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시
지명
지력
지성
지능
지식
지목
스페셜
"
지적
"(으)로 총 2,134건 검색되었습니다.
“사람에게 목적 맞춘 바이오 연구 필요해”
동아사이언스
l
2011.11.28
생각했기 때문이죠.” 선 교수는 바이오 분야를 입체적으로 정의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
했다. 그는 BT에서 사람에게 적용되는 부분을 놓고 위쪽에 정보통신기술(IT), 아래쪽에 나노기술(NT)을 붙인 그림을 내보였다. BT에서 HT를 떼어내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다른 기술을 융합시키는 구도인 셈이다. ... ...
떠오르는 해양생명공학…세계적 수준 따라잡을 것
동아사이언스
l
2011.10.17
다른 생명과학과 다른 점은 무엇일까. 박 국장은 해양이 갖는 ‘특수성’을
지적
했다. 그는 “해양생명공학은 바다에 사는 생물을 파악하고 채집하는 것에서 시작해 생체 메커니즘을 분석하는 분야까지 폭이 굉장히 넓다”며 “이런 과정이 유기적으로 연계되어야 연구가 한 단계 업그레이드 될 수 ... ...
“시장에서 필요한 지재권 확보로 바이오 경쟁력 확보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1.08.17
“이런 상황에서 우리나라의 갈 길은 창의성을 근거로 한 고부가가치 제조업”이라고
지적
했다. 산업사회에서 지식경제 사회로 진입하고 있는 만큼, 지난 세월 중화학 산업, 반도체 산업, 통신 산업을 일궈낸 것처럼 지식재산 분야에 관심을 갖고 경쟁력을 확보해야 한다는 것이 핵심이다. ... ...
"발전 가능성 높은 바이오화학 분야 적극 육성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1.08.02
늦었다고 생각됐을 때 대규모로 투자해 격차를 좁히는 방식을 더 선호하는 것 같다”고
지적
했다. 종적인 구조를 이루고 있는 조직이다 보니 현안을 처리하다보면 급하지 않은 일은 뒤로 미뤄질 수밖에 없어서다. “예전까지는 ‘늦더라도 대규모로 투자해 따라잡는’ 과학정책이 효과가 ... ...
한국 바이오 기업이 주목해야할 미국 바이오 분야의 특징들
동아사이언스
l
2011.07.20
말했다. 대학교수가 벤처를 차리고 직접 대표이사(CEO)까지 하려는 한국 관행에 대한
지적
도 나왔다. 미국에서는 교수의 연구결과를 대학이 나서 라이센싱아웃 하고, 벤처를 차려도 전문경영인이 따로 있는 게 보편적이라는 것이다. 민 변호사는 “대학에서 혁신이 나오는 건 사실이지만 그걸 ... ...
“한국 바이오에는 ‘디벨롭먼트(Development)’가 없다”
동아사이언스
l
2011.07.17
한국 바이오가 산업화를 이루고 해외 시장에 진출하려면 기업 규모를 키워야 한다는
지적
도 제기됐다. 이는 국내에서 열렸던 전문가 좌담회에서 수차례 언급됐던 내용이다. 미국 바이오 전문가가 보기에도 의견을 같이 하는 것이다. ▽이재규 박사=한국에는 제약회사가 꽤 많은 편이지만, 가장 큰 ... ...
“선택과 집중의 수월성 경쟁 필요”
동아사이언스
l
2011.07.05
세계적 학회가 열릴 때 우리나라 학자가 초빙돼 특강을 하는 일이 아주 드물다고
지적
했다. 그는 “세계 학회에서 연사로 나설 만큼 우리의 기초 연구가 튼튼하지 못하다는 증거”라며 “세계적 학자나 노벨상 수상자가 나오기 위해서는 정부 차원에서 기초 연구에 보다 과감히 투자해야 한다”고 ... ...
“생명공학 발전 위해 부처간 조정이 필수적입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1.06.06
악순환”이라고
지적
했다. 연구비를 성과에 의해 계약별로 지급하는 방식도 문제점으로
지적
했다. 이 단장은 “외국처럼 ‘그랜트’ 방식으로 신뢰를 바탕으로 연구자를 지원해야 한다”며 “비도덕적 연구자를 엄격히 퇴출하면 연구비를 자유롭게 쓰게 하더라도 개인적 용도로 쓸 수 없을 ... ...
“바이오연구 지원 ‘그랜트’ 형식해야 발전”
동아사이언스
l
2011.05.11
발전을 위해 기초연구개발에 대한 성과 위주의 평가 방식이 바뀌어야 한다고
지적
했다. 그는 “우리나라는 마치 공사 발주하듯 계약에 의해 정량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일정 기간 내에 반드시 성과물을 내야 하는 시스템이다”이라고 비판하며 “미국과 같은 생명과학 선진국은 과학자에게 ... ...
“R&D 정책, 이제는 전문가 집단이 맡아야”
동아사이언스
l
2011.04.12
또 공무원은 ‘순환보직’이라는 특유의 인사 구조상 전문성을 쌓기 힘든 조직이라고
지적
했다. “한·미 원자력협정이나 미사일협정에 나오는 미국 공무원들은 10년 가까이 변함이 없어요. 전문지식을 갖춘 공무원이 승진을 거듭하면서 꾸준히 협상 자리를 지킵니다. 반면 우리는 담당공무원이 ... ...
이전
205
206
207
208
209
210
211
212
2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