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울나라
대한민국
모국
국내
d라이브러리
"
우리나라
"(으)로 총 7,884건 검색되었습니다.
순간 포착! 아기별의 진화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8호
탄생을 알려요. 그런데 최근 시간이 지나며 분출물이 나오는 방향이 변하는 장면을
우리나라
연구진이 포함된 국제공동 연구팀에서 관찰했답니다.이에 앞서 2013년, 김순욱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교수와 김정숙 한국천문연구원 연구원은 원시별에서 뿜어져 나오는 분출물의 모양이 변하고 ... ...
청개구리가 비만 오면 노래하는 이유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다른 어떤 개구리보다도 잘 발달된 노래주머니를 가지고 있어요. 그래서 청개구리는
우리나라
의 개구리 중에서 가장 작지만, 그 어느 개구리보다 큰소리를 내지요.그런데 물 속에서 노래하는 다른 개구리와 달리 청개구리는 물에 둥둥 떠서 노래하지 않아요. 특히 청개구리는 논둑이나 논 안에서 ... ...
[생활] 수학과 화학의 맛있는 만남 분자요리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느껴졌다. 특히 마지막에 입에 넣은 캐비어를 깨물자 짭짜름한 간장이 새어나왔다!최근
우리나라
에도 알려지고 있는 이런 색다른 요리는 원래 영국과 프랑스, 스페인 등 유럽의 물리화학자들이 생각해냈다. 특히 프랑스 물리화학자인 에르베 디스는 “뛰어난 요리는 맛뿐만 아니라 향과 질감도 ... ...
PART1. 공포의 대상을 찾아라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밝은 면과 그늘진 면을 동시에 갖고 있다고 하죠? 이 시대도 마찬가지였어요. 근대화로
우리나라
경제가 많이 성장하긴 했지만, 잘사는 사람과 그렇지않은 사람 간의 빈부격차가 아주 커졌거든요. 그러면서 돈이 계급이 되는 사회가 돼버렸죠. 나 같은 피지배층은 지배층에 대한 불만이 가득했어요. ... ...
[핫이슈] 남북 과학 협력하려면 말부터 합쳐야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광복 이후에도 선택이나 심의 과정 없이 그대로 조선의 전문용어로 채택됐다. 당시
우리나라
지식계급 대부분이 한자에 대한 소양이 풍부했던 것도 일본어 한자 용어가 우리말 전문 용어로 자리 잡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그러다 1945년 남북이 갈라지고 1950년 전쟁이 일어나면서 남북은 각기 다른 말 ... ...
[핫이슈] 폭염은 재난이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전국적으로 폭염이 극심해지면 총리가 4단계를 발령하고 직접 재난관리에 나선다.
우리나라
에는 40℃ 이상 고온이 10일 이상 지속되는 등 극한 폭염상황이 닥쳤을 때에도 딱히 대처매뉴얼이 없다. 1994년처럼 극한 폭염이 닥치면 속수무책이다.1994년 당시 90명 이상이 열사병으로 죽었는데, 이것도 ... ...
임미희 자연과학부 교수 - 알츠하이머 고치는 화학자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는 사회가 돼야 연구도, 치료제 개발도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어요.
우리나라
가 그렇게 변한다면 알츠하이머 치료를 선도하는 나라가 될 겁니다 ... ...
좋은 맛 똑똑한 맛 ➍ 나트륨 줄이기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섭취는 줄일 수 있다. 핀란드는 대체소금을 활용해 고혈압 환자를 줄이는 데 성공했다.
우리나라
도 수입한다.하지만 가장 좋은 건 적게 먹는 것이다. 좋다고 많이 쓰면 결국 더 많은 나트륨을 먹게 된다. 이 교수는 “일반 정제소금보다 나트륨 함량이 적은 천일염도 많이 먹으면 나트륨이 몸에 ... ...
“ 해상 안전의 첫 걸음은 바다를 이해하는 것”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다 포함하죠.
우리나라
는 석유가 안 나오니 이런 설계를 해볼 기회가 없어요. 그럼에도
우리나라
조선산업이 유명한 이유는 물 위의 구조물을 만드는 기술이 뛰어나기 때문입니다. 선박을 포함해서요. 과거부터 현재까지 새로운 기술을 먼저 수용하고 연구하는 자세가 지금의 한국 조선산업을 ... ...
PART3. 어떤 관객을 공략해야 하는가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공포영화를 만들 때 19세 관람가로 지정할 경우 상당수의 관객을 놓치게 된다. 실제로
우리나라
공포영화 중 유일하게 300만 관객을 넘긴 ‘장화,홍련’은 12세 관람가다. 170만 관객을 모은 ‘여고괴담 세 번째 이야기: 여우계단’ 역시 12세 관람가였으며, 100만 관객이 본 ‘베스트셀러’는 15세 ... ...
이전
208
209
210
211
212
213
214
215
2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