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숙취
숙정
기주
뉴스
"
숙주
"(으)로 총 499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N사피엔스] 유전물질의 정체가 드러나다
2020.12.24
스스로 물질대사를 할 수 있는 독립적인 생물체인 반면 바이러스는 그렇지 못해서 항상
숙주
에 기생해서만 살 수 있다. 유전학 연구에서 박테리오파지의 중요성을 처음 알아본 것은 독일 출신의 생물학자인 막스 델브뤼크였다. 델브뤼크는 학문 경력이 아주 이채로운 과학자이다. 괴팅겐 ... ...
더 다양한 코로나19 백신이 온다…'네이처'가 주목한 2021년 과학이슈
동아사이언스
l
2020.12.23
계획이다. 우선 우한 수산시장에서 판매되는 동물 가운데 박쥐 등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숙주
가 될 만한 종의 시료 수집부터 시작한다. 전문가들은 최초 발원지 확인에는 여러 해가 걸릴 것으로 예상하고 있지만, 적어도 내년 연말에는 일부 단서가 나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노바백스 ... ...
WHO, 코로나19 기원 밝히러 내년 1월 국제조사팀 파견
동아사이언스
l
2020.12.17
발견된 우한 조사를 먼저 시작하고 중국 전역으로 그 범위를 확장한다. 박쥐 등 바이러스
숙주
가능성이 있는 동물들의 샘플도 채취할 예정이다. WHO는 올 2월 중국에 조사단을 파견해 우한, 베이징, 쓰촨성, 광둥성 등을 둘러봤다. 7월에는 전문가 2인을 보내 중국 측과 추후 파견할 조사단의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유전물질을 발견하기까지
2020.12.10
않은 S균의 어떤 정보전달 물질이 R균에 전해져 R균이 S균처럼 다당류 캡슐로 코팅을 해서
숙주
의 면역체계로부터 자신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이렇게 형질이 전환된 S균을 배양하면 계속해서 쥐를 폐렴에 감염시킬 수 있었다. 이는 R형에서 S형으로 형질이 전환되면 그렇게 전환된 형질이 ... ...
장(腸) 미생물의 힘 어디까지? 면역계 구성에도 직접 영향
연합뉴스
l
2020.12.02
사망 위험이 낮아진다는 것이었다. 골수 이식 전에 미생물 다양성이 낮으면 이식편대
숙주
병(graft-versus-host disease) 위험이 커진다는 내용도 포함됐다. 이는 공여자의 면역세포가 수혜자의 건강한 조직을 공격해 사망에 이를 수도 있는 합병증이다. 사비에르 박사는 "어떤 유형의 면역세포를 ... ...
[코로나 시대 혐오]②확진자 폭증하자 미움도 덩달아 커졌다
2020.11.29
의사 신종 코로나 일찍 경고했지만 중국 당국 은폐 시도' '천산갑이 신종코로나 중간
숙주
가능성' '야생동물 식용거래가 신종 코로나 원인' '시진핑 주석 방한' '시진핑 주석 책임론'과 같은 기사가 이어졌다. 급증기에는 ‘신천지’라는 키워드가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했고 ‘중국’, ‘국민’, ... ...
[코로나19 연구속보] 코로나19 항체 ‘유효기간’은 최소 6개월
2020.11.27
항체들 일부는 바이러스가 새 세포를 감염시키는 것을 더 잘 막아냈다. 이 세포들은
숙주
세포를 깨부수고 침투하는 데 쓰이는 스파이크단백질에 변이가 일어난 바이러스에조차 잘 들러붙었다. 이런 포획 항체들은 바이러스가 면역체계의 감시를 회피하기 어렵게 만들었다. 연구팀은 이런 ... ...
[팩트체크]중국 당국 북미산 돼지머리서 코로나19 발견됐다는데 냉동식품 통한 유입 가능한가
동아사이언스
l
2020.11.26
바이러스의
숙주
가 될 수 없다. 공청 중국 칭화대 바이러스학과 교수는 “바이러스는
숙주
세포 표면의 바이러스 수용체에 의존해 세포를 감염시켜야 한다”며 “특정 수용체가 세포에 성공적으로 들어갈 수 없다”고 말했다. 김우주 고려대 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코로나19는 식중독처럼 ... ...
[코로나19 연구속보] 캄보디아와 일본서 코로나19 유사 바이러스 발견...팬데믹 기원 알려줄까
2020.11.24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RaTG13은 2013년 중국 원난성에 살고 있는 관박쥐의 중간
숙주
에서 발견됐는데, 올해 초에 처음으로 보고됐다. 현재 과학자들은 2015~2019년 사이에 잡힌 관박쥐와 천산갑에서 발견된 바이러스가 SARS-CoV-2와 유사한 바이러스로 보고 있다. 캘리포니아대학 원헬스연구소의 ... ...
[코로나19 연구속보] 모유(母乳)가 코로나 바이러스 막아낼 항체 만든다
2020.11.23
결합 도메인(RBD)에 결합하는지 검사했다. 코로나 바이러스는 표면의 돌기인 스파이크를
숙주
세포 표면의 ACE-2 수용체 단백질에 결합시켜 내부로 침투한다. 이때 스파이크의 RBD가 ACE2와 결합한다. 연구진은 코로나 왼치 여성 15명 중 12명에서 면역글로불린(IgA)의 결합 반응을 확인했다. 일부 ... ...
이전
17
18
19
20
21
22
23
24
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