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숙취
숙정
기주
뉴스
"
숙주
"(으)로 총 499건 검색되었습니다.
신종 코로나 주 표적은 호흡계? 수용체 발현도 오히려 낮았다
연합뉴스
l
2020.08.06
ACE2 수용체와 결합해 인간 세포에 들어간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게 이 수용체는
숙주
세포의 문을 여는 열쇠와 같다. ACE2는 '앤지오텐신 1 전환 효소 2'(angiotensin I converting enzyme 2)라는 뜻을 가진 일종의 단백질이다. 그런데 폐를 비롯한 호흡계 기관이나 조직이 정상 상태일 땐 상피세포의 ACE2 ... ...
인간도 박쥐 무리에 코로나19 바이러스 옮긴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03
제공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에 감염된 인간이 이 바이러스의
숙주
로 지목받은 야생 박쥐를 역으로 감염시킬 수 있다는 보고서가 나왔다. 인간이 박쥐를 감염시켜 박쥐 무리에 코로나19가 퍼진 다음 다시 인간에게 바이러스가 전파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 ...
좀비영화 속 바이러스 대분석
과학동아
l
2020.08.01
고려대 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바이러스가
숙주
세포를 감염시키기 위해서는
숙주
세포의 막 수용체(단백질)를 인식하는 기능이 핵심”이라며 “종마다 다른 수용체를 모두 인식하는 수용체를 하나의 바이러스가 갖고 있기란 확률적으로 거의 불가능하다”고 설명헀다. 모든 바이러스는 최소 ... ...
코로나19 확산세 한창인데 바이러스 이름 바꾼다고?
동아사이언스
l
2020.07.31
학자들은 바이러스 종에 여러 가지 방법으로 이름을 붙이고 있다. 발견된 지역이나
숙주
인 동물의 이름을 붙이기도 하고 일으키는 질병 이름을 쓰기도 한다. 길이에도 큰 제한이 없어 어떤 바이러스는 한두 단어로 돼 있는 반면 5,6개 단어로 된 긴 바이러스 이름도 존재한다. 일관된 규칙이 없다 ... ...
코로나19 바이러스, 박쥐 몸 속에서 40~70년 전 생겨나
동아사이언스
l
2020.07.29
천산갑이 코로나19를 사람에게 전염시키는 데는 역할을 했으나 바이러스의 중간
숙주
일 가능성은 적다고 결론지었다. 연구팀은 미래 전염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야생 박쥐를 관찰해 인간을 감염시킬 수 있는 새로운 코로나바이러스를 식별하고 실시간으로 반응해하는 질병 감시 시스템을 ... ...
하버드 의대 연구진 "신종 코로나, 후각 뉴런 공격 못 한다"
연합뉴스
l
2020.07.28
상피 줄기세포)에서 발현했다. 후각 지각 뉴런에선 대신, 다른 코로나바이러스의
숙주
세포 진입과 연관된 유전자가 발현했다. 이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가 후각 지각 신경세포를 곧바로 공격하지 못한다는 걸 의미한다. 특히 후각 상피의 뉴런 지지 세포와 기저세포에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의 ... ...
[표지로 읽는 과학] 코로나 감염에 멀쩡한 박쥐, 유전자 지도로 비밀 밝혀내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25
COVID-19·코로나19)을 일으키는 사스코로나바이러스-2(SARS-CoV2)를 비롯한 코로나바이러스의
숙주
로 지목받아 왔지만 정작 사람에게 나타나는 증상은 겪지 않는다. 박쥐는 바이러스가 들어와도 염증을 일으키지 않는 독특한 면역체계와 바이러스에 대항하는 항체를 보유하고 있어 150종 이상의 ... ...
[프리미엄 리포트] 바이러스는 우주에서도 살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20.07.25
이뤄진 생명체의 존재를 추적해왔지만, 아직 발견된 적이 없다. 그러니 세포성 생명체를
숙주
로 삼는 바이러스 또한 발견된 적은 없다. 물론 바이러스가 우주 공간에 존재하고 있을 가능성은 다분하다. 케네스 스테드만 미국 포틀랜드주립대 생물학과 교수는 2018년 2월 국제학술지 ... ...
코로나바이러스의 침투 무기 '스파이크 단백질', 모양 바꿔 면역 회피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22
2가 물체 표면에서 오래 살아남는 이유가 될 수 있다. 첸 교수는 “대부분 바이러스는
숙주
외부에서 오래 생존하지 못한다”며 “스파이크의 단단한 구조가 바이러스를 보호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달라진 구조는 바이러스가 면역과 백신을 회피하는 용도로도 활용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 ...
[프리미엄리포트] 좋은 바이러스도 있을까
과학동아
l
2020.07.18
생명공학자들은 이를 활용했다. 바이러스의 DNA나 RNA 일부분을 원하는 유전자로 바꾼 뒤
숙주
세포에 넣어 이 유전자를 치료가 필요한 유전자와 교체하면 어떨까. 바이러스를 유전자 운반체로 쓰는 것이다. 이게 바로 바이러스 벡터다. 바이러스 벡터 개발과 가장 관련 깊은 바이러스 종은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