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오른쪽"(으)로 총 2,779건 검색되었습니다.
- “스마트폰 하나면 나도 과학자”…시민 과학의 힘!동아사이언스 l2017.01.13
- 가상 우주공간에서 조종하는 유럽우주국(ESA)의 시민과학 게임 앱 ‘아스트로 드론’(오른쪽)을 시연하는 모습. - 유럽우주국 제공 ● 게임, 폰카로 놀면서 과학 연구 참여 게임을 즐기면서 과학 연구를 도울 수도 있다. 대표적인 것이 2014년 유럽우주국(ESA)이 개발한 앱 ‘아스트로 드론(Astro Drone ... ...
- 광화문 차벽, 적인줄 알았더니 동지? 100만 군중 안전하게 대피하려면과학동아 l2017.01.12
- 같은 재난 상황이 발생하기 쉽다. 이런 장소 역시 최적화된 대피로 설계가 중요하다. 오른쪽은 인파가 몰리는 곳에서 찍힌 CCTV 영상을 바탕으로 패턴인식을 한 결과다. - YG엔터테인먼트, Arianna Bottinelli 제공 STEP 2 과거 재난 상황의 데이터를 분석하라 대피 상황에서 정말 중요한 요소는 주변 사람들의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304] 노트북도 이제 배터리로 승부?2017.01.10
- 개가 있는 경우로 왼쪽은 주사전자현미경 이미지, 가운데는 투과전자현미경 이미지이고 오른쪽은 도식적 표현이다. - 사이언스 어디밴시스 제공 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 2016년 7월 13일자에는 몰리브덴황화물(MoS2)과 CNT로 이루어진 나노구조 음극을 만드는데 성공했다는 싱가포르 ... ...
- [백문이불여일짤] ① 아무리 먹어도 안 줄어드는 초콜릿이 있다고?동아사이언스 l2017.01.09
- . 잘린 조각 중에 왼쪽 첫 번째 큰 조각(조각 1)을 오른쪽으로 미는 데까지는 성공! 그런데 오른쪽에 있던 작은 조각(조각 2)을 왼쪽으로 가져오면서 문제가 생겼습니다. 웬 빈틈? 자르는 것까진 좋았는데, 자리를 바꾸니 점점 느낌이 쎄…. - 염지현 제공 그래도 칼을 뽑았으니, 나머지 초콜릿을 잘라 ... ...
- [과학기자의 문화산책] 스마트폰에서 꾸미는 나만의 수족관, ‘어비스리움’동아사이언스 l2017.01.08
- 지난 해 ‘도리를 찾아서’의 주인공이었던 블루탱 - 위키미디어(왼쪽), 어비스리움(오른쪽) 제공 머리부터 꼬리까지 색이 변하는 것이 매력적인 파이어고비 - 위키미디어(왼쪽), 어비스리움(오른쪽) 제공 임페리얼 엔젤 - 위키미디어(왼쪽), 어비스리움(오른쪽) 제공 이 물고기들 중 기자가 ... ...
- “병명도 모르는 유전질환 앓는 수현이를 위해”…생물학 ‘덕후’들의 재능기부동아사이언스 l2017.01.06
- 박사과정생(왼쪽)과 최성민 서울대병원 의생명연구원 전문연구요원(오른쪽). - 신수빈 기자 제공 RG코리아는 첫 케이스로 수현이의 유전체를 분석하기 위해 기관생명윤리위원회의 승인을 기다리고 있다. 1월 중 승인 결과가 발표되면 곧바로 분석을 시작할 계획이다. 올해 안에 수현이를 비롯한 3명의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303] 현대인들에게 수탉의 울음이 필요한 이유2017.01.04
- 활동시간대(밤. 쥐는 야행성)로 먹는 시간을 제한한 쥐(왼쪽)는 그런 제한이 없는 쥐(오른쪽)보다 날씬하다. - Joe Belcovson/소크연구소 제공 ● 사회적 시차의 만연 요즘 사람들 가운데는 해외여행을 다녀온 것도 아닌데 시차로 고생하는 경우가 많다. 이를 사회적 시차(social jetlag)이라고 부른다. ... ...
- 한국 기초과학 이끌 독일인 과학자 2人동아사이언스 l2017.01.04
- 신규 연구단장으로 임명된 엑슬 티머먼 단장(왼쪽)과 안드레아스 하인리히 단장(오른쪽). - IBS 제공 기초과학연구원(IBS)은 기초 분야 연구 확장을 위해 ‘기후물리연구단’과 ‘양자나노과학 연구단’을 새롭게 출범했다고 4일 밝혔다. 두 연구단을 이끌 단장은 모두 독일인이다. 액슬 티머먼 ... ...
- [CES 2017] 필통에 넣어두면 스마트폰 충전 끝! ETRI, CES에 혁신 기술 소개동아사이언스 l2017.01.04
- 차원(3D) 영상으로 제작, 안경 없이도 즐길 수 있게 하는 기술이다. 기존 3D 기술은 오른쪽과 왼쪽 눈의 시차를 이용하기 때문에 전용 안경이 필요했다. ETRI는 대용량 초다시점 영상을 원격으로 전송하고, 제어하는 기술도 함께 선보인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자체 개발한 108개 초다시점 ...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5)우주가 물질이 왜 더 많은지 실험으로 보여준 제임스 크로닌2016.12.30
- 관찰한 결과 방출되는 전자의 스핀이 비대칭임을 확인했다. 즉 왼쪽 스핀인 전자가 오른쪽 스핀인 전자 보다 많이 나왔다. 대칭성이 유지된다면 같은 수로 나와야 한다. 이 실험으로 양과 리는 이해 노벨물리학상을 받았다. 그리고 7년이 지난 1964년 미국 브룩헤이븐연구소의 크로닌과 밸 피치는 ... ...
이전2062072082092102112122132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