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술"(으)로 총 12,250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류 발전의 원동력, 탄소 생명과 문명 만든 ‘만능열쇠’과학동아 l2019년 09호
- 다수의 과학 교양서를 번역했고, ‘이덕환의 과학세상’ 등을 저술했다. 2008년에는 과학기술훈장 웅비장을 받았다. duckhwan@sogang.ac.kr *용어정리 원자가전자(valence electron)원자를 구성하는 전자 중 최외곽 전자껍질에 들어있는 전자. 다른 원자와의 화학결합을 가능하게 만든다. 산화수(oxidation number ...
- 너의 발에 날개를 달아줄게과학동아 l2019년 09호
- 제가 가장 관심 있는 부분은 달리기를 ‘게임’처럼 만드는 겁니다. 가상현실(VR) 기술과 소셜 연결을 접목해서 친한 친구 그리고 공룡과 함께 달 표면을 달릴 수 있다면 정말 놀라울 겁니다. 올림픽 선수에게 달리기 수업을 받거나, 전문가에게 러닝 패션을 조언 받는 것도 재밌겠죠. In the far future ... ...
- 레디메이드 보살 vs. 성 아퀸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9년 09호
- 1권에 수록돼 있습니다. 배경은 현대 문명이 멸망한 이후의 세상입니다. 아직 남아 있는 기술 문명이 지배하는 가운데, 종교는 금지된 문화가 됐습니다. 가톨릭 역시 비밀리에 활동하고 있지요. 가톨릭 교황은 사람들의 영혼을 다시 하느님에게 인도하기 위해 기적과 징표를 찾으려고 합니다. 그에 ... ...
- [DGIST 신물질과학전공] 카테콜 작용기의 마술과학동아 l2019년 09호
- 교수는 “발색에 접착성까지 갖춘 유기 신소재의 이론적 토대를 만들어 새로운 체외 진단기술 개발로 이어지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용어정리파이-파이 상호작용음전하와 양전하의 정전기적 상호작용처럼, 원자핵 주변에 구름형태로 존재하는 파이 전자는 양이온이나 다른 파이 전자 등과 ... ...
- [SW진로체험] 블록체인 세상을 바꿀 평화로운 혁명! 김서준 해시드 대표수학동아 l2019년 09호
- 시도하는 거죠. 저는 이것을 ‘평화로운 혁명’이라고 생각해요. 현실 문제를 해결할 기술적인 돌파구를 찾는 것도 재미있고, 제가 3~4년 전부터 상상하던 변화가 실제로 일어나는 것을 목격하며 이 산업에서 일하는 자부심과 보람을 느껴요 ... ...
- [이소연이 만난 우주인] 우주인이 된 의사 로버트 써스크(Robert Thirsk)과학동아 l2019년 09호
- 선외 활동도 지원한다.2 캐나담 2는 캐나다의 5달러짜리 지폐에 그려져 있다. 자국의 우주기술에 대한 자긍심이 느껴지는 대목이다.3 써스크 박사가 가족을 위해 특별히 디자인해 우주로 가져간 반지. ▲ ISS 20, 21번째 임무에 함께 한 동료들. 맨 왼쪽이 써스크 박사이고, 가운데가 유럽우주국 출신 ... ...
- [과학뉴스] 화학약품 안 넣고 가습기 물 소독한다과학동아 l2019년 09호
- 적용하기 어려웠다. 연구팀은 티타늄의 산화수를 조정하는 자가 도핑(self-doping) 기술을 개발해 티타니아의 전기전도도를 높여 문제를 해결했다. 실험 결과 연구팀이 개발한 시스템은 수 분 내에 물속 세균과 바이러스를 99.99% 이상 제거했고, 20시간 연속으로 운전해도 살균 성능이 유지됐다 ... ...
- “7만 종 ‘생명의 설계도’ 만들어요”과학동아 l2019년 09호
- 국내에서는 이철 서울대 생물정보및집단유전학 연구실 연구원이 VGP의 유전체 분석 기술을 이용해 한국 고유종 민물고기인 큰볏말뚝망둥어(Periophthalmus magnuspinnatus)를 연구하고 있다. 큰볏말뚝망둥어는 멸종위기종이기도 하지만 갯벌 위를 펄쩍펄쩍 뛰어다니는 독특한 특성을 보인다. 어류가 ... ...
- 음성인식으로 말귀 알아듣고 전자 코로 냄새 맡는다과학동아 l2019년 09호
- 음성 인식이라고 부릅니다. 사람이 하는 말의 의미를 파악하는 기술입니다. 음성 인식 기술을 만들어 내기 위해서 정말 많은 엔지니어들이 오랫동안 연구를 해왔습니다. 현재 사용되는 방식은 지난 호에 소개했던 컴퓨터 신경망 프로그램입니다. 지난 호에는 사진을 학습했다면 이번에는 소리를 ... ...
- 우주에 돛을 펼쳐라 '라이트세일 2호' 나가신다과학동아 l2019년 09호
- 만큼 앞으로 돛을 더 튼튼한 소재로 크게 만들거나 더 높은 효율로 에너지를 전환하는 기술 등을 개발해야 한다”고 말했다. 최영준 한국천문연구원 우주과학본부장은 “가장 가까운 항성인 프록시마 센타우리도 지구에서 약 4.2광년 떨어져 있다”며 “심우주 탐사를 위해서는 먼 거리를 극복하기 ... ...
이전2052062072082092102112122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