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용"(으)로 총 14,017건 검색되었습니다.
- 유리는 고체, 액체? 구글 딥마인드의 답은과학동아 l2020년 09호
- 너무나 이상한 물질이다. 고체와 액체의 특성을 동시에 갖고 있기 때문이다.유리창에 사용되는 유리는 단단하다. 크게 휘지도 않고, 빛 외의 물질에는 잘 반응하지도, 통과시키지도 않는다. 당연히 고체 같다. 하지만 현미경으로 본 유리의 내부 구조는 심히 액체스럽다. 입자들이 마구잡이로 배열돼 ... ...
- [기초과학의 힘, IBS ] 나노 패치 뭍여 여드름 잡고 스마트렌즈로 스트레스 측정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작동하고 코르티솔 농도가 측정된다. 측정값은 NFC 칩을 통해 스마트폰으로 전송되고, 사용자는 스마트폰에서 실시간으로 자신의 스트레스 수치를 확인할 수 있다.실험 결과, 스마트 콘택트렌즈는 사람이 착용한 상태에서도 정상적으로 작동했다. 또 렌즈에서 발생하는 열과 전자파는 인체에 무해한 ... ...
- [한페이지 뉴스] 파란 회오리바람은 어떻게 만들어질까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제어할 수 있는 연구가 이뤄진다면 추진기 등 연소가 필요한 곳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 8월 12일자에 실렸다. doi: 10.1126/sciadv.aba082 ... ...
- ‘꿈틀’ 깔따구 유충 나온 수돗물, 정수 과정에서 대체 무슨 일이?과학동아 l2020년 09호
- 받은 강물을 수돗물의 원료로 사용하나, 3등급 강물도 정수처리를 거치면 수돗물로 사용할 수 있다. 취수장의 물은 착수정으로 옮겨 잠시 안정시킨 뒤, 혼화지로 보내 적정량의 정수처리 약품을 섞는다. 그 다음에는 응집지로 보내 약품과 흙 같은 탁질이 잘 섞이게 한다. 이 과정에서 미세한 불순물 ... ...
- [과학동아 X 긱블] 긱블의 네 번째 빅 프로젝트 로켓 발사 탱크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알루미늄으로 제작한 카트라이더와 비교해보면, 카트라이더는 한 개의 톱니바퀴만 사용했고 기어비가 약 5대 1이었습니다. 회전수가 5분의 1 수준으로 줄었죠. 결과적으로 탱크의 토크는 카트라이더보다 거의 3배 높아졌습니다. 카트라이더보다 차체가 3배 무거워졌어도 3배 높은 토크로 탱크를 ... ...
- [비하인드 로켓] 절치부심, 두번째 도전에 나서다과학동아 l2020년 09호
- 500개 이하로 청정한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청정도 유지시설은 나로호 이전에도 많이 사용했기 때문에 익숙한 부분이었다. 그런데 어느 날 나로우주센터 위성조립동의 먼지 수가 6000개를 넘었다. 지하 기계실에 있는 공조기가 고장이 나면서 화재경보기가 작동해 오염에 노출된 것이다. 하는 수 ... ...
- [2회] 데파더의 데이터 레시피수학동아 l2020년 09호
- 아닌 형태의 데이터를 수로 나타내고, 데이터 사이의 관계를 살펴볼 때 행렬을 사용합니다. 행렬은 중고등학교 교과과정에서 빠져서 낯설수도 있지만 어려운 개념은 아닙니다. 데이터를 행과 열로 정리해 나타내기만 하면 되거든요. 그런 뒤 더하고 빼거나 곱하는 등의 연산을 할 수 있는데 이런 ... ...
- [주접 평론가 피터팍의 아이돌 수학] (여자)아이들과 연산의 순서수학동아 l2020년 09호
- 해당하는 것이고, 숫자로만 된 식에서 2(9+3)을 먼저 계산하게 하고 싶다면 중괄호를 사용해 48÷{2×(9+3)}이라고 써야 한다. 또한 기호를 생략하는 방식으로 표현하려면 앞의 나눗셈도 분수로 나타내 로 표기해야 한다. 이처럼 수학 문제는 풀 때만 규칙이 필요한 것이 아니라 만들 때도 규칙에 따라 ... ...
- [주니어 폴리매스] 게임 디자인 씽킹, 게임 월드에 빠지게 하는 마법 원근법수학동아 l2020년 09호
- 코나미의 ‘남극탐험’이 이러한 투시 원근법을 적용한 게임 사례입니다. 투시 원근법을 사용해 거리감을 표현했을 뿐만 아니라 캐릭터가 가야 할 방향도 분명히 알 수 있게 나타냈습니다. 앞은 진하게 뒤는 흐리게! 공기 원근법공기 원근법은 색채로 표현하기 때문에 ‘색채 원근법’이라고도 ... ...
- 아라온호 북극으로 안내하는 내비게이션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아리랑 위성으로 촬영한 극지 영상은 국내 연구기관이나 교육기관이면 누구나 사용할 수 있다. 위성탐사·빙권정보센터는 2017년 ‘스타 아카이빙 시스템(STAR Archiving System)’을 구축해 인공위성이 촬영한 극지 자료와 다양한 빙권 모니터링 자료를 공개하고 있다. 전 세계 인공위성 데이터 시스템 ... ...
이전2092102112122132142152162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