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은혜
은덕
도움
덕
공덕
덕성
덕택
뉴스
"
덕분
"(으)로 총 2,510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간 진화의 원동력은 ‘부정 본능’
2015.06.28
지적 존재로 진화한 이유는 뭘까. 저자는 현실을 부정하는 인간의 고유한 ‘부정본능’
덕분
이라고 주장한다. 가령 세렝게티 초원에 살고 있는 영양이 나뭇가지가 부러지는 소리를 듣고 ‘어떤 나무일까?’ ‘무엇 때문에 부러졌을까?’ ‘어디쯤에 있는 나무일까?’ 등 모든 가능성을 일일이 ... ...
남극 ‘펭귄마을’은 안녕하신가요
2015.06.26
인간은 숨쉬기도 힘든 1만 m 상공의 환경 변화도 연구할 수 있다”면서 “위치추적기
덕분
에 육해공 전 분야에서 연구의 지평이 넓어졌다”고 말했다. 실제로 마거릿 크로풋 데이비스 캘리포니아대(UC데이비스) 교수팀은 아프리카 개코원숭이에 위치추적기를 부착한 뒤 이를 토대로 의사 결정 ... ...
음악은 왜 우리를 춤추게 하는가
2015.06.21
마지막 UMF라는 소문이 돌았다. 게다가 내로라하는 세계적인 DJ들로 구성된 출연진
덕분
에 10만 명에 이르는 청춘들이 모여들어 잠실벌을 수놓았다. 올해 행사에는 유독 우여곡절이 많았다. 국내에서 발생한 메르스 사태로 인해 DJ 몇 명은 내한 계획을 취소했다. 주최 측은 행사 참여를 꺼리는 ... ...
세균과 바이러스, 누가 더 위협적인가
2015.06.13
세계대전 때 수많은 사람을 살렸다. 당시 폐렴에 걸린 영국 윈스턴 처칠 총리도 페니실린
덕분
에 목숨을 구했다. 대부분의 전염병이 극복되면서 급기야 미국에서는 ‘전염병의 시대가 끝났다’는 선언도 나왔다. 그런데 최근 페니실린 같은 기존 항생제에 죽지 않는 ‘슈퍼 박테리아’가 ... ...
백신은 바이러스 어떻게 물리치나
2015.06.13
정도로 무시무시한 전염병이었던 천연두가 좋은 예다. 18세기 말 개발된 천연두 백신
덕분
에 천연두는 1977년 지구상에서 완전히 사라졌다. 당시 세계보건기구(WHO)는 “백신 개발 역사상 가장 통쾌한 개가”라고 평가했다. 인플루엔자(독감) 바이러스처럼 시시때때로 모습을 바꿔 인간을 공격하는 ... ...
전염병과 싸우는 사람들
2015.06.13
‘칵테일 요법’을 쓰면 에이즈 바이러스를 잘 다스릴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덕분
에 현재 미국 등에서는 에이즈가 불치병이 아니라 죽을 때까지 평생 관리하며 살 수 있는 만성질환으로 바뀌고 있다. 랑어 박사의 노력은 여기서 그치지 않았다. 랑어 박사는 치료의 혜택을 받지 못하는 ... ...
지구 떠난지 10년, 드디어 명왕성이 눈 앞
2015.06.12
존 스펜서 NASA 연구원은 “뉴호라이즌은 임무 직전에 들어선 단계”라면서 “뉴호라이즌
덕분
에 지금껏 아무도 볼 수 없었던 신세계가 펼쳐질 것”이라고 말했다. 최영준 한국천문연구원 책임연구원은 “명왕성은 태양계 최외곽 천체에 자리하고 있는 행성으로 태양계 생성과 관련된 많은 정보를 ... ...
[2015 세계과학기자대회] “아버지 같은 환자 고치기 위해 줄기세포 연구”
2015.06.10
이식하는 임상 연구를 세계 최초로 시도하기 위해 준비하고 있다. 유도만능줄기세포
덕분
에 뇌 깊숙이 있는 신경세포를 인위적으로 만들어 환자에게 이식할 수 있게 된 셈이다. 그는 “그동안 원숭이를 이용해 유도만능줄기세포가 이식 후 암세포로 변하거나 돌연변이를 일으키지는 않는지 ... ...
잃어버린 기억을 찾아서…
2015.06.08
도네가와는 ‘부모가 자녀에게 해줄 수 있는 최고의 투자는 교육’이라는 부모의 신념
덕분
에 형과 일찌감치 도쿄로 가서 공부를 했고 재수 끝에 1939년 명문 교토대 화학과에 입학했다. 프랑수아 자콥과 자크 모노의 오페론 이론에 감명을 받은 도네가와는 대학원에서 분자생물학을 공부하기로 하고 ... ...
[메르스 업데이트] 인간은 바이러스를 어떻게 막아내는가
2015.06.06
활용한다. 대개 한번 바이러스에 감염된 뒤 동일한 바이러스에 또 감염되면 2차 면역반응
덕분
에 바이러스를 쉽게 물리칠 수 있다. 하지만 뎅기바이러스는 2차 면역반응을 주도하는 항체에 달라붙은 뒤 항체를 세포에 들어가기 위한 ‘출입증’으로 이용한다. 바이러스를 잡으려고 만든 항체가 ... ...
이전
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
2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