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초"(으)로 총 5,853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동키즈] “과학동아는 제 동갑내기 친구입니다.”과학동아 l2023년 04호
- 과학 발명을 좋아하는 1000명의 학생들을 매년 만나는 것이다. 2022년엔 700명 정도의 초·중·고교 학생들을 만났다. 주말마다 전국의 도서벽지를 돌며 과학과 발명을 사랑하는 학생들에게 수업을 하고, 꿈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EBS에서 근무하는 동안에는 더욱 다양한 지역의 학생들과 소통할 ... ...
- [SF] 끝내과학동아 l2023년 04호
- 거기에는 예외가 있을 수 없다. 그리고 어쩌면. #결승선_끝내마침내 우린 3시간 56분 38초를 기록하며 결승선을 통과한다.—이제 끝났어.결승선을 지나고도 계속해서 팔과 다리를 움직이는 사용자에게 난 말한다. 우린 서서히 속도를 줄이면서, 울먹이며 걷거나 지인과 포옹을 주고받거나 근육을 ... ...
- 던전 앤 드래곤 : 도적들의 명예수학동아 l2023년 04호
- 어느 정도 크기로 나타낼지, 어떤 순간에 나타나게 할 건지, 그 마법을 맞은 사람은 몇 초 뒤에 반응해야 할지 하나하나 계산했어요. 먼저 키나 팔 길이 같은 배우의 신체 정보와 세트장의 크기를 측정하고 장면을 어떻게 시각화할지 구상했습니다. 보통 스토리보드나 애니메이션으로 하지요. 이를 ... ...
- [에디터 노트] 동행의 부활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찾아 온 독자들만 행복한 건 아니었습니다. 그렇게 힘을 받아 일을 벌였습니다. 2월 초 대전 IBS 본원에 다녀왔습니다. 과학동아 독자들의 IBS 연구소 견학을 이어가보려고요. IBS 역시 과학동아 독자들의 방문이 반가웠나 봅니다. 중이온가속기연구소를 시작으로 앞으로 방문이 가능한 연구소들을 더 ... ...
- 이휘소는 원자폭탄 개발에 관여했을까?과학동아 l2023년 03호
- 마주친 가장 어려운 문제 중 하나를 해결하는 수학적 기반을 닦은 것이다. 즉 20세기 초 탄생한 양자역학이 특수상대성이론과 결합해 1960~1970년대 양자장론이라는 더 높은 수준의 이론으로 발전해 나가는 데 필수적인 이정표가 이휘소의 연구 성과였다. 이런 점을 감안하면 이휘소가 일찍 세상을 ... ...
- [디지털 새싹 캠프] 우리는 레고로 코딩을 배운다, 사이언스 챌린지 해커톤과학동아 l2023년 03호
- 디지털 새싹캠프의 일환으로, 서울, 경기, 충북, 전남, 강원, 제주에서 총 3420명의 초, 중,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동아사이언스와 맘이랜서가 3월까지 진행하는 캠프다. ‘사이언스 챌린지 해커톤’의 최종 목표는 코딩을 이용해 레고 부품으로 환경과 동물을 보호하는 물건을 만드는 것. 이 목표를 ... ...
- [기획] 이상 고온이 불러온 이상한 한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이어졌죠. ●제트기류: 지구 약 10km 상공에서 지구의 자전과 남북의 기온차로 발생하는 초속 25m 이상의 강한 바람대. ●인터뷰 우진규(기상청 예보국 예보분석관)북극진동은 예보가 어렵다! Q북극진동으로 한파가 왔는데 미리 예보할 수 없나요?북극진동은 대기의 순환, 지구의 자전 등 다양한 ... ...
- [한승전의 ‘초(超)재료] 에너지 위기 시대, 초내열 금속이 해결사?과학동아 l2023년 03호
- 2002년에는 일본 오이타대 비상근 강사, 2018년과 2022년에는 일본 도호쿠대 금속재료연구소 초빙교수로도 일했다. 2020년 정부출연연구소 우수성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 2021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에 선정, 2022년 대한금속학회 동국송원학술상을 수상했다. ‘모던 알키미스트’ 등의 ... ...
- [특집] AI와 일하는 만화작가 만났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3호
- 2023년 2월 업데이트 예정인 투닝은 그림을 못 그리는 사람도 글만으로 이미지를 만드는 최초의 한국어판 그림 생성 AI가 될 거예요. 지금은 웹툰 한 컷만 제작해 주지만, 향후엔 캐릭터를 고정시켜 연재물이 가능하게 발전시키고 싶어요 ... ...
- [이달의 뉴스] 튀르키예 대지진 3개 대륙판 충돌로 피해 규모 커과학동아 l2023년 03호
- 동남부 가지안테프에서 2월 6일 오전 4시 17분 36초(현지시간) 규모 7.8의 강진이 발생했다. 튀르키예는 1999년부터 규모 6 이상의 대형 지진만 7번 발생했을 정도로 지진이 잦은 지역이긴 하지만 규모 7.8에 이른 것은 1939년 이후 두번째다. 이번 지진으로 튀르키예 사망자만 지진 발생 닷새째인 2월 12일 ... ...
이전1718192021222324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