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은혜
은덕
도움
덕
공덕
덕성
덕택
뉴스
"
덕분
"(으)로 총 2,510건 검색되었습니다.
[‘만능 치료제’에 다 건 日] 韓, 바이오 시장 선점 전략은
2015.04.17
정부가 재생의료법을 새로 시행하면서 임상 절차가 기존의 3분의 1로 줄었다”면서 “
덕분
에 일본은 최근 바이오 의약품 임상의 세계적인 허브로 떠올랐다”고 말했다. 권석민 미래부 생명기술과 과장은 “유도만능줄기세포(iPS세포)가 차세대 바이오 치료제의 선두주자로 평가받는 만큼 이 분야의 ... ...
“열등감 많던 아이, 책이 바꿨죠”
2015.04.15
독서모임을 시작했다. 누가 하라고 한 것도 아니었지만 백 씨와 동료 교사들의 열정
덕분
에 가는 학교마다 수십 개가 넘는 독서모임이 생겨났다. “저는 ‘도란도란 책모임’이라고 부르지만 공식 이름은 아니에요. 보통 4명 정도로 모임을 만들죠. 그래야 누구도 소외되지 않고 충분히 자신의 ... ...
‘비스페놀A 프리’의 진실
2015.04.13
역시 애증의 대상인데, 예를 들어 물리학의 경우 인간 이성의 최고봉에 있지만 물리학
덕분
에 가능해진 원자력산업은 적지 않은 사람들에게 증오의 대상이다. 생명과학 역시 다채로운 지식의 보고이지만 유전자조작이나 배아줄기세포 같은 얘기만 들어도 경기를 일으키는 사람도 있다. 그럼에도 ... ...
DNA 사촌 ‘PNA’로 둘둘 말리는 디스플레이 개발
2015.04.05
교수팀이 개발한 PNA는 이중나선 구조여서 구조적으로 매우 안정적이다. 또한 나선구조
덕분
에 전파나 빛에 훨씬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어 디스플레이에 사용할 경우 고효율 광전자 소자 개발에 도움이 될 전망이다. 연구팀은 전자현미경을 통해 이 PNA가 자체적으로 빛을 내면서도 자기조립하는 ... ...
[SW가 미래다 1] “소프트웨어는 창의성 위한 훌륭한 도구”
2015.04.03
취미 삼아 코딩을 배웠다. 그러다가 결국 동료 4명과 의기투합해 회사까지 차렸다. 구글
덕분
이었다. 그는 “2006년까지만 해도 지도 정보를 탑재한 분석프로그램을 구매하려면 최소 5억 원이 들었다”면서 “구글이 2007년부터 구글어스를 통해 지도 정보를 무료로 제공하면서 판매 가격이 10분의 1 ... ...
반사경이 반짝반짝! 표준연구원 우주광학센터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3.31
생각보다 훨씬 컸거든요. “이 반사경과 우리나라 위성 최초로 단 고성능 적외선 센서
덕분
에 아리랑 3A호는 한밤중에도 지구를 관측할 수 있답니다. 반사경을 만드는 기술을 갖추게 되면서 비로소 우리나라에서 위성을 완전하게 만들 수 있게 됐지요.” * 주경 : 반사망원경에서 빛을 먼저 ... ...
값싸고 휘어지는 저가 태양전지 나온다
2015.03.29
6%까지 효율을 끌어올렸다. 전기가 흐르는 전도성 고분자 물질의 분자량과 구조를 조절한
덕분
이다. 6%의 발전 효율은 지금까지 학계에 보고 된 플라스틱 태양전지 중 가장 높다. 김 교수는 “고분자 플라스틱 태양전지를 유연성이 필요한 휴대용 차세대 전자소자의 에너지원으로 응용할 수 있다는 ... ...
한반도 덮치는 무서운 물
과학동아
l
2015.03.27
유입되는 물은 줄어드는데 농촌의 지하수 사용량은 제대로 관리조차 되지 않는다.
덕분
에 지하수의 최종 종착역인 하천은 메마르고 있다. 지금도 앞이 깜깜한데 앞으로 한반도는 더 큰 위기에 빠질 전망이다. 기후변화에관한정부간패널(IPCC) 5차보고서는 2050년까지 우리나라 평균기온이 3.2℃ ... ...
“생물다양성 보존은 지구를 지키는 길”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3.25
보존하기 위한 국가의 정책적인 뒷받침도 강조했다. 50년 이상 인간의 손이 닿지 않은
덕분
에 온대지역 최고의 생태적 보고로 성장한 ‘DMZ’가 대표적인 예다. 최 원장은 통일 후 베를린 장벽이 있던 자리를 그린벨트로 지정해, 유럽 전역으로 연결된 약 12,500km의 생태 띠로 키운 독일의 예를 들었다. ... ...
밀가루는 무죄!
과학동아
l
2015.03.24
밀가루에 들어 있는 단백질입니다. 반죽을 쫄깃하게 만드는 역할을 합니다. 이 성분
덕분
에 밀가루로 빵도 만들고 면도 만들고 하지요. 그런데 글루텐을 왜 뺀다는 걸까요? 글루텐이 건강에 나쁘다는 사람들은 글루텐을 인체가 잘 받아들이지 못한다고 주장합니다. 이 주장은 일부 맞고 일부 ... ...
이전
214
215
216
217
218
219
220
221
2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