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구"(으)로 총 8,834건 검색되었습니다.
- '땅 위의 인공태양' 건설 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중수소(D) 1g과 삼중수소(T) 1.5g이면 석탄 20t과 맞먹는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 중수소는 지구 표면의 70%를 덮고 있는 바닷물에서 무한히 얻을 수 있다. 온실가스나 이산화황 등 대기오염물질을 배출하지 않고, 원전과 달리 고준위 방사성 핵폐기물도 발생하지 않는다. 비고 사무총장은 ... ...
- 이원희 인천과학예술영재학교 교장 - “과학과 인문학 아우르는 하이브리드형 인재”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원한다면 야간에도 얼마든지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 이 교장은 “물리, 화학, 지구과학, 생명과학 등 전공별 연구 장비가 구비돼 있어 이들 분야를 융합해 연구하는 데 특히 강점이 있다”고 설명했다. 대학 교수가 직접 학생들을 가르치는 교육과정, AP(대 학과정선이수) 과정, 창의연구(R&E) ... ...
-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생물다양성을 지키는 첫걸음 기자단 혜택 소개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있었죠. 과학자들의 연구 덕분에 지금은 빛에 대해 많이 밝혀졌어요. 빛은 1초에 지구 일곱 바퀴 반을 돌 수 있을 만큼 빨라요. 또 파동의 성질과 입자의 성질을 모두 가지고 있어요. 전자기파의 한 종류로 진동을 하는 파동이면서도, 입자로서 에너지와 운동량을 가지고 움직여요. 빛은 항상 ... ...
- ‘하야부사2’ 3년 10개월의 기록 2014년과학동아 l2018년 11호
- 2014년 12월 발사된 일본의 소형 탐사선 ‘하야부사2’가 32억km를 여행한 끝에 지난 6월 소행성 ‘류구’ 상공에 도착했다. 류구는 지구에서 약 3억km 떨어져 있다. 하야 ... 하야부사2는 적어도 1g의 류구 샘플을 가지고 2019년 11월 12일 류구를 떠난 뒤 2020년 말 지구로 귀환하게 될 것입니다 ... ...
- 도축은 이제 그만! 오늘 점심은 인공고기 햄버거?과학동아 l2018년 11호
- 했다. 또한 우마 발레티 멤피스 미트 최고경영자(CEO)는 “축산업으로 발생하는 지구의 온실가스를 10%로 줄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배양육은 조직 배양 기술(tissue engineering)이 발전하면서 점차 현실이 되고 있다. 1999년 ‘배양육의 대부’로 불리던 빌렘 반 엘런 네덜란드 암스테르담대 교수(2015년 ... ...
- 영화 속 기생생물 현실에도 있을까? ‘베놈’ vs. ‘창궐’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명령을 내려 숙주의 특정 행동을 유발하는 것이다.흔한 경우는 아니지만 이런 생명체가 지구상에도 존재한다. 대표적으로 연가시가 있다. 연가시는 곤충에 기생하는 생물로, 물속에서 번식과 산란을 한다. 곤충의 몸속에서 기생했다가 성충이 되면 숙주를 조종해 물속으로 뛰어들게 만든다. 숙주의 ...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북극 온난화의 지표, 해빙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밝혀내는 데 큰 힘이 될 것입니다. 임형규POSTECH 환경공학부 박사과정 연구원이다. 지구시스템 모델을 이용해 기후변화가 북극해의 온난화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 있다. hglim@postech.ac ... ...
- [서울대 공대 | 재학생 인터뷰] 다양성이 모여 다채롭게 빛나는 산업공학과과학동아 l2018년 11호
- 강 씨는 친구들 에게 지구과학Ⅱ 과목을 가르쳐 줬던 경험을 꼽았다. 그는 “학교에서 지구과학Ⅱ를 공부하기가 쉽지 않았는데, 야간자 율학습 때 남는 시간마다 칠판에 내용을 써 가며 친구들에게 설명해 줬다”며 “설명을 하면서 알고 있는 부분은 확실히 기억하게 됐고, 잘 몰랐던 부분은 다시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금성이 반달 모양인 이유를 이해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0호
- 토성, 천왕성, 해왕성은 ‘외행성’이라고 불러요. 이 행성들은 햇빛을 받는 면 모두를 지구에서 관측할 수 있지요. 덕분에 완전히 둥근 목성이나 토성 등을 볼 수 있는 거예요. 지난 5월 9일에도 태양, 지구, 목성이 일렬로 늘어서서 둥근 목성을 관측할 수 있었답니다. 내 방 안에 우주를 담아 ... ...
- Part 2. 마하5 이상의 세계, 극초음속과학동아 l2018년 10호
- 로스앤젤레스까지 2시간 내에 갈 수 있을 만큼 매우 빠르다. 즉, 수천km를 수 분 안에, 지구상 어느 곳이든 한두 시간 내에 도달할 수 있는 속도다. 물류를 수송하는 혁신적인 방법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방어가 거의 불가한 차세대 유도무기가 될 가능성도 높다. 이렇게 빠른 속도로 비행하려면 기존 ... ...
이전2072082092102112122132142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