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미래"(으)로 총 4,79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2. 2085 화성일보 '화성을 만드는 사람들'과학동아 l2012년 01호
- 다른 신인류가 될 것이다. 우리가 터를 닦았지만, 그들이 만들어 갈 화성의 미래. 그 미래가 무척 기대된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21세기 화성라이프!Part1. 2049 인류 최초 화성 기지 '웰즈'의 기록Part2. 2085 화성일보 '화성을 만드는 사람들'Part3. 2150 지구로 보내는 편지Special 화 ...
- 생활을 인쇄하라, 3차원 프린터과학동아 l2012년 01호
- 옷을 입고 내 입맛에 딱 맞는 과자와 기이한 모양의 컵에 담긴 모닝커피를 즐길 수 있는 미래가 점점 다가오고 있다. ‘가정마다 3차원 프린터를 한 대씩 갖게 될’ 그 날이 기다려지는 이유다.[벨기에의 의료보조기 제조회사인 ACMI에서 3차원 프린터로 인쇄한 골반 뼈. 환자의 몸을 3차원으로 찍은 뒤 ... ...
- 고등학교 동아리의 한계를 뛰어넘다과학동아 l2012년 01호
- “혹시 자동차항공기연구반을 아세요?”과학동아 편집부로 한 통의 e메일이 도착했다. “혹시 자동차항공기연구반을 아세요?”로 시작한 메일은 동아리에서 작은 ... 걸 느껴요.”열정과 도전정신으로 똘똘 뭉친 자항연 학생들에게서 우리나라 과학기술의 미래를 살짝 엿봤다면 과장일까 ... ...
- Intro. 지구, 70억과학동아 l2012년 01호
- 인포그래픽으로 보는 인구Part 2. 시간 1000명에서 70억으로Part 3. 공간 섬, 도시, 극한Part 4. 미래 100억 지구의 적들기획 : 윤신영 기자디자인·인포그래픽 ... ...
- Part 1. 70억 인포그래픽으로 보는 인구과학동아 l2012년 01호
- *이 프롤로그에 이어지는 1파트의 본문은 인포그래픽만으로 구성돼 있습니다. 아래 주소로 들어가 보세요.http://science.dongascience.com/articleviews/article-view?acIdx=11324&acCode=7&year=2012 ... 인포그래픽으로 보는 인구Part 2. 시간 1000명에서 70억으로Part 3. 공간 섬, ...
- Part1. 2049 인류 최초 화성 기지 '웰즈'의 기록과학동아 l2012년 01호
- !” 역시 지구에서 아무나 뽑아 보내지는 않았구나 하는 안도감이 들었다. 화성 기지의 미래는 밝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21세기 화성라이프!Part1. 2049 인류 최초 화성 기지 '웰즈'의 기록Part2. 2085 화성일보 '화성을 만드는 사람들'Part3. 2150 지구로 보내는 편지Special 화성탐사선 ... ...
- “외국 학생들이 유학 오는 대학으로 발전할 것”과학동아 l2012년 01호
- 지난 1986년 ‘한국 최초 연구중심대학’을 내세우며 포항공대로 문을 연 포스텍(POSTECH)이 지난해 12월 3일 25주년을 맞았다. 포스텍은 이날 열린 25주년 기념식에서 한국 최 ... ‘몇위’는 순간이지만 ‘클래스’는 영원하다. 기초과학 분야 ‘클래스’가 되는 미래의 포스텍을 기대해 본다 ... ...
- Part 3. 공간 섬, 도시, 극한과학동아 l2012년 01호
- 1 섬 바다 건너 머나먼 대륙으로아프리카를 나온 인류는 동쪽으로는 동남아시아로, 서쪽으로는 유럽으로 퍼져나갔다. 이 중 동남아시아 방향으로의 ‘확산(목 ... 70억Part 1. 70억 인포그래픽으로 보는 인구Part 2. 시간 1000명에서 70억으로Part 3. 공간 섬, 도시, 극한Part 4. 미래 100억 지구의 ... ...
- 천 년의 기술, 인쇄로 푼다!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21호
- 못 했지. 컴퓨터 게임하는 게 낫다고 생각했던 내가 너무 부끄러워.“결이 네가 살아가는 미래에는 전쟁도 없고 아주 평화롭지? 우리도 평화를 위해 마음을 담아 대장경을 만들고 있단다. 우리의 정성이 오래 전해지게 하려면 보관도 잘 해야겠지? 그래서 우리는 경판을 보관할 건물도 과학적으로 ... ...
- 한반도 바다의 지배자는 누구? 상어 VS 고래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20호
- 수는 더 늘어날 것으로 보여요. 과학자들은 이렇게 되면 먹이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미래에는 상어의 크기가 줄어들 것으로 보고 있어요. 실제로 신생대에 살았던 메갈로돈은 크기가 13m 정도였지만, 그 후손인 백상아리는 크기가 6m 정도로 줄어들었답니다.고래가 위험하다!지난 40년 동안 동해의 표층 ... ...
이전2092102112122132142152162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