구하기를 ... ...
이전2042052062072082092102112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