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오른쪽"(으)로 총 2,779건 검색되었습니다.
- 12월 1일 세계 에이즈의 날 “제3세계 여성, 에이즈를 넘어라”과학동아 l2016.12.01
- 국제에이즈 콘퍼런스에서 남아공 에이즈연구프로그램센터(CAPRISA) 살림 압둘 카림 국장(오른쪽)은 “어린 여성들의 신규 HIV 감염을 줄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 CAPRISA 제공 ● 예방법 1 지피지기면 백전불태, 기생충을 잡아라 이 콘퍼런스에서 CAPRISA 연구팀은 여성 생식기에 사는 일부 박테리아가 HIV ... ...
- 위상수학, 도시를 최적화하다수학동아 l2016.11.29
- 찌그러뜨려서 같은 모양을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의자를 위상최적화하면 가장 오른쪽에 있는 모습이 된다. 미래의 카페는 이런 의자로 가득 차 있을지도 모른다. - Marco Hemmerling 제공 기존의 최적화 기법은 설계 과정에서 위상을 바꿀 수 없다. 만들려는 물체의 구멍을 처음에 1개로 정했다면, 최종 ... ...
- 그날 서해대교엔 무슨 일이 있었을까과학동아 l2016.11.29
- 통해 발화지점과의 거리 별로 종이벽지에서 어떤 성분이 얼마나 검출되는지 수치화했다. 오른쪽 위 사진은 실제 화재 현장 사진으로, 탄 종이벽지가 군데군데 떨어져 있는 것이 보인다. - 인천 부평소방서 제공 ● 한국형 화재감식 매뉴얼 만든다 인천에서는 이영민 인천 부평소방서 현장대응단 ... ...
- 뒤섞인 시체들의 신원 파악은?과학동아 l2016.11.28
- 시체가 있었다는 뜻이다. 근사개체수*(MLNI) MLNI = (L+1)(R+1)/(P+1) – 1 (L = 왼쪽 뼈 개수, R = 오른쪽 뼈 개수, P = 동일인의 뼈라고 판단되는 좌우 뼈의 쌍). MLNI는 LI를 통계적으로 수정한 방법이다. ※ 필자소개 정양승. 서울대 인류학과에서 학부와 석사를 마치고 미국 테네시대 인류학과에서 박사학위를 ... ...
- 죽을 뻔한 운전자, 기적의 생존2016.11.26
- 운전자는 무사했다. 새너제이 소방서의 대변인 크리스토퍼 살치도는 ‘운전자가 조금만 오른쪽으로 앉아 있었어도 빔이 그를 관통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믿기 힘든 기적의 순간을 담은 사진을 현지 소방서가 공개했고 여러 해외 언론에 소개되면서 큰 화제를 일으켰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 ...
- 강릉가서 소원 빌려면, 이곳으로 가면 된다고~2016.11.24
- 신주빚기(왼쪽). 사물놀이에서 북 대신 사용되는 강릉지역의 사물놀이 악기인 제금(오른쪽). - 고기은 제공 [Go] 강릉단오문화관 전시실에서 이것만은 꼭! 고기은 제공 1. 대관령국사성황신 범일국사 설화 읽기- 탄생부터 비범한 범일국사. 그의 설화를 읽고 나면 왜 그가 강릉지역의 수호신이 ... ...
- 동아사이언스 독자에게만 드리는 ‘콜드플레이 콘서트 예매 팁’동아사이언스 l2016.11.24
- 없습다고요? 괜찮습니다. 새로고침을 하며 기다리십시오. 구역 하나를 정한 뒤, 오른쪽 하단의 ‘좌석 다시 선택’를 누르며 기다리십시오. 이 예매창은 뮤지컬 ‘아이다’의 좌석입니다. 여전히 사이트가 불안정하고, 예매 가능 좌석 수는 많은데 정작 선택할 수 있는 좌석이 없다면 좌석을 ... ...
- 미녀 탄생, 6년 다이어트의 결과 2016.11.23
- 미디어에 올린 것이다. 위 사진 왼쪽은 2010년에 촬영한 것이라고 한다. 당시 체중은 95kg. 오른쪽은 최근의 모습이다. 체중은 72kg이다. 엘 윌리엄슨의 키는 182cm이다. 천문학적(?)으로 많이 감량한 것은 아니다. 하지만 전혀 달라 보인다. 본인은 이렇게 말한다. 지방은 잃고 자신감은 얻었다고. 호주의 ... ...
- 치매 원인물질 두 종류 한 번에 치료한다2016.11.21
- 응집된 형태로 존재한다. 연구진이 개발한 신약 후보물질을 쥐에게 투약한 3개월 후(오른쪽) 뇌 속 응집체가 거의 사라진 것을 볼 수 있다. - KIST 제공 치매의 일종인 ‘알츠하이머’는 ‘세상에서 가장 슬픈 병’으로 불리지만 아직 치료법이 없다. 과학적 원인은 밝혀졌지만 이를 개선하는 약물이 ... ...
- 공기 속 ‘초미세 바이러스’ 찾아내는 법 알아냈다2016.11.21
- 연구를 이끈 장재성 교수(가운데)와 홍성결 연구원(왼쪽)과 한창호 연구원(오른쪽) - UNIST 제공 공기 중에 떠도는 초미세 바이러스를 제거할 수 있는 기술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바이오 테러 방지나 고효율 공기청정기 개발 등 여러 산업 분야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장재성 ... ...
이전2092102112122132142152162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