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술"(으)로 총 12,250건 검색되었습니다.
- 왜 포항에서 지열발전을 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정도의 열을 얻을 수 있거든요. 현재 프랑스 솔츠, 독일 란다우, 스위스 바젤 등에서 이 기술을 활용하고 있답니다. 우리나라 포항에서도 이런 EGS를 이용하는 지열발전소를 시험 운행 중이었어요. 포항 지역의 지하 3~5km 깊이에 뜨거운 화강암 층이 있기 때문이지요. 2012년 말부터 지어진 포항 EGS ... ...
- [GO!GO!고고학자]난파선은 어떤 비밀을 품고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976년, 전라남도 신안군 앞바다에 가라앉은 난파선을 발굴하면서 시작되었어요. 초기에는 기술과 장비가 부족해 해군 잠수사의 도움을 빌려야 했지만, 지금은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에 아시아 최대의 수중문화재 발굴선 ‘누리안호’가 있어서 걱정이 없답니다. 2012년에 취항한 누리안호에는 20여 ... ...
- [본격 게임 채널] 던전앤파이터, 단리와 복리로 데미지 계산하기수학동아 l2019년 08호
- 모르면 활약하기가 힘들거든요! Q 전투할 때 가장 중요한 요소는 무엇인가요? 역공 기술인 ‘카운터’라고 생각해요. 몬스터가 어떤 행동을 하는 도중 공격하면 카운터가 발동하면서 데미지가 25%나 오릅니다. 아이템은 누구나 살 수 있지만, 아무나 카운터를 발동할 수는 없죠! Q 던전앤파이터의 ... ...
- 박휘이따고훼서 곡종헸는대? 맞춤법 틀린데 해석이 되네?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실험을 진행했다. ‘토종’ 한국인만 읽어낼까? 직접 실험해보니최원일 광주과학기술원(GIST) 기초교육학부 교수의 자문을 받아 각각 네 문장으로 이뤄진 두 종류의 구문을 만들었다. 하나는 된소리, 숫자, 영어 등이 섞인 숙박 후기를 그대로 썼다(아래 사진 1). 다른 하나는 음절교환효과를 ... ...
- [인포그래픽] 세계의 유인잠수정과학동아 l2019년 08호
- 해양 250은 서해의 혼탁함 때문에 운용되지 않다가 지금은 퇴역했다. 2016년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은 새로운 광물자원을 확보하기 위해 해저 탐사의 필요성이 대두되자 유인 잠수정 건조 계획을 정부에 제출했지만,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하지 못했다. 형기성 KIOST ... ...
- 질소, 질식 기체 오명 벗고 인류 책임진 슈퍼 히어로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액체질소 탱크 안에 보관하고 있다. 현재 과학자들은 냉동 인간을 만들 때 가장 큰 기술적 장애물인 세포가 얼면서 발생하는 세포 조직 파괴를 최소화할 방안을 연구 중이다. 어쩌면 머지않아 병에 걸리면 냉동 인간 상태로 치료법 개발을 기다리는 시대가 올 수 있다. 인류의 농업과 산업, 에너지와 ... ...
- 아프리카 최초 GM 모기 방사, 모기박멸 카운트다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위해 ‘유전자 드라이브(gene drive)’ 방식을 이용했다. 유전자 드라이브는 유전자 변형 기술 중 하나로, 특정 유전자를 개체에 삽입한 뒤 전파해 결국에는 생물종 전 개체군의 유전형질을 바꾸는 방법이다. 1. 뉴클레이스 I-PpoI를 생산하는 유전자를 수컷 모기에 삽입한다. 이 뉴클레이스는 수컷 ... ...
- 인도, 달 향한 꿈 쏜다과학동아 l2019년 08호
- 9월로 넘어 간다. 韓, 달 탐사에서 인도와 협력 추진인도는 자력으로 우주발사체 기술을 확보한 신흥 우주 강국으로 꼽힌다. 특히 화성 탐사 임무에서는 중국보다 앞서 있다. 2013년 11월 우주발사체 PSLV(극궤도우주발사체)를 이용해 화성 탐사선 ‘망갈리안(Mangalyaan)’을 쏘아 올렸고, 망갈리안은 20 ... ...
- [DGIST 뉴바이올로지전공]‘정크 단백질’을 분해하라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없다. 2015년 미국에서 유비퀴틴화 작용을 촉진하는 화합물을 유도하는 ‘프로탁(PROTAC)’ 기술이 나온 정도다. 프로탁은 질병을 일으키는 단백질에 달라붙어서 기능을 억제하는 방식이 아니라 질병을 일으키는 단백질 자체를 제거한다는 점에서 신개념 질병 치료법으로 최근 각광받고 있다. 이 ... ...
- [수학뉴스] 수학으로 게임 랙 극복한다수학동아 l2019년 08호
- KAIST 문화기술대학원 교수는 “게임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고 랙을 보상할 수 있는 유일한 기술”이라고 말했습니다. 이 연구는 2019년 5월에 열린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분야 국제 학술대회인 ‘2019 CHI’에서 발표됐습니다. ...
이전2072082092102112122132142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