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한국사람
코리안
korean
한인
d라이브러리
"
한국인
"(으)로 총 959건 검색되었습니다.
[Future] 주목받지 못한 반도체 영웅, 강대원 박사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아직 모스펫이나 플로팅 게이트가 상용화되기 전이었기 때문이다. 강대원 박사는 종종
한국인
연구자들을 모아 저녁식사를 하거나 탁구 치는 것을 즐겼는데, 승부욕과 열정이 대단했다고 한다.연구소에 면접을 보러 갔다가 강대원 박사를 만나 인연을 이어온 김충기 명예교수는 “강 박사가 돈 ... ...
[과학뉴스] ‘악마문 동굴人’ 유전체서
한국인
뿌리 찾아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중에서 악마문 동굴인과 가장 유사한 유전자를 가진 것이
한국인
이라고 설명했다.
한국인
과 이 동굴인은 미토콘드리아 유전자도 일치했다.연구 책임자인 전성원 UNIST 게놈연구소 연구원은 “동아시아에서는 적어도 8000년간 외부유전자의 유입 없이 유전적 연속성이 이어졌다”고 말했다 ... ...
[Origin] 일본 iPS세포연구소
과학동아
l
2017년 02호
있는 iPS세포주를 구축하고 신경계질환 세포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해 힘을 쏟고 있습니다.
한국인
과 일본인 간 인간백혈구항원(HLA)의 유사성을 토대로 면역거부반응을 최소화할 수 있는 iPS세포주를 만들려는 논의도 진행 중입니다.벽을 없앤 오픈 연구소CiRA는 구조가 독특합니다. 연구동에 벽이 ... ...
[과학뉴스] 빅데이터로 보는 한국의 성씨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한국인
의 성씨는 혈통과 지리적인 출신을 나타낸다. 그런데 지역별로 성씨 분포를 살펴보면 안동 권씨는 주로 안동 쪽에 많이 살지만 밀양 박씨는 전국에 고루 퍼져 있다.우리나라 성씨 분포에 대한 통계물리학적인 이야기가 궁금하다면? ...
[Future] 안동 권씨가 대전에 살게 된 까닭은?
과학동아
l
2017년 01호
한국인
의 성씨는 혈통과 지리적인 출신을 나타낸다. 30년 동안 변해 온 지역별 성씨 분포 빅데이터를 통계물리학적인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흥미로운 사실이 밝혀졌다. 개인이 현재 특정 장소에 살고 있는 것은 그 의지뿐만 아니라 정치와 경제, 그리고 문화적 맥락이 더해진 결과라는 것이다 ... ...
[Tech & Fun] 고요한 시대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불법 이주민이 아니다. 필리핀에서 온 외할머니도 한국 국적을 취득했고 문제없는
한국인
이다. 하지만 언론은 교묘하게 이미지를 연결시켰다. 실제 쓴 문장은 대충 이런 느낌일 것이다. ‘불법 이주민은 아닌 것으로 알려졌다.’손녀는 입을 다물었다. 손녀는 별로 말이 없다. 사실 요새 10대들이 ... ...
[과학뉴스] 국내 연구팀이 거의 완벽하게 밝힌 ‘
한국인
표준 유전체’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밝혀냈다는 점이다. 이번에 밝혀낸
한국인
표준 유전체를 활용하면 아시아인, 특히
한국인
에게 효능이 뛰어나고 부작용이 적은 신약을 개발할 수 있을 전망이다. 연구 결과는 학술지 ‘네이처’ 10월 5일자에 실렸다 ... ...
[과학뉴스] 고추냉이(와사비)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일본 오사카의 한 일식집에서
한국인
손님에게 고추냉이(와사비)를 과도하게 많이 넣은 일명 ‘와사비 테러’를 벌여 논란이 됐습니다. 해당 업체가 뒤늦게 사과문을 인터넷에 올렸지만 한번 불타오른 반일 분위기는 쉽게 사그라들지 않고 있습니다.고추냉이의 매운 맛은 고춧가루의 그것과 매우 ... ...
PART 4. 커피와 자유, 그리고 협업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대화 속에 미래의 노벨상 씨앗이 있는지도 모른다. 현재 LMB에서 연구하고 있는 유일한
한국인
인 이병길 박사가 입구에서 기자를 맞았다. 이 연구원은 “지금쯤 사람들이 모여있을 것”이라며 가장 먼저 꼭대기 층으로 안내했다. 탁 트여 연구소 주변 경치가 내려다보이는 연구소의 ‘로얄층’은 ... ...
Intro. 데이터로 본 노벨 생태계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10월 첫 주. 많은
한국인
의 이목이 스웨덴 노벨위원회에 집중된다. 하루 한 분야씩 노벨상 수상자를 발표하기 때문이다. ‘올해는 우리나라 과학자가 노벨과학상을 탈 수 있을까’ 하는 기대감에, 각종 매체에 과학자들의 이름이 오르내린다. 하지만 매년 ‘혹시나 했는데 역시나’ 하는 경험을 ... ...
이전
17
18
19
20
21
22
23
24
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