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용
응용
활용
적용
필요
수요
소용
뉴스
"
사용
"(으)로 총 16,332건 검색되었습니다.
생물 교과서 '정설' 뒤집었다…곤충 혈구세포도 산소 전달 관여
동아사이언스
l
2024.06.27
호흡할 수 있는지는 확실히 밝혀진 적 없었다. 연구팀은 초파리 유전학과 이미징 기법을
사용
해 크리스탈세포가 산소 호흡에 관여하는 메커니즘을 규명했다. 크리스탈세포는 초파리 몸에 있는 세 종류의 골수성 혈구세포 중 하나다. 초파리의 크리스탈세포를 송진이 화석처럼 굳은 '호박'과 ... ...
UNIST, 나노 단위 제어 가능한 금속-유기 골격체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6.27
탄성과 유연성을 나타냈다. 이같은 특성은 기계의 연결 구조 덕분이다. 같은 소재를
사용
하더라도 연결되는 방법에 따라 골격체의 유연성이 달라지는 셈이다. 연구팀은 이 기계를 나노 신소재 개발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이번 연구 논문의 제1저자인 남주한 ... ...
탈황석고 재활용해 온실가스 감축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6.27
연구팀의 온실가스를 저감하기 위한 기후변화대응 기술인 탈황석고 광물탄산화 기술이
사용
됐다. 탈황석고를 이용한 탄산화 반응은 상온 및 상압조건에서 스스로 이뤄져 에너지 소모가 적고 탈황석고 400만 톤을 광물탄산화로 처리하면 매년 약 100만톤의 이산화탄소를 줄이는 장점이 있다. 현재 ... ...
"대학에서 고득점 받은 AI가 쓴 답안, 걸러지지 않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6.27
설명했다. 지난해 유네스코가 450개 학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생성형 AI
사용
에 대한 정책·지침이 있는 학교는 10% 미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전 세계 교육계가 새로운 정책과 지침을 마련해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연구팀은 "대면 시험으로 돌아가는 것이 ... ...
[과기원NOW] KAIST, 챗MOF로 96.9% 금속 유기 골격체 물성 예측하다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6.26
언어 모델(LLM)을 이용한 금속-유기 골격체의 예측 및 역설계 챗봇 시스템 예시.
사용
자가 MOF의 속성에 대해 텍스트 질문을 하면 인공지능(AI) 챗봇 '챗MOF(ChatMOF)'가 적절한 답변을 제공한다. KAIST 제공 ■ KAIST는 김지한 생명화학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인공지능(AI) 기반의 대규모 언어 모델(LLM)을 활용해 ... ...
출연연 평가 주기 3년에서 2년으로…공동출입증 도입
동아사이언스
l
2024.06.26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부출연연구기관(출연연) 평가 주기가 3년에서 2년으로 바뀐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과학기술 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출연연) 평가 주기가 3년에서 2년으로 바뀐다. 연초에 정하면 변경되지 않던 인건비 집행계획도 연중에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출연연 통폐합 논란이 있었던 ... ...
"불가능으로 여겨졌던 양자컴 오류 수정 성공…상용화 앞당길 것"
동아사이언스
l
2024.06.25
연구 중인 중성 원자 양자컴퓨팅은 빛의 압력을 이용한 광학 족집게(Optical tweezer)를
사용
해 원자들을 빛의 패턴에 따라 통제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원자의 에너지를 증가시키면 상호작용이 생겨 원자들이 큐비트로 작동할 수 있다. 양자 상태는 측정·복제가 되지 않아 그동안 오류를 정정하는 것이 ... ...
[사이언스게시판] 생명연, 인공아체세포 기반 재생의료 기술개발 본격화
동아사이언스
l
2024.06.25
발견되지 않은 아체세포는 조직 재생을 담당하는 세포다. 유전자나 화합물 유도인자를
사용
해 인공적으로 만들어낼 수 있어 재생의료 분야에서 활용 가능성이 주목받고 있다 ... ...
[과기원NOW] KAIST, 폴란드 작가 조형물 'HOPE' 설치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6.25
평가 방법을 새롭게 개발했다고 25일 밝혔다. 유해한 용매를
사용
하지 않는 건식 공정을
사용
함에 따라 배터리 성능은 높이면서 환경 보호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화학공학회지' 7월호에 게재됐다. ■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25일 오룡관에서 광주·전남 지역 대표 ... ...
연세대 설치될 IBM 양자컴 모형…연기도 찍는 '퀀텀닷' 이미지센서 한눈에
동아사이언스
l
2024.06.25
되면서 크기에 따라 특정 빛을 내는 물질이다. 우리 주변에서는 디스플레이에 주로
사용
된다. 국내 기업 SDT는 이 과정을 역으로 이용해 '양자 이미지 센서'로 활용했다. 퀀텀닷으로 빛을 인식해 영상으로 변환한 것이다. SDT 관계자는 "퀀텀닷으로 만든 센서는 적외선 파장까지 폭넓은 파장을 ... ...
이전
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
2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