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리나라"(으)로 총 7,884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식] 여섯 번째 요리 문제는 선택이야! 이항정리와 커리수학동아 l2015년 06호
- 합니다. 결과는 대성공이었죠. 끈끈해진 카레는 찰기 있는 밥알과 찰떡궁합을 이룹니다. 우리나라도 일본의 영향으로, 커리보다 일본식 카레를 즐겨 먹게 됐습니다.인도에서 커리란 카레처럼 특정한 소스가 아니라, 갖은 재료에 수많은 향신료를 섞어 만든 국물 있는 요리를 의미합니다. 인도는 어느 ... ...
- [생활] 똑똑한 만능 실험가, 계산화학수학동아 l2015년 06호
- 혁신적인 신약으로 평가 받는 ‘글리벡’ 역시 계산화학 SW를 바탕으로 개발했다.우리나라에서도 SW로 중요한 사실을 밝힌 사례가 있다. 대표적인 계산화학 SW인 ‘VASP’로 값비싼 백금을 대체할 신소재를 찾아낸 것이다. 백금은 화학반응을 돕는 가장 유용한 촉매 중 하나지만 매우 비싸다. 반면, ... ...
- 닥터 그랜마와 함께하는 한자 과학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여겨지는 인삼은 삼국 시대부터 해외로 수출하는 주요 품목이었다. 본래 인삼은 우리나라에서 ‘심(尋, 찾을 심)’이라고 불렸다.산 속을 뒤져 찾아내야 하는 약재였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산에 인삼을 캐러 다니는 사람을 ‘심마니’라고 부르기도 한다. 심이 인삼으로 변한 것은 중국에서 삼(蔘, ... ...
- [생활] 어벤져스 vs인공지능 울트론 인류 생존을 건 전쟁의 승자는?수학동아 l2015년 05호
- 뽀로로 보면서 영어 배우는 상상력 기계최근 장병탁 서울대 컴퓨터공학부 교수팀은 우리나라 애니메이션 ‘뽀롱뽀롱 뽀로로(이하 뽀로로)’의 영어판를 보고 스스로 학습하는 ‘상상력 기계’를 개발했다. 이 기계는 5살처럼 뽀로로를 보면서 영어를 배운다. 상상력 기계는 뽀로로 한 화를 보면서 ... ...
- Part 2. 작지만 끈질긴, 가볍지만 정교한과학동아 l2015년 05호
- 몸집이 작은 새에 주로 적용한다. 이 조사엔 전 세계 조류학자들이 협력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2005년부터 지금까지 227종, 5만 마리가 넘는 개체에 가락지를 채워 보냈다. 육·해·공 접수한 뛰어난 사냥꾼굳이 철새의 경이로운 이동성을 이야기하지 않더라도 비행은 새들만이 가진 큰 능력이다. ... ...
- [Photo] 남쪽바다에 뜬 은하수 파노라마과학동아 l2015년 05호
- 본 은하수는 어떻게 다를까. 작가가 호주에서 찍은 아래 사진을 보면 우리나라보다 훨씬 두껍고 짙은 은하수와 마젤란은하(북반구에서는 보이지 않는다) 그리고 은하수 아래로 커튼처럼 드리워져 있는 녹색의 대기광까지 모든 것이 신비롭다. 이 작품은 한국천문연구원과 동아사이언스가 공동 ... ...
- 조류인플루엔자 좇는 초소형 위치추적장치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5호
- 할 예정이에요. 조류 인플루엔자에 감염된 오리들이 어디서부터 날아오는지, 또 언제쯤 우리나라를 떠나 어디로 이동하는지 알아내기 위해서지요. 배터리가 필요 없는 태양열 충전 방식이라 수년 동안 계속해서 새의 이동경로를 추적할 수 있다는 것도 이 장치의 장점이랍니다 ... ...
- 체온으로 전기 만드는 옷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5호
- 2월 4일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유네스코 ‘넷엑스플로 어워드’ 시상식에서 우리나라 과학자가 개발한 웨어러블 발전장치가 영예의 대상을 차지했어요. 이 시상식은 해마다 세계 전문가와 기업인 200여 명이 에너지, 환경, 교육 등 각 분야에서 세상을 바꿀 만한 기술을 투표해 뽑는답니다.이번에 ... ...
- 개구리가 추운 경칩에 깨어나는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5호
- 뱀도 경칩에는 아직 겨울잠을 자고 있거든요. 또 다른 포식자인 여름 철새도 아직 우리나라에 이주해 오기 전이지요. 물론 텃새는 추운 겨울에도 활동하기 때문에 언제든 개구리를 잡아먹을 수 있어요. 하지만 경칩 즈음에는 거의 모든 텃새들이 본격적으로 번식활동을 하기 전이라 사냥을 활발하게 ... ...
- [생활] 나만의 주치의, 맞춤의학수학동아 l2015년 05호
- 엠디앤더슨 암센터에서는 IBM의 ‘왓슨’이라는 SW를 실제 의료용으로 사용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대형 종합 병원을 중심으로 병원과 IT회사가 손을 잡고 차세대 맞춤의학을 위해 관련 SW 개발에 몰두하고 있다.박웅양 삼성서울병원 삼성유전체연구소장은 “이제 SW는 의료 분야에서 쓰는 또 ... ...
이전2132142152162172182192202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