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부
내면
뱃속
내용
마음속
실질
안
스페셜
"
속
"(으)로 총 2,436건 검색되었습니다.
공감 능력이 없는 반사회성 인격장애, 어떻게 봐야 할까?
KISTI
l
2015.03.31
발생에는 유전자와 환경이 상호 작용함을 알 수 있다. 부모로부터 학대받고 방임
속
에서 자라난 어린이는 처음 부딪힌 인간관계에서 안정감을 경험하지 못했기에 다른 사람들과도 애착을 쉽게 형성하지 못 한다. 이들은 다른 사람이 어떻게 느끼고 생각하는 지에 대해 관심이 없기 때문에 쉽게 ... ...
막스 플랑크 연구소 출신 3인방, 식물에서 새로운 꿈 키운다
IBS
l
2015.03.30
연구소 출신 3인방은 다소의 어려움
속
에서도 처음 한국으로 돌아왔을 때 품었던 꿈을 계
속
해서 성장시키고 있다. 김상태 연구위원은 생물들의 유전적 베이스를 이해함으로써 다양한 생물의 변이와 자연 현상을 규명하고 싶다고 밝혔다. 김혜란 연구위원은 유전체 교정 기술이 도입된 식물체를 ... ...
자연은 진공을 싫어하는가?
IBS
l
2015.03.26
화제가 된 CERN의 LHC와 같은 입자가
속
기가 바로 이러한 연구를 위한 시설이다. 입자가
속
기 건설에는 막대한 예산이 필요하여 국내에서는 연구하기 쉽지 않지만, 이 난제에 도전하는 국내 연구자들도 있다. IBS의 순수물리이론 연구단(단장 최기운)이 대표적인 연구팀. 최기운 단장은 입자물리학 분야의 ... ...
살아 숨 쉬는 모든 것이 데이터가 되는 세상
KISTI
l
2015.03.24
세상 빅데이터는 날이 갈수록 커진다. 일상생활
속
에서 데이터를 만드는 기기가 계
속
늘어나기 때문이다. 스마트폰에 실린 센서는 사용자 위치 정보뿐 아니라 그곳의 온도와 습도도 측정한다. 이런 정보를 모으면 기상청보다 더 정확한 실시간 날씨 지도를 만들 수도 있다. 애플 워치 같은 ... ...
식품첨가물 유화제 알고보니…
2015.03.09
식단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급격히 늘어난 것과 맥을 같이 하고 있다는 것. 즉 가공식품
속
의 유화제가 장내미생물의 조성을 바꾸면서 대부분의 사람들에게서 체중 증가를 일으키고(이번 동물실험에 따르면 유화제가 식욕을 촉발하는 장내미생물의 비율을 높여 숙주인 생쥐가 더 많이 먹게 한다) ... ...
과거는 그리 멋지지 않다
KOITA
l
2015.03.06
전투 후 거의 10년이 넘도록 사람들은 별 거리낌 없이 죽은 사람의 이를 자신의 입
속
에 끼워넣었다. 나름이 이유가 있었겠지만 현대 사람들의 시선으로 보면 거북한 수준을 넘어서 불경스럽게까지 느껴지는 이 유행은, 클라우디우스 애쉬가 도자기로 만든 의치를 개발하고 나서야 끝났다. 원본_M. ... ...
멍 때려야 뇌가 쌩쌩해진다?!
KISTI
l
2015.03.03
활동이 증가되면서 혈류의 흐름이 활발해진 실험 참가자들이 새로운 아이디어를 신
속
하게 내는 과제에서 높은 점수를 받은 것으로 나타난 것. 이는 뇌가 쉬게 될 때 백색질의 활동이 증가되면서 창의력 발휘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미국 코넬 대학 연구팀은 유명인과 일반인의 얼굴 ... ...
양자역학 도약 이끈 슈뢰딩거방정식은 ‘간통’ 덕분?
2015.03.02
이티 융거에게 홀딱 반한다. 당시 이티의 나이는 열네살. 지금으로 치면 성추행을 지
속
하면서 끊임없이 기회를 노리던 슈뢰딩거는 이티의 17세 생일이 지난 뒤 마침내 자신의 정부로 만드는데 성공했다. 슈뢰딩거는 한 글에서 아래와 같은 궤변으로 자신의 ‘로리타 증후군’을 합리화하기도 했다 ... ...
모든 것의 시작을 찾는 여정
IBS
l
2015.02.25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 액시온 연구 역시 다른 유력한 후보군과 마찬가지로 꾸준히 지
속
되어야 한다. 학문적으로 중요성이 클 뿐 아니라, 기초과학 분야에서 한국이 연구를 선도할 수 있는 몇 안되는 사례 중 하나기도 하기 때문이다. * 본 콘텐츠는 기초과학연구원의 온라인 뉴스레터 IBS ... ...
조삼모사(朝三暮四)의 긍정심리학
2015.02.23
긍정적으로 묘사될 경우 이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아 다르고 어 다르다’는
속
담이 있는 이유다. ● 남성이 프레임에 더 약해 그렇다면 이런 비합리적인 결정을 이끌어내는 ‘프레이밍 효과(framing effect)’는 사람에게만 적용되는 현상일까. 학술지 ‘바이올로지 레터스’ 최근호에는 ... ...
이전
212
213
214
215
216
217
218
219
2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