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생각"(으)로 총 2,967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살면서 가장 크게 후회하는 것은?2017.04.16
- 일들에서 후회가 대체로 더 심한 편이기도 했다. 후회는 우리가 어떤 일을 중요하게 생각하는지에 대한 반영으로 여겨진다. 함께 더불어 살고 그 안에서 사랑받는 것이 목숨만큼 중요한 사회적 동물에게 관계적 후회가 심한 건 자연스러운 결과일지도 모르겠다. 손더스는 끝으로 80년 후에 만약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나이가 들수록 잠의 질이 떨어지는 이유2017.04.11
- 세계’는 잠을 다루고 있는데 지금까지 옛날 사람들의 수면에 대해 막연히 품고 있던 생각이 완전히 틀렸음을 보여주고 있다. 즉 토머스 에디슨이 백열전구를 발명하고 전기가 깔리면서 사람들이 밤을 빼앗기고 따라서 수면부족에 시달리게 됐다는 기존의 도식은 학자의 머릿속에서 나온 ... ...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아니요. 저는 뽀뽀하기 싫어요!” 2017.04.09
- 가능성이 높은 등 많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연구가 있었다(Frost & Forrester, 2013). 흔히 생각하는 것처럼 무조건 끈적끈적하고 서로 거리낄 게 아무 것도 없는 상태가 되는 게 항상 좋은 게 아니라는 것이다. 사람마다 각자 정신적으로나 신체적으로 원하는 ‘적정 선’ 또는 지켜지길 원하는 ... ...
- '랩온어디스크'로 질병 진단의 기초 세운다동아사이언스 l2017.04.05
- 위한 목적의 일환이다. 그는 "외국에 가기 전에 학생들이 자신감이 부족하고 소극적으로 생각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외국 경험을 하고 오면 자신감을 회복하고 목소리 톤이 높아진다"고 설명했다. 조윤경 그룹리더는 IBS 내에서의 포부도 밝혔다. "이 곳을 MIT, 하버드대의 유명 연구소보다 더 와서 ... ...
- 봄 타는 식물, 꽃 피우는 비밀동아사이언스 l2017.04.05
- 세계 최초로 발견하면서 드러나기 시작했다. FT단백질을 호르몬인 플로리겐으로 생각하기에는 분자량이 남달리 컸음에도, 큰 단백질 분자도 호르몬 역할을 할 수 있으리라 추측되기 시작했다. 이후 2003년 일본의 고지 고토 박사가 FT단백질 유전자가 관다발에서 발현된다는 것을 밝히고, 2007년 독일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산소발생 광합성 역사 불과 25억 년?2017.04.04
- 가장 오래된 건 ‘불과’ 19억 년 됐다. 이런 와중에 시아노박테리아에 대한 전혀 생각지도 못한 게놈 데이터가 나오면서 회의적인 입장이 힘을 얻고 있다. 이번에 ‘사이언스’에 실린 논문이 결정판으로 이에 따르면 빨라야 25년 전이나 26억 년 전 산소발생 광합성이 시작한 것으로 나온다. ... ...
- [표지로 읽는 과학] 지구가 뜨거워지면, 땅속탄소 배출량 늘어나동아사이언스 l2017.04.02
- 할 것이라는 연구 결과를 커버스토리로 소개했습니다. 지구 온난화가 가속화되면, 생각보다 많은 양의 땅속탄소가 배출된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연구팀은 땅속탄소 배출량이 많아지면 기후변화 속도가 겉잡을 수 없이 빨라질 것이라 전망했다. - Jim Richardson/National Geographic Creative 제공 ●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산불의 추억2017.03.28
- 봄철 가뭄과 바람 등 모든 여건이 갖춰진 상태에서 버튼이 눌러진 건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든다. 우리나라의 산은 이제 어딜 가도 나무가 빽빽이 들어차 있고 이상고온과 가뭄 역시 일상이 된 것 같다. 산불예방과 함께 출구전략도 세워야 제2의 양양 대화재를 막을 수 있지 않을까. ※ 필자소개 ... ...
- 잠이 모자란 판사는 형량을 더 높게 선고한다?2017.03.25
- 주변 사람들에게도 피해를 끼치게 될 지도 모르겠다. 이렇게 ‘모자란 잠’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삶에 많은 악영향을 미친다. 문제는 좀 더 중요한 결정권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의 경우에도 모자란 잠의 악영향에서 벗어날 수 없다는 사실이다. 최근 심리과학지(Psychological Science)에 실린 한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또 다른 식욕억제호르몬 찾았다!2017.03.21
- 몸 속 호르몬과 신호분자가 우리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훨씬 더 큰 게 아니가 하는 생각이 든다. 식욕은 물론이고 성욕, 수면욕, 심지어 모성까지 행동의 동기를 거슬러 올라가면 이들 분자와 만나게 된다. 물론 의지로 욕구가 행동으로 이어지는 걸 막을 수 있지만 그것도 한두 번이지 도를 닦지 ... ...
이전2112122132142152162172182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