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생각"(으)로 총 14,498건 검색되었습니다.
- [비하인드 로켓] 2000억 원 손해배상보험 가입...나로호 발사 허가 떨어지다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손실이 발생할 시에는 어떻게 손해를 배상할 것인지에 대한 계획도 제시해야 했다. 생각하고 싶지 않지만 그렇다고 고려하지 않을 수 없는 부분이 이런 사고에 대한 가능성이니 말이다. 2000억 원 보험 가입… 자동차 보험과 다른 점? ‘공해상에 떨어지도록 설계된 발사체가 만에 하나 운항 ... ...
- [미국유학일기] 모두가 악동이 되는 날, 디치 데이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술술 읽혀요미국 캘리포니아공대의 재밌는 전통을 알게 된 것은 대학 입학 전인 중학생 때였다. 미국의 물리학자 리처드 파인만의 저서 ‘ ... 있다. 하지만 학생들의 이런 열정이 있었기에 캘리포니아공대만의 전통이 만들어졌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우리는 그 전통을 이어나가는 중이다 ... ...
- [이달의 책] 틀림의 두려움 떨쳐낸 과학적 상상력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서문에서도 이를 강조한다. 좋든 안 좋든, 맞든 틀리든 문제를 해결할 방법을 다양하게 생각해보라고 권한다. 설사 그 방법이 틀렸다면 다른 방법을 시도하면 된다. 왜 틀렸는지 확인까지 한다면 금상첨화다. 이후에 더 좋은 아이디어를 낼 토대가 될 것이다. 틀림의 두려움을 떨쳐내는 길. 저자가 ... ...
- [인공지능수학] 인공지능 정복을 위한 필수템, 수학과 코딩수학동아 l2020년 05호
-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어요.그렇다고 겁먹을 필요 없어요. 인공지능의 구조는 생각보다 단순하며, 우리가 이해할 수 있는 수학 이론과 절차에 따라 만들어졌으니까요.Q 앞으로 진행할 ‘인공지능, 수학으로 타파’를 어떻게 활용하면 좋을까요?5월부터 매달 1일에 폴리매스 홈페이지에 글을 1개씩 ... ...
- [과학동아천문대 소식] 왜소은하 찾고, 시민과학자가 되어 봐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우주 형성 초기에 왜소은하가 형성됐고, 이들이 합쳐져 큰 은하가 생겼다고 생각하고 있거든요. 하지만 크기도 작고 어둡다 보니 왜소은하를 발견하기란 쉽지 않아요. 천문학자들은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예측한 것보다 훨씬 적은 수의 왜소은하를 발견했지요.이에 과학동아천문대는 연세대학교 ... ...
- [수학뉴스] 맛있는 고기 요리를 위한 수학 모형수학동아 l2020년 05호
- 수용성 단백질이 차 있습니다. 연구팀은 고기를 구멍에 물이 가득 찬 말랑한 고분자로 생각하고 2차원 단면 상태를 분석했습니다. 이때 열을 가하면 물 분자와 고분자가 어떻게 변하는지 설명하는 방정식을 사용해 2차원 수학 모형을 만들었습니다. 이후 고기를 익힐 때 초기 온도나 물이 차지하는 ... ...
- [보드게임] 선구자의 개발 일지 보관소 게임 설계 시작수학동아 l2020년 05호
- 교구만 체험하던 내가 직접 게임을 만들었다는 점, 전문가들만 할 수 있는 영역이라 생각했던 걸 내가 경험했다는 점이 자신감을 심어줬다. 비상! 문제 상황 발생 문제❺ 출시 후 선분 조각을 분실하는 사용자 출몰! 선분 조각을 겹쳐두니 고정이 안 돼서 불편하다는 의견 발생! 손으로 그리되 ... ...
- 대역전극, 조작 여부 수학은 알고 있었다?! 내일은 미스터 트롯수학동아 l2020년 05호
- 영탁 씨가 2위를 차지했고, 1위였던 이찬원 씨는 3위로 내려왔죠. 그런데 수학적으로 생각해보면 방송에서 유효 득표수가 542만 8900표라는 것을 공개한 시점부터 이미 역전극의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최종 국민투표 전까지 1위와 7위의 점수 차이인 85점은 방송 초반에 공개한 1위의 ... ...
- [이달의 수학자] 최초의 여성 필즈상 수상자, 마리암 미르자하니수학동아 l2020년 05호
- 것은 재능이 아니라 ‘내가 재능있다’고 느끼는 것입니다. 대부분의 사람은 창조적으로 생각하는 재능을 갖고 있으니 이를 발현할 자신감을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2014년 8월 13일, 우리나라에서 열린 ‘2014 서울 세계수학자대회’에서 여성으로서는 처음으로 필즈상을 수상한 마리암 미르자하니( ... ...
- [융복합 파트너@DIGST] 곤충처럼 기고 사람처럼 땀 흘리는 자연모사 로봇과학동아 l2020년 05호
- 관찰하고, 동물의 형태나 움직임을 분석하면 생각지 못한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다양한 생물의 작동 원리를 로봇에 적용해 로봇의 효율을 극대화하는 것이 자연모사 로봇 기술의 핵심입니다.”3월 30일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바이오로봇메카트로닉스 연구실에서 만난 윤동원 DGIST ... ...
이전217218219220221222223224225 다음