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운
능력
역량
권력
정력
에너지
기력
d라이브러리
"
힘
"(으)로 총 6,293건 검색되었습니다.
태풍 VS 토네이도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5호
공급받아 점점 거대해져요. 최근에는 지구온난화로 해수 온도가 오르면서 태풍의
힘
이 점점 세지고 있답니다. 열대성 저기압은 만들어지는 지역에 따라 이름이 다른데 대서양과 북태평양 동부에서 만들어진 것은 ‘허리케인’, 인도양은 ‘사이클론’, 호주 근처 남태평양은 ‘윌리윌리’라고 ... ...
튼튼한 다리의 비결!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5호
않고 계속 서 있었답니다. 연구팀은 우리 다리에 탄성력이 강한 근육조직이 있어 많은
힘
이 가해지더라도 압박이 크지 않다는 사실을 발견했어요.대단해! 나에게도 다리가 튼튼해지는 법을 살짝 알려 주겠니?안타깝지만 닥터 그랜마에게는 캥거루처럼 커다란 꼬리가 없잖아요! 캥거루는 커다란 ... ...
어린이 안전 지키으리~! 올백시큐리티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4호
표류하며 비스듬히 헤엄쳐 나온다. 수영을 못하는 어린이라면 당황하지 말고 온몸에
힘
을 뺀 채 물에 둥둥 떠서 주변사람에게 도움을 청한다.갑자기 깊어지거나 물살이 빨라지는 곳 주의!물놀이 안전사고는 초등학교 고학년인 10~13세 어린이들에게 가장 많이 일어난다(26.4%)! 그 이유는 저학년 ... ...
밀물 썰물로 전기가 찌릿찌릿 시화호 조력발전소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4호
시화호 조력발전소는 밀물 때 높아진 서해의 바닷물이 시화호로 떨어지면서 생기는
힘
으로 발전기가 움직여. 밀물 전에 수문을 막았다가 해수면이 시화호보다 2m 정도 높아졌을 때 수문을 열면 시화호로 바닷물이 떨어지지. 이때 수문 안에 있는 발전기의 프로펠러가 움직이면서 전기가 만들어지는 ... ...
사슴벌레 VS 장수풍뎅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3호
장수풍뎅이딱정벌레목 장수풍뎅이과에 속하는 장수풍뎅이는 큰 뿔과 강한
힘
을 자랑해요. 3.5~5.5㎝ 크기로 타원형이고 광택 있는 검은 갈색을 띠지요. 수컷은 머리와 가슴등판에 뿔이 있어요. 암컷은 뿔이 없고 수컷보다 크기가 작은 대신 등판 전체에 털이 나 있답니다. 장수풍뎅이의 더듬이는 ... ...
동해안 모래 실종사건, 범인을 잡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3호
바닷물이 바다로 되돌아나갈 때 쓸려가거든. 그런데 모래 속으로 바닷물을 빨아들이는
힘
이 모래가 쓸려가지 않도록 붙잡을 수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같은 사건이 일어나지 않도록 예방하는 거야. 제대로 된 연구와 계획 없이 인공구조물을 설치하기 때문에 해수욕장은 물론 우리의 삶의 터전까지 ... ...
무한도전 멤버도 몰랐던 카레이싱 사이언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3호
이렇게 모양을 바꾸면 차가 엄청난 속도로 달리더라도 차체를 위에서 아래로 누르는
힘
이 강해져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답니다. 또 차의 무게를 줄이기 위해 내부에 있는 에어컨, 오디오, 조수석 등 레이싱에 필요 없는 것들을 모두 떼어내요. 사고로 차에 불이 났을 경우를 대비해 불이 붙을 수 있는 ... ...
고민하는 초파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친구들! 세상에서 가장 똑똑하고
힘
이 세고 사악한 닥터 그랜마야. 으하하, 이제 지구를 정복하기까지 얼마 남지 않은 것 같아. 그런데 심각한 문제가 생겼어. 내가 지구 정복을 눈앞에 두고 엄청난 고민에 빠져 버렸지 뭐야? 친구들도 내 고민을 한번 들어볼래? 지구를 정복하려면 사람을 먼저 ... ...
PART5. 핵융합의 난관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버리는 현상이다. 이런 플라스마 난류는 마치 야생마처럼 어렵고 복잡하며 통제하기
힘
들다. 하지만 오랜 연구 끝에 핵융합 과학자들은 우리의 승리가 멀지 않다고 확신하고 있다.재료 문제 역시 풀어야마침내 플라스마 가둠시간을 4초 이상으로 만들었다고 생각해 보자. 핵융합발전소를 건설하는 ... ...
PART1. 혜성과의 짧았던 첫키스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저는 지구와 화성에 도움을 청했죠. 행성 근처로 다가가면 그 행성의 중력 덕분에
힘
들이지 않고 방향를 바꿀 수 있거든요. 이렇게 지구에 3번, 화성에 1번, 소행성에 2번 중력도움을 얻고 나서야 간신히 추리와 속도가 비슷해졌어요. 여기까지 7년이 걸렸죠. 한 가지 ‘더 사소한’ 문제가 있었어요. ... ...
이전
209
210
211
212
213
214
215
216
2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