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한"(으)로 총 12,947건 검색되었습니다.
- [통합과학 교과서] 공간 조절 능력 획득!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9호
- 동물 화석이나 퇴적물이 있어요. 이를 통해 과학자들은 과거의 환경과 기후 변화에 대한 정보도 알아낼 수 있답니다. 지난 2017년에는 호주의 해양생물학자이자 사진작가인 조니 가스켈이 호주의 산호초 지대인 그레이트 배리어 리프에서도 블루홀을 발견했다고 발표해 화제를 모았어요. SNS에 ... ...
- [지구사랑탐사대] 숲속 개미 찾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9호
- 무척 좋아했어요. 그중에서도 개미를 연구 주제로 잡은 건 대학에서 본격적으로 생물에 대한 공부를 시작한 이후지요. 개미의 다양성에 흥미를 느꼈거든요. 그래서 지금도 개미의 분류법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답니다.한반도에는 170여 종, 우리나라에는 140여 종의 다양한 개미가 있어요. ... ...
- [지구사랑탐사대] 윙윙! 달콤살벌 꿀벌 특별 탐사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8호
- 어른이 될까요?” 보라매공원을 찾은 지사탐대원들은 먼저 커뮤니티센터에서 벌에 대한 강연을 들었어요. 이날 강연은 보라매공원 어린이 꿀벌학교 강사이자, 지구사랑탐사대 내친구봄이 팀의 조수정 선생님이 맡아 주셨지요. 선생님의 질문에 많은 대원들이 일벌이라고 대답했어요.“정답은 ... ...
- [엉뚱발랄 생각실험실] 컵에 담겨 있는 건 물일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8호
- ‘쌍둥이 지구’ 실험을 만들었지요. 이 질문은 세계가 무엇으로 이루어져 있는지에 대한 물음으로도 이어져요. 어떤 단어의 ‘뜻’이라는 추상적 개념은 어디서 오는 걸까요? 가설 1처럼 우리의 머릿속에 있는 걸까요? 가설 2처럼 어떤 물질을 무엇이라고 배웠는지에 달린 걸까요? 아니면 아예 ... ...
- [출동! 기자단] 이끼도롱뇽 탐사를 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8호
- 지사탐 대원들은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생화학교실의 전종윤 연구원에게 이끼도롱뇽에 대한 설명을 들었어요. 원래 미주도롱뇽은 아메리카 대륙과 유럽 일부 지역에만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졌어요. 그러다 2005년 아시아에서 유일하게 우리나라 장태산에서 발견돼 전세계 생물학자들을 깜짝 ... ...
- [현장취재] 인기 크리에이터가 되고 싶은 친구들 모여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7호
- 계시고, 때로는 제가 잘못된 단어를 사용해 영상 분위기가 바뀌기도 하지요. 그래서 최대한 정돈된 정보만을 전달하려고 가장 많이 신경 쓰고 있습니다.Q유튜브 크리에이터를 꿈꾸는 어린이들에게 한 말씀 부탁해요!무언가를 하고 싶다는 생각을 한다는 것만으로 기특해요. 정말 칭찬해주고 싶어요! ... ...
- DNA로 네스호 괴물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7호
- 그래서 우리는 괴물에 대한 여러 가지 주장을 검증해 보려고 해요. 수장룡, 철갑상어, 거대한 메기의 DNA가 있는지 찾아볼 예정이지요. 만약 우리 샘플에서 아주 조그만 증거라도 찾는다면, 꽤 훌륭한 발견이 되겠죠?괴물의 흔적을 찾을 수 없다고 해도 우리는 이 프로젝트를 통해 네스호에 대해 많은 ... ...
- 노후 하수관, 로봇으로 꼼꼼히 검사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7호
- 노후 하수관이 싱크홀을 일으킨다?아무런 예고없이 도로가 푹 꺼지는 싱크홀에 대한 뉴스를 본 적 있을 거예요. 도시에서 생기는 싱크홀의 66% 이상이 하수관 손상 때문에 발생한다는 조사결과가 나왔어요. 하수관은 집안에서 발생한 폐수를 폐수처리장까지 연결하는 통로로, 땅속 1~2m 깊이에 ... ...
- 아인슈타인도 난민!? 과학자들이 난민을 돕는 이유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예멘인 500여 명이 제주도에 들어왔다는 소식에 온 나라가 들썩였어. 인터넷에는 난민에 대한 다양한 의견들이 쏟아지고 있지. 그런데 많은 과학자들이 난민을 돕는다고 해. 난민 문제도 과학으로 풀 수 있을까?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아인슈타인도 난민!? 과학자들이 난민을 돕는 ... ...
- 점점 늘어나는 난민, 그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0년동안 배출 증가량은 2위지요. 우리나라가 지구온난화에 큰 기여를 한 상황에서 난민에 대한 책임이 없다고 할 수 있을까요? 540만 명 난민, 가난한 나라로!유엔난민기구에 따르면 출신국을 떠난 난민은 지난해 290만 명이 늘어났어요. 유엔난민기구가 수를 파악하기 시작한 이래 가장 큰 수치예요. ... ...
이전2102112122132142152162172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