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미래"(으)로 총 4,792건 검색되었습니다.
- 서울대 정시? 이렇게 준비했다과학동아 l2011년 12호
- 비문학 공부로 준비한 논술임능환(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 1학년, 동북고 졸업)‘이제 마지막으로 남은 시험이야. 여기까지 왔는데 잘 봐야 해 ... 읽었는데 너무 재밌었어요. 그래서 수리통계학을 선택했죠. 좋아하는 공부라 재밌습니다.미래의 후배 여러분! 학교에서 만날 날을 기다릴게요 ... ...
- Part 2. 심리학자, 명상에 빠지다과학동아 l2011년 12호
- 과거와 미래를 오가는 마음을 다잡는 방법이다.“과거에 집착하면 우울해지고 미래만 생각하면 불안해집니다. 특히 좋지 않은 경험이 많을수록 이런 사고패턴에서 빠져나오기가 어렵지요. 여행을 떠나면 마음이 편안해지는 것도 낯선 환경이 마음의 주의를 돌리기 때문입니다.”결국 명상은 자기 ... ...
- 체험! 학습의 현장과학동아 l2011년 12호
- 전문가가 강연하는 ‘자연과학이야기’가 열린다. 12월 25일 강연의 주제는 ‘인류의 미래와 바이오매스 개발사회’다. 교육프로그램 예약 및 문의는 info@krnamu.or.kr이나 042)824-4055~6으로 하면 된다. 자세한 내용은 계룡산자연사박물관 홈페이지 krnamu.or.kr를 참고하자. 씹고 뜯고 맛보며, 즐기는 수학 ... ...
- 긴급진단 지구가 아프다!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11호
- 해결해 나가자는 뜻으로 RGB 캠페인을 벌이고 있어요. 한국과학창의재단의 조숙경 미래융합실장님을 만나 자세한 이야기를 들어 봐요.RGB 캠페인은 무엇인가요?RGB는 인류가 겪고 있는 지구 문제 5개를 색으로 표현한 거예요. R(Red)은 질병, G(Green)는 기후변화와 에너지, 식량, B(Blue)는 물 문제를 ... ...
- INTRO. F1 신화를 수학으로 쓰다수학동아 l2011년 11호
- 장맛비가 계속되던 2011년 7월의 어느 날.“편집장님! 저희가 F1 대회에 참여한다고요? 시속 300km로 달리는 그 F1 말이죠?”“허허허, 난 자네들이 잘 해낼 거라 생각하네. 이참 ... F1 신화를 수학으로 쓰다PART 1. F1에 도전장을 내다 PART 2. 숨 막히는 3일간의 대혈전 PART 3. 우리가 미래의 F1 ... ...
- PART 1. F1에 도전장을 내다수학동아 l2011년 11호
- F1의 공식명칭은 포뮬러원 월드 챔피언십. 국제자동차연맹에서 정한 기준에 따라 열리는 세계 최정상자동차 경주대회다. 최고 스피드를 겨루는 이 대회에서 우승하기 위해 수 ... F1 신화를 수학으로 쓰다PART 1. F1에 도전장을 내다 PART 2. 숨 막히는 3일간의 대혈전 PART 3. 우리가 미래의 F1 ... ...
- 학생이 원하는 대로, 아주대 과학영재교육원수학동아 l2011년 11호
- 2)은“평소에 들을 수 없었던 이야기를 듣고 많이 깨달았다. 인터뷰를 통해서 내가 미래에 과학자가 되기 위해, 그리고 과학자가 됐을 때 어떻게 해야 될지 매우 구체적으로 알게 됐다”고 말했다.학생들은 인터뷰를 녹음해 집에 와서 보고서를 작성한다. 과학자와 함께 찍은 사진도 소중히 간직한다. ... ...
- “정글 성큼성큼 걷는 거대로봇 만들 겁니다”과학동아 l2011년 11호
- 될 수 있죠. 온리 원(Only One)이 넘버 원(Number One)이 돼요.”마지막으로 홍 교수에게 로봇의 미래를 물었다.“그거 알면 제가 하고 있게요? 하하. 3D, 그러니까 지루하고(Dull), 더럽고(Dirty), 위험한(Dangerous) 일을 로봇이 사람 대신 할 거예요. 지금 로봇의 장벽은 동력과 액츄에이터(로봇이 움직이게 하는 ...
- 플라스틱, 바다에서 양식한다과학동아 l2011년 11호
- 미래의 플라스틱은 석유가 아닌 미생물에서 나올지도 모른다.최근 독일 마르부크대의 우베 마이어 교수팀은 플라스틱을 생산하는 미세조류를 만들었다. 미세조류의 한종인 ‘파이오덱틸룸 트리코뉴툼(Phaeodactylum tricornutum)’의 유전자를 변형한 것이다.이 미세조류는 원래 플라스틱을 만들지 ... ...
- 리얼스틸과학동아 l2011년 11호
- 권투 시합에 응용할 수 있으려면 지금보다 더 정교하고 속도가 빨라져야겠지만 10년 뒤의 미래라는 점을 감안하면 불가능하다고 할수는 없다.정작 2020년에 이루기 가장 힘들어 보이는 건 권투를 할 수 있을 정도로 발달된 로봇이다. 펀치를 날릴 때 우리 몸의 변화를 생각해보자. 단순히 주먹만 ... ...
이전2122132142152162172182192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